• 제목/요약/키워드: Tide Effect Analysi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1초

조석현상이 방조제 경계면의 응력-변형 거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idal Effect on Stress-Strain Behavior in the Boundary Surface of Sea Dike Embankment)

  • 임성훈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2호
    • /
    • pp.1-8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ffect of tide on the stress-strain behavior in the boundary surface of sea dike embankment. Tide is a dynamic condition, but there are not suitable numerical models to solve the dynamic embankment condition caused by tide. So the analysis was simplified to quasi dynamic as follow. First, seepage by tide was analyzed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t every hour during one periodic cycle time of 12 hours were applied to the pore water pressure conditions of stress-strain analysis with hyperbolic model by Duncan and Chang. The place at which maximum shear strain took place in the analysis result moved up and down repeatedly along the boundary of the dredged sand fill section and the crashed stone filter section. The value of maximum shear strain was large at high water level of tide. This result means that contraction and relaxation occur in turn repeatedly at every specific position along the boundary, and the repeated action compact loose position with sand moved down from the upper position by gravity. The experiment with the small sea dike model showed the result consistent with the numerical analysis. The surface of sea side on the dike collapsed at high water level after a couple of repetition of the rising and falling of water.

사석식 경사방파제에 작용하는 파압이 제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ve Pressure on Stability Rubble Mound Breakwater)

  • 정규향;이용대;이병문;정삼기;김근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579-584
    • /
    • 2009
  • Arrangement of the facilities for improving harbor functions depends on sea and land conditions such as the ship's arrival and departure conditions, waves and tide. And the plan and the size of the facilities depend much on harbor and marine environment condition such as cargo quantity, ship size, ship traffic and seawater circulation. Among these, waves have so much effect on a breakwater design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apply them to breakwater design. Therefore, to analyze the effect of waves characteristics over a rubble mound breakwater, we have calculated wave pressure by using numerical analysis at each tide level and have analyzed the effect of wave pressure on structure stability by conducting the stability analysis with the wave pressur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during low and mean tide level time the biggest wave pressure is estimated near calm water level. But during high tide time, the biggest wave pressure is estimated in front of capping. And the stability analysis indicates also that a structure is most unstable when low tide time wave pressure is acting on. After reviewing the stability of a structure by applying vertical and horizon wave forces, it is concluded that safety factor is lower than ordinary time(max. about 15%), is also reviewed when designing a rubble mound breakwater.

  • PDF

한강 및 임진강의 조위영향분석 (Analysis of Tidal Effect on the Han and Imjin River)

  • 김상호;김원;최흥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301-313
    • /
    • 2003
  • 한강 및 임진강에서 서해안의 조위가 평상시 및 홍수시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강 및 임진강의 유량과 월곶조위와의 상관관계에 따른 한강과 임진강의 조위영향분석도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한강 본류부의 잠수교와 한강대교지점에서는 팔당댐의 홍수량이 5,000cms 이하인 경우 서해안의 조위변화에 따라 최대 2.0m 정도의 수위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며, 15,000cms 이상이 되면 조위의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강의 통일대교에서는 홍수량이 5,000cms 이하인 경우 최대 3.5m까지 수위가 변화할 수 있으며 5,000cms 이상이 되면 조석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정밀 중력측정을 위한 조석 및 계기 보정 모델 분석 (The analysis of the tide and drift correction models for precise gravity surveying)

  • 이지선;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3-530
    • /
    • 2010
  • 측지, 지구물리, 국방 등의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중력자료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많은 중력자료가 획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획득한 중력자료로부터 절대중력값 및 중력이상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조석보정, 기계고보정, 계기보정 등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여러 조석보정과 계기보정 모델 중 어떤 모델을 사용하여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결정되어 있지 않아 중력자료 처리에 있어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조석보정 및 계기보정 모델들이 중력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모델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ongman과 Tamura가 제안한 천체에 의한 조석보정 모델은 약 0.0001mGal의 차이를 나타내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모델을 선정하여도 무방하였다. 그러나 지구조석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계기 보정은 공통점에서의 측정중력값 차이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모든 측점을 이용하여 계기보정값을 결정하는 두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보정 후 잔차의 값이 최대 0.04mGal까지 발생하여, 이론적으로 정확한 모든 점을 이용하는 모텔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기만 갯벌의 지표면 토지피복 변화가 국지기상에 미치는 영향 평가 (Impacts of Land Cover Change of Tidal Flats on Local Meteorology in Gyeonggi Bay, West Sea of Korea)

  • 안혜연;김유근;정주희
    • 대기
    • /
    • 제27권4호
    • /
    • pp.399-409
    • /
    • 2017
  • The impact of land cover changed by tidal flats on local meteorology in Gyeonggi Bay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based on a numerical modeling approach during 18 days (21 June to 9 July 2013).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ree sets of simulation scenarios and the land cover of tidal flats for each simulation was applied as follows: (1) the herbaceous wetland representing coastal wetlands (i.e., EXP-BASE case), (2) the barren or sparsely vegetated representing low tide (i.e., EXP-LOW case), (3) the water bodies representing high tide (i.e., EXP-HIGH case). The area of tidal flats was calculated as about $552km^2$ (the ratio of 4.7% for analysis domain). During the daytime, the change (e.g. wetlands to water) of land cover flooded by high tide indicated the decrease of temperature (average $3.3^{\circ}C$) and the increase of humidity (average 13%) and wind speed (maximum $2.9m\;s^{-1}$). The changes (e.g. wetlands to barren or sparsely vegetated) of land cover induced by low tide were smaller than those by high tide. On the other hands, the effects of changed land cover at night were not apparent both high tide and low tide. Also, during the high tide, the meteorological change in tidal flats affected the metropolitan area (about 40 km from the tidal flat).

조석영향에 의한 망기반 GPS 측위 변화 분석 (Analysis of Tidal Effects on Network-based GPS Positioning)

  • 윤하수;홍창기;권재현;최윤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34
    • /
    • 2010
  • 이중차분을 통한 GPS 측위시 이동국의 위치는 기준국에 대한 상대위치로 결정된다. 단기선의 경우는 조석에 의한 변위량의 상대적인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조석보정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기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망 전체의 크기가 우리나라 전체 면적을 포함하는 경우 조석 변위량의 상대적인 차이로 인해 측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석보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규모에서 조석영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변위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GPS를 이용한 정밀측위시 조석영향에 대한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해남부해역의 조석 비대칭에 대한 수치모의 (Numerical Modeling of Tide Asymmetry in the Southeast Coastal Zone of Yellow Sea)

  • 정태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429-441
    • /
    • 2011
  • 서해남부해역에서 관측된 조위와 조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수심이 얕고 간사지가 넓게 분포된 연안해역에서 비선형 조석 및 조류 특성을 뚜렷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석 비대칭을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목포항에서 30여 년간 관측된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여 주요 조석의 진폭과 위상의 연 변화를 살펴본 결과, 반일주조의 진폭은 증가하고 위상은 빨라졌으며, 일주조는 진폭과 위상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따라 반일주조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대표적인 비선형 조석인 $M_4$ 분조와 $MS_4$ 분조의 진폭은 증가하고, 위상이 빨라졌다. 본 연구에서는 $M_2$ 분조의 전파과정과 $M_4$ 분조의 생성과정을 2차원 조석모형을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바닥마찰응력 산정방법, 조위변화 및 비선형항의 영향, 간사지 분포 등이 $M_4$ 분조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해역에서 바닥마찰계수가 일정 크기까지는 작아질수록 비선형 조석이 크게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바닥마찰응력이 커지면 오히려 조석 에너지의 소산으로 수심이 얕은 연안해역에서 $M_2$ 분조와 $M_4$ 분조의 진폭이 작아 졌다. 간사지를 바다로 치환하여 모의한 결과는 비선형 조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간사지가 비선형 조석의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해 부유 녹조 면적 산출을 위한 멀티 위성센서 활용 (Application of Multi-satellite Sensors to Estimate the Green-tide Area)

  • 김근용;신지선;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2호
    • /
    • pp.339-349
    • /
    • 2018
  • 황해 녹조 대발생은 2008년 이후 매년 여름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으며, 인공위성 분석을 통해 녹조 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녹조 면적 산출을 위한 위성영상 선택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에 따른 녹조 면적 산출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녹조 면적 산출에 적합한 위성영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이용한 위성영상은 Landsat ETM+, MODIS, GOCI로 영상의 공간해상도는 각각 30, 250, 500 m 이다. NDV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녹조 픽셀을 분류하였고, 임계값에 따른 녹조 면적 산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Linear Spectral Unmixing(LSU) 기법을 이용하여 한 픽셀 내에 녹조가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하였고, 녹조 비율의 차이가 면적 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NDVI 알고리즘을 이용한 녹조 면적 산출 결과, 공간해상도가 낮을수록 녹조 면적이 과대추정되는 경향을 보였고, 최대 1.5배 차이를 보였다. 또한, LSU 분석 결과에서 픽셀 내의 녹조 비율이 0.1(10%) 미만인 픽셀이 대부분이었고, 0.5(50%) 이상 녹조 비중을 차지하는 픽셀은 세 타입의 영상 모두에서 약 2% 수준으로 극히 적었다. 즉, NDVI 분석 결과에서 녹조로 분류된 픽셀의 경우 한 픽셀의 공간을 녹조가 100% 채우고 있지 않더라도 모두 동일 면적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실제보다 과대추정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이러한 현상은 공간해상도 차이에 의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상양식용 지하해수 개발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about Inland Fish Farm for Development of Underground Seawater)

  • 이광남
    • 수산경영론집
    • /
    • 제46권1호
    • /
    • pp.63-74
    • /
    • 2015
  • Due to red tide and abnormal currents that take place every year, the damage of inland fish farms that takes sea water is increasing frequently. Also, the households of inland fish farm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st of fuel and electricity are struggling many hardships economically. In relation to underground seawater for it's farm analyzed economic effect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for 1,700 inland fish farms, from this I have deduced policy implications for direction this project to be pursued from now on. The saving rate of costs of the fuel and electric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underground seawater were approximately analyzed to decline about 3.4~9.7%, if utilizing only about 5% of the undeveloped farms, it was estimated effect of about 61 billion won, if 10%, it was estimated effect of about 122 billion won.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e developer of underground seawater will be selected an character of farm method. It is expect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business analysis related government in the fisheries.

조석/해일 환경병화를 감안한 고극조위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High Water Level Considering Tide/Surge Characteristic Changes)

  • 강주환;문승록;박선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99-106
    • /
    • 2006
  • 지구온난화에 의한 전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하구언/방조제와 같은 해안구조물 건설이후 군산 및 목포해역에서의 고극조위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장기적 변화에 의한 고극조위 상승량과 건설에 의한 고극조위 상승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한 후, 이들 해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극조위 상승원인을 분석하였다. 목포해역을 대상으로 $M_2$ 분조에 대한 수치실험 결과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로 인한 조석확폭현상은 주로 목포구의 TCE 기능의 소멸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석확폭은 조간대효과에 따라 극조일수록 더욱 크게 나타나 목포해역의 해일 위험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가 되었다. 또한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라 조석환경에 변화가 야기되어 건설시기 전후로 조위자료의 동질성이 결여된 곳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빈도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빈도별 고극조위를 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