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river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22초

동해 중부 연안에서 연어(Oncorhynchus keta)가 왕피천으로 이동하는 시기와 연안 환경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igratory Timing of Salmon (Oncorhynchus keta) into the Wangpi River and Coastal Environment of the Mid-eastern Coastal Water of Korea)

  • 김범식;정용우;정해근;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67-1079
    • /
    • 2021
  • The coastal water is a space where salmon (Oncorhynchus keta), critical energy-conveying mediator, stay to adapt to different environments while traveling between ocean and river ecosystems for spawning and growth. The mid-eastern coast of Korea (MECW) is the southern limit of salmon distributed in the North Pacific Ocean.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salmon in the MECW is important for the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salmon related to changes in the future marine environmen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lmon migratory timing ascending the Wangpi river and change in vertical seawater temperature and tidal elevation. Overall results highlight that (1) Salmon began to ascend the river when the sea surface water temperature (SST) decreased below 20℃; (2) The number of salmon ascending the river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decreased, but decreas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higher than 5℃; (3) The number of salmon ascending the river peaked, when the SST was 18℃-19℃ and sea levels rose at high tide.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predicting changes in the ecosystem energy circulation through climate change at its southern distribution limit.

위성자료의 한국 금강 하구부근 조간대 지형 연구에 대한 응용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on Geomorphological Study of the Tidal Flats near Kum River Estuary)

  • 안충현;이용국;유흥룡;오재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2
    • /
    • 1989
  • LANDSAT 위성의 Thematic Mapper 자료는 해안지형 등의 연구에 그 효율성이 매우 높아 본 연구에서는 위성자료의 기하학적 보정, 영상중첩 기법 등을 통하여 금강하구 부근의 조 간대 지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9개의 TM및 MSS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자 료처리에는 VAX 11/780 컴퓨터시스템이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금강하구 일대 조간대의 조위에 따른 기본분포도와 지형단면도가 작성되어 금강하구에서 부터 멀어질수록 조간대 경사단면의 형 태가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위가 비슷한 자료의 중첩에 의한 비교 분석결과 단기 적인 조간대 지형의 변화가 파악되었다. 아울러 금강으로부터의 부유물질의 이동 확산형탱와 표 충수온의 분포가 연구되어 조시에 따른 부유퇴적물의 이동 형태와 표층수온의 분포양상이 파악되 었다.

금강 풀룸의 구조와 분포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Numerical Model Study for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the Keum River Plume)

  • 신은주;이상호;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57-170
    • /
    • 2002
  • 연속적으로 방출되는 금강 담수에 의해 형성되는 풀룸(plume)의 구조와 분포를 시험하기 위해 전향력과 조석의 유무에 따른 3차원 수치모델 실험을 하였다. 조석없이 전향력이 포함된 경우 모델풀룸은 발달단계에서 남수로 북쪽에 시계방향 순환을 형성한다. 풀룸 확장이 진행되면 순환중심이 남서쪽으로 이동하며 남수로 입구에서부터 남서쪽으로 저염수의 유출 축 방향이 편향된다 이러한 결과는 외해의 강한 염분전선 때문에 하구입구 전방에서 누적되는 저염수에 의해 유지되는 해면경사에 의한 순압적 지형류 균형으로 설명된다. M$_2$분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모델풀룸이 북서쪽으로 멀리 확장하여 큰 혀모양의 염분분포를 이룬다. 외해역 풀룸의 조석주기 평균된 표층흐름은 주로 지형류 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풀룸분포의 변화는 하구입구 외측에서 저염수를 북쪽으로 공급하는 조류이동에 의한 저염수 이류와 풀룸을 따라 평균해면을 높이고 북쪽 천해연안역 표층염분을 증가시키는 활발한 조류혼합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 관측된 금강 풀룸의 주된 형태(Lee et at., 1999;최 등, 1999)는 하구 입구역에서부터 풀룸 축이 북서쪽으로 편향되고 북쪽으로 풀룸 두께가 깊어지는데 이러한 특징은 조석이 포함된 모델에서 잘 재현되었다.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수종 염생식물의 군집유지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munity maintenance Mechanism of five Halophytes on the distribution in Mankyung River Estuary)

  • 김창환;조두성;이경보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
    • pp.68-84
    • /
    • 2005
  • 2005년 2월부터 9월까지 만경강하구역 염습지에 있는 5종 염생식물의 군집유지기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5종 염생식물(칠면초, 퉁퉁마디, 갯개미취, 가는갯능쟁이, 나문재)의 발아기, 최대 발아률, 생물량, 줄기와 뿌리 길이생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염생식물 군집 유지기작은 저위염습지에 칠면초, 중위염습지에 퉁퉁마디, 갯개미취, 가는갯능쟁이 그리고 고위염습지에 나문재가 분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칠면초는 정기적인 조수작용으로 수분공급이 원할한 저위염습지에, 퉁퉁마디는 부정기적인 조수작용으로 고염분 토양의 중위염습지에서, 나문재는 정기적인 수분공급이 적은 고위염습지에, 이들 중간의 중위염습지에는 갯개미취와 가는갯능쟁이가 군집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조수 및 소수력 발전을 위한 회수를 위한 중력엔진의 개념 및 에너지 정산 (A Concept and Energy performance of a Gravity Engine for Tidal and Hydro-Power)

  • Lee, Jae-Young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1-236
    • /
    • 1999
  • This paper is to propose a concept and performance of the gravity engine which could extract energy from sea or river as a clean and renewable and sustainable power, the tidal or hydro-power. The vertical motion of the buoyancy cylinder of the present gravity engine is converted to the mechanical work directly without any hydraulic loss. The increased gravity potential during high tide is harnessed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buoyancy cylinder times tidal height which is greater than the conventional tidal power using water mill. This energy amplification results from the net energy gain between the resource energy and the imposed energy to extract water out of the buoyancy cylinder. Its efficiency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water mill due to its direct mechanical conversion.

  • PDF

다중시기 위성자료 기반 낙동강 하구 지역 갯벌 면적 분석을 통한 블루카본 저장량 변화 평가 (Evaluating Changes in Blue Carbon Storage by Analyzing Tidal Flat Areas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Dat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South Korea)

  • 김민주;박정우;현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1-202
    • /
    • 2024
  • 지구 온난화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에 기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를 유발하고 생태계와 인류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각국은 다양한 방법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시도하고 있으며, 해안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인 블루카본(blue carbon)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블루카본은 그린카본(green carbon) 대비 탄소흡수 속도가 최대 50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후 변화 대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대한민국의 갯벌은 생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고 뛰어난 탄소흡수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블루카본 관련 기존 연구에서는 갯벌의 탄소 저장량 및 연간 탄소 흡수량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직접 갯벌의 면적 변화를 탐지하고 이를 탄소 저장량과 연계한 사례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기 고해상도 위성자료인 PlanetScope 및 RapidEye 자료에 Direct Difference Water Index를 적용하여 연구지역인 낙동강 하구 갯벌의 면적 및 변화를 2013년부터 2023년 사이의 6개 시기에 대해 장기적으로 분석하고 시기별 탄소 저장량을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 내 갯벌 면적은 조위 기준이 상이한 2013년 시기를 제외하였을 때 최소 약 9.38 km2 (2022년), 최대 약 9.89 km2 (2021년)로 연간 최대 약 5.4%가 변화하였으며 탄소 저장량은 최소 약 30,230.0 Mg C, 최대 31,893.7 Mg C로 산정되었다.

An Estimation of Tidal Currents from Satellite-tracked Drifters and its Application to the Yellow Sea

  • Lee, Se-Ok;Cho, CHeol-Ho;Kang, Sok-Kuh;Lie, He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2호
    • /
    • pp.65-77
    • /
    • 2000
  • A simple but effective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estimating diurnal and semi-diurnal tidal currents from trajectories of satellite-tracked drifters. The estimation method consists of separation of tidal current signals contained in the drifter trajectories, computation of undulations by diurnal and semi-diurnal currents, and correction of dominant diurnal and semi-diurnal tidal constituents. M$_2$ tidal currents estimated from drifter trajectories in the Yellow Sea are well consistent with those observed by moored current meters and this supports the validity of this method. We have constructed M$_2$ tidal current chart in the Yellow Sea by applying this method to available drifter trajectories collected during 1994-1998. According to this chart, M$_2$ current in the Yellow Sea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uth of 35$^{\circ}$ 30'N but in the counterclockwise one to the north. Also it is found that the M$_2$ current is strong in the bank area northeast of the Changjiang River mouth and in the Korean coastal area, while it is weak in the deep central trough.

  • PDF

시화조력발전소 수차발전기 제어시스템의 동적 특성 해석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Water-Turbine Generator Control System of Sihwa Tidal Power Plant)

  • 안상지;반우현;박철원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1권4호
    • /
    • pp.180-185
    • /
    • 2012
  • Tidal power is on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seawater is stored inside a tidal embankment built at the mouth of a river or bay, where tides ebb and flow. The water turbine-generators produce power by exploiting the gap in the water level between the water outside and inside the embankment. Tidal power plant is a large plant that is installed on the sea. And then, the facility's operations and a separate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nd maintenance is required. However, this plant predictive control of building systems and technologies have been avoided the transfer of technology from advanced global companies. Accordingly, the control system for co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localization is urgently needed. This paper presents modeling and simulation using by PSS/E about generator, governor, exciter, and power system stabilizer for control system in Sihwa tidal power plant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develope of core technology.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governor and exciter were analyzed.

하천 감조역에서의 질소변환에 있어서 염분의 영향 (Effect of Chlorides on Nitrification Process in a Tidal Section of the River)

  • 김원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27-233
    • /
    • 1993
  • Laboratory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suspended solids and sediments taken. from a tidal section of the Rokkaku river, to study the effect of salinity on nitrification and to estimate kinetic parameters of it.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much more inhibitation of ;$NO_2$-N oxidation by chlorides than that of $NH_4$-N oxidtion. Nitrifying bactema in sediments were less sensitive to chlorides than those in SS. The change of nitrogen concentration with time was clearly explained with the Monod growth model and the kinetic parameters were obtained by the curve fitting method.

  • PDF

낙동강 하구역내 사주간의 단면유량플럭스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Net-water Flux of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윤한삼;이인철;류청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86-192
    • /
    • 2005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을 대상으로 하구지형의 변화를 고찰하였고, 하구지형 변화에 미치는 해수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무방류시, 홍수시의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을 입력하여 해 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사주사이의 단면유량flux를 계산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동강 하구 일대의 사주 발생변천과정을 고착해 본 결과, 대규모 낙동강 하구둑 건설시기에 맞추어서 사주군의 형성치 서측으로부터 동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현재는 다대포 전면해역에서의 사주발달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낙동강 하구역에서의 해수유동양상은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 방류되어지는 하천수량에 따라서 조간대 지역내의 흐름패턴이 변화한다. (3) 단면유량flux 계산결과를 통해 홍수 하천유량이 방류될시 낙동강 하구역 중 장자도와 백합등, 다대 전면해역에서의 퇴적활동이 가강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평수시(무하천 유량시 및 일평균 하천유랑 방류시)의 유량flux의 밀도분포를 살펴보면 진우도 전면해역에서 크게 나타났다. (4)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낙동강 하구역에서의 육상 유입 하천수의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받는 지역으로는 최근 사주퇴적이 급속히 발생하는 지역인 장자도와 백합등, 다대 전면해역과 진우도 전면해역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