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Exchang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여자만의 해수교환 (The Exchange of Sea Water in Yeoja Bay)

  • 이명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1호
    • /
    • pp.33-39
    • /
    • 1983
  • 폐쇄적인 지형구조를 보이는 여자만에서 환경조사 및 어장관리를 위한 해양물리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2년 10월 30일부터 11월 6일까지 만구에서 실시한 측류판추적 및 유속계에 의한 측류자료를 사용하여 해수교류 및 교환량을 추정하고 그 해수교환특성을 알아보았다. 여자만의 평균용적(1.96km super(3))에 대하여 유입량은 43%(조차, 320cm), 유출량은 42%(조차, 304cm)였다. 이로부터 얻은 항류성분은 약 3.7$\times$10 super(7)m super(3)로서 대부분이 담수유출량으로 해석된다. 물질수송에 기여한다고 생각되는 평균해수교환량은 만의 용적(2.33km super(3); 평균고조면 3.1m 기준)에 대하여 썰물 때 1.97$\times$10 super(6) cm super(2)/sec, 밀물 때 1.69$\times$10 super(6) cm super(2)/sec였다. 썰물 때 확산계수가 큰 것은 교환능률이 컸음에 기인하여, 썰물 때 shear분산효과가 크다고 생각된다.

  • PDF

투수성 호안제체을 통한 해수교환을 고려한 해수유동 모의 (Coastal Water Circulation Modeling with Water Exchange through Permeable Dike)

  • 정태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1-307
    • /
    • 2006
  • 서해안과 같이 큰 조차를 가진 연안해역에서 항만건설과 매립사업이 널리 진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업은 방조제 건설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방조제는 내부와 외부사이에 해수가 교환되지 않으나, 사석만을 사용해서 축조된 방파제와 가호안의 투수성 제방에서는 해수가 교환된다. 내부의 수면은 외부 조위의 변화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나 그 조차는 해수교환시 제방에서의 큰 마찰로 인하여 외부보다는 작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제방을 통한 해수교환을 무시하는 것이 조석모델링에서 일반적이다. 이는 내부의 해수면 변화를 계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물막이 공사와 같이 일부 개방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 개방구간만을 통한 해수교환량만을 고려하고, 제체를 통한 해수교환량을 무시하여 내부의 조위와 실제 해수교환량을 부정확하게 계산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이론을 이용하여 해수유동모의시 투수성 제체를 통한 해수교환량을 정확히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구를 통한 해수유출입과 만내수괴의 해수교환성 (Cross-Sectional Velocity Variability and Tidal Exchanger in a Bay)

  • 김종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4호
    • /
    • pp.353-359
    • /
    • 1990
  • 물리적, 지형적 특성으로 구성되고 있는 만내수괴의 유출입 구조와 해수의 교환능력을 정량적으로 구하기 위해, 진해만과 그 부속 내만을 대상으로 하여 현지관측에 근거해서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덕수도 단면의 유출입 특성은 유출수괴의 유축은 1조석주기동안 남북으로 2회 왕복운동을 진행하며, 대체로 하층에 존재한다. 유입수괴의 유축은 남부와 북부에 양분되어 존재하는 경향이다. 전 시간에 걸쳐 반류현상으로 보이는 유출입 수괴가 동시에 존재한다. 2. 양 수도를 통한 해수유출입량의 비율은 가덕수도에서 대조기 약 86~90% 소조기 61~80%유출입된다. 따라서, 가덕수도를 통한 수괴의 유출입이 만의 해수교류.교환을 지배한다. 3. 하계만의 해수교환율은 양 수도에서 대조기 12~13%, 소조기 20%이상이나, 마산만 입구에서는 대조기 9%, 소조기 2%정도에 불과하다. 4. 하구역 특성으로 본 해수교환기구는, 가덕수도가 흐름은 깊이에 따라 방향이 변하고 약간 성층되나, 잘 혼합된 염분분포를 나타내어 salt flux는 주로 이류에 의존한다. 마산만은 sill의 해저지형가 만 입구에서 tidal trapping 현상으로, 고도의 성층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 PDF

수치실험을 통한 금오열도 해역의 해수유동 특성 (Flow characteristics of Geumo Islands Sea area by numerical model experiments)

  • 추효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2호
    • /
    • pp.159-174
    • /
    • 2022
  • Flow predi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observational survey and three dimensional multi-layered numerical diagnostic model experiment to clarify the time and spatial structure of tidal current and residual flow dominant in the sea exchange and material circulation of the waters around Geumo Island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The horizontal variation of tidal current is so large that it causes asymmetric tidal mixing due to horizontal eddies and the topographical effect creating convergence and dispersion of flow direction and velocity. Due to strong tidal currents flowing northwest-southeast,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eddi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outh of Sori Island. These topographical eddies are created by horizontal turbulence and bottom friction causing nonlinear effects. Baroclinic density flows are less than 5 cm/s at coastal area in summer and the entire sea area in winter. The wind driven currents assuming summer and winter seasonal winds are also less than 5 cm/s and the current flow rate is high in winter. Density current in summer and wind driven current in winter have a relatively greater effect on the net residual flows (tidal residual current + density current + density driven current) around Geumo Islands Sea area.

항내수질 개선을 위한 친환경 외곽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ly Friend Counter Facilities for Improvement of Harbor Water Quality)

  • 김강민;강석형;유하상;김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3-238
    • /
    • 2003
  • 파랑에너지를 차단하고 항내 정온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외곽시설인 방파제는 불투과성이기 때문에 항만을 폐쇄성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항내ㆍ외간의 해수교환은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항만개발의 최근 추세는 항내의 수질 보호와 친수성이 강조되어, 기존의 불투과성 방파제의 일부에 투과성으로 설계한 제체투과성 해수교환방파제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외해의 에너지가 항내로 전달되어 항내 오염물질의 희석률 증대와 함께 외해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오염이 심화된 항만(남해 동부해안에 위치한 삼천포 구항)에서 항내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육상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이나, 폐쇄성이 큰 항만의 경우, 외해와의 해수순환을 강화시켜야만 한다. 즉, 기존의 항만에서의 항내 수질개선을 위해서 외곽시설의 일부에 해수소통구를 두는 방법이 가장 최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내 오염이 심각한 항만을 대상으로 하여, 해수소통구를 통한 해수순환 양상을 수치계산을 통해 검토하고 수반되는 해수교환율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 차분법으로 수치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해수소통구 도입에 따른 항내의 해수순환 및 해수교환율을 평가하였다.

협수로의 수리 특성과 수괴구조 1. 충무수로의 조류와 수괴구조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and Water Mass in the Narrow Channel 1. Tidal Current and Water mass in the Chungmu Channel)

  • 박병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168-177
    • /
    • 2001
  • The flow pattern and water mass structure in the Chungmu channel were investigated using the field observations during June and July, 2001. The currents in the channel may be regarded as a hydraulic current decided by difference of tide levels between two sides in the channel. The strongest current in the channel occurs around in high water and low water. The coefficient C to be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elocity in the channel was obtained from an equation, $u=C{\sqrt{2gh}}$ and ranges from 0.37 to 0.65 in the Chungmu Channel at the spring tide and from 0.23 to 0.37 at the neap tide. Eastward tidal transport is usually larger than that of westward transport in Chungmu the Channel. Sea water exchange rates are 39.2% in spring tide and 20.5% in neap tide respectively. The water mass structure in the channel is changed by the speed of the tidal current. The water mass is well mixed at the high water when the current is strong and is stratified at slack water when the current is weak.

  • PDF

수종객토원(數種客土源) 처리(處理)에 의(依)한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의 특성변화(特性變化)와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il Conditioners on the Growth of Rice and Soil Properties of Sandy Paddy Soils)

  • 조강진;정연태;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4-231
    • /
    • 1984
  • 누수(漏水)와 양분용탈(養分溶脫)이 심한 사질답(砂質畓)(강서통(江西統))에 산적토(山赤土), 점질(粘質) 및 미사질해이토(微砂質海泥土)와 영일만(迎日灣)의 제삼기층토양(第三紀層土壤)을 객토처리(客土處理)하여 토양개량효과(土壤改良效果) 및 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2개년간(個年間) ('80~'81)에 걸쳐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량(收量)은 1, 2년차(年次) 공히 비슷한 경향(傾向)이었으며 점질해이토구(粘質海泥土區)와 제삼기층토(第三紀層土) 처리(處理區)에서 가장 높았다. (2) 2년차(年次)에서 전생육기간(全生育其間)동안 객토(客土)의 잔효(殘效)에 의하여 건물중(乾物重) 및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며 특히 점질해이토구(粘質海泥土區)와 제삼기층토구(第三紀層土區)가 현저(顯著)하였다. (3) 시험(試驗) 후(後) 토양(土壤)의 양(陽)이온치환용량(置換容量), 유효규산(有效珪酸), 치환성양(置換性陽)이온 및 황성철함량(活性鐵含量)이 증가(增加)되었으며 제삼기층토구(第三紀層土區)에서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이 가장 높았다. 또 입단함량(粒團含量)과 소성지수(塑性指數)는 증대(增大)되었으며 제삼기층토구(第三紀層土區)와 점질해이토구(粘質海泥土區)에서 투수계수(透水係數)가 현저(顯著)히 적어졌다.

  • PDF

수치실험을 이용한 남해 중부 연안의 하계 수온 분포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ummer Water Temperatures of the Central Coast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Using Numerical Experimentation)

  • 최민호;서호산;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3-90
    • /
    • 2017
  • 본 연구는 해수유동모델을 이용하여 하계 한국 남해안 양식장 부근에서 수온의 시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였다. 한국 남해 조류의 흐름은 창조시 서향, 낙조시 동향하며, 쓰시마 난류의 흐름은 50 m보다 깊어지는 외양에서 연안에 비해 강하게 동북향 하였다. 조류, 바람, 쓰시마 난류 및 실시간 수온을 고려한 해수유동에서 하계 수온의 분포는 반폐쇄성 해역에서 $26{\sim}28^{\circ}C$로 높게 나타났으며, 외양으로 갈수록 낮아져 $18{\sim}22^{\circ}C$로 나타났다. 반폐쇄성 내만의 형태를 가지는 해역의 해수교환량을 계산한 결과 광양만 $10,331m^3/sec$, 여수-가막만 $16,935m^3/sec$, 그리고 거제-한산만은 $13,454m^3/sec$로 나타났다. 해수교환량이 적은 해역일수록 수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이층류 모델링의 교환류와 내부조석파 연구에의 적용 (Two Layer Modelling with Applications to Exchange Flow and Internal Tide)

  • Kang, Sok-Kuh;Abbott, Michael-B.;Heung, Jae-Lie;Yum, Ki-Dai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23
    • /
    • 1997
  • 일차원 2층 성충류에 대한 음해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수치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치방법에 대한 기본 테스트와 함께 수질실험 자료가 있는 교환류에 대한 모델결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충간 및 해저마찰계수와 수치계산의 시간 가중인자, smoothing 인자에 대한 모델 반응 결과를 제시한다. 아울러 2층 모델을, 성충이 되어 있고 해저면 기울기가 급격한 조건에서 내부파의 발생과 전파 특성에 대한 연구에 응용하였다. 하류부 경계의 1개 층 혹은 2개 층을 방사조건으로 처리했을 때, 하류부를 통해 내부파가 잘 전파되어, 방사파 조건의 성충류 모델링에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류부의 저층두께가 두꺼울수록 내부파가 하류부 경계를 통해 활발히 전파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충간의 내부파 위치에너지는 상충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 하층의 두께에 좌우될 것임을 암시한다.

  • PDF

장방형 해분내의 세립 퇴적물 퇴적모형 (Modeling Sedimenta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in a Rectangular Basin)

  • Hyo Jin Kang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4
    • /
    • 1991
  • 간단한 box 모형이 장방형 해분에서의 세립 퇴적물의 퇴적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이 모형에 필요한 침식 및 퇴적률의 계수를 조사하여 남해안 가막양만에 적용하여 보았다. 해분이 외해와 연결되어 있고 외해의 부유퇴적물 농도가 일정하면 해분내에서 한 조석 주기 동안의 평균 부유퇴적물 농도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되고 조류의 게류시 부근에는 퇴적이 일어나고 최대 유속시 부근에는 바닥 퇴적물의 재부유 및 침식이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가막양만 처럼 퇴적이 우세한 해분에서는 조석 주기 중 퇴적이 일어나는 시간과 최대 퇴적률이 침식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퇴적 우세 해분의 부유퇴적물 평균농도는 외해의 부유퇴적물 농도보다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또한. 조류의 유속변화에 따른 해분내기 부유퇴적물 농도변화는 고조의 약 한 시간 전에 최대값을 나타내고 저조의 약 한 시간 후에 최소값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