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ust Vector Control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1초

추력방향조종용 제트베인의 3차원 온도분포 해석 (An Analysis on 3-Dimensional Temperature Distribution of Jet Vanes for a Thrust Vector Control)

  • 황기영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83-291
    • /
    • 2011
  • 수직발사 추진기관의 추력방향조종(TVC)용으로 사용되는 제트베인 조립체의 열전달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트베인 주위의 대류열전달계수는 열경계층 방정식의 해와 반실험식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제트베인 조립체의 3차원 온도분포에 대한 해석은 PATRAN과 ABAQU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수치해석 기법의 타당성은 제트베인 축 내부에서 측정한 온도와 열해석 결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제트베인의 3개 편향각(0o, 12.5o, 25o)에 대해 연소시간별 제트베인의 온도변화를 고찰하였다.

  • PDF

2차 유동 분사에 의한 제트 유동의 추력 제어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Thrust Vector Control using a Secondary Flow Injection)

  • 정성재;;김희동;안재문;정동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9-122
    • /
    • 2002
  • In general, Liquid Injection Thrust Vector Control(LITVC) is accomplished by injecting a liquid into the supersonic exhaust flow through holes in the wall of the propulsion nozzle. This injection flow field is highly complicated and detailed flow physics associated with the secondary flow injection should be known far the practical design and use of the LITVC system. The present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LTTVC flow field and obtaining fundamental design parameters for LITVC. The experimentations were performed in a supersonic blow-down wind tunnel. Compressed, dry air was used for both the main exhaust and injection flows but the pressures of these two flows were controlled independently. The location of the injection holes was changed and the pressures of the two streams were also changed between 2.0 and 15.0 bar. The effectiveness of LITVC was discussed in details using the results of the pressure measurements and flow visualizations

  • PDF

신경망을 적용한 가동노즐의 유효 피봇 추적 알고리즘 (An Effective Pivot Trace Algorithm for Movable Nozzle using Neural Network)

  • 김중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3-80
    • /
    • 2005
  • 유도무기의 추력방향 제어(Thrust Vector Control)를 위해 널리 운용되고 있는 가동노즐(Movable Nozzle)의 성능지표는 노즐의 회전중심(유효피봇)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유효피봇의 동특성으로 인해 실험이나 수학적으로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동노즐 운동 특성을 ADAMS simulation 기법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인공 신경망을 적용하여 유효 피봇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모사된 가상 가동노즐의 유효피봇 추적에 적용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음으로 벤취 실험이나 연소시험에 적용된 가동 노즐의 유효 피봇 추적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추력편향 노즐의 정량적 성능특성 관찰을 위한 시험장치 설계 (Design of Test Device for Quantitative Observation of Performances of Thrust-Vectoring Nozzle)

  • 송명준;윤상훈;조용호;이열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4-407
    • /
    • 2011
  • 노즐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차제트의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는 유체역학적 추력편향제어 방법은 초음속 제트의 효율적인 추력편향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다. 그동안 진행된 유동가시화 결과에서 관련 기술의 장단점이 관찰된 바 있으나 그 결과가 정성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차제트의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추력편향제어의 성능특성에 관한 정량적 관찰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한 시험장치 설계, 보정 및 자료획득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 PDF

3차원 직사각형 노즐에서 역유동 추력벡터 제어 평가 (Assessment of the Counter-Flow Thrust Vector Control in a Three-Dimensional Rectangular Nozzle)

  • ;김태호;;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4-46
    • /
    • 2020
  • 직사각형 초음속 노즐의 3차원 역유동 추력벡터 제어 시스템에 대한 공기역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초음속 노즐은 특성곡선법에 의하여 설계되었으며, 그 설계 마하수는 2.5이다. 2차 유동 덕트의 갭 높이를 변수로 하여 역유동 추력벡터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상부 흡입 칼라의 중심선을 따르는 정압 분포, 편향각, 2차 질량유량비 및 합성 추력계수와 같은 주요 매개변수가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체 유동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칭 평면에서의 유선, 3차원 등마하수분포 및 3차원 난류에너지분포를 조사하였다.

Analytical Prediction for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Tubular Linear Actuator with Halbach Array Using Transfer Relations

  • Jang, Seok-Myeong;Choi, Jang-You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221-230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analytical prediction for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tubular linear actuator with Halbach array using transfer relations, namely, Melcher's methodology. Using transfer relations derived in terms of magnetic vector potential and a two-dimensional (2-d)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this paper derives analytical solutions for magnetic vector potential due to permanent magnets (PMs) and stator winding currents. On the basis of these analytical solutions, this paper also achieves analytical solutions for the magnetic fields distribution produced by PMs, stator windings current and axial thrust. The analytical results are validated extensively by finite element (FE) analyses. In particular, test results such as thrust measurements are given to confirm the analysis. Finally, this paper estimates control parameters using analytical solutions and test results such as thrust, back-emf, inductance and resistance measurements.

Shroud의 영향에 따른 제트 베인의 공기역학적 특성 연구 (The Study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Jet-Vane Affected by the Shroud)

  • 박순종;박종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4-41
    • /
    • 2012
  • 추력편향장치는 일반적으로 노즐 뒤에 장착되어 추진기관에서 분사되는 초음속 제트의 유동방향 자체를 편향시킴으로 단일 추진체의 노즐에서 종축, 횡축, 회전축 방향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노즐 유동장내에 노출되어 있는 편향장치인 제트 베인의 경우 그 형상과 편향각도에 따라서 상호 유동 간섭에 의한 추력손실이 발생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노즐의 수치해석과 더불어 제트 베인 각도 변화에 따른 공기역학적 유동가시화를 수행하였으며 베인에 미치는 유동간섭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2차 순유동과 역유동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hrust Vectoring Control Using Secondary Co- and Counter-Streams)

  • 임채민;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3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2
    • /
    • 2004
  • 최근에 유체적 순유동과 역유동 개념을 이용한 추력 벡터법은 추진 비행체의 조종성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꼬리날개로 발생하는 공기역학적 항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유체적 추력벡터 제어법은 유동장이 충격파와 경계층의 상호작용, 박리, 강한 비정상성 등과 같은 매우 복잡한 물리현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행체의 설계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유체적 순유동과 역유동 개념을 이용한 효율적인 추력벡터 제어법을 얻기 위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미비한 실정이며 실제적용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체적 순유동과 역유동 개념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법의 제어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수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주어진 압력비에 대해, 추력편향각은 주제트의 5퍼센트 미만의 임의 흡입유량에서 최대 값을 가진다. 보다 긴 collar를 적용하는 경우, 같은 편향각은 보다 작은 흡입유량으로 가능하였다.

  • PDF

우주발사체용 추력벡터제어 시스템 및 제어밸브류 개발 현황 소개 (Introduction of Thrust Vec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Valve Development for Space Launch Vehicles)

  • 이제동;박봉교;박호열;김상범;전필선;장기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13-6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우주발사체의 TVC 시스템 및 제어밸브류 분야에서 (주)한화 항공우주/기계연구소의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KSR-III TVC 시스템의 성공적인 개발을 기반으로 당소는 KSLV-I의 TVC 시스템 및 RCS 계통의 제어밸브들을 개발하였으며 KSLV-II의 선행 연구로서 엔진 공급 계통의 산화제 및 연료 유량제어밸브와 산화제 개폐밸브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항공우주 핵심 구성품 및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의 축적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화는 향후 KSLV-II 개발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 PDF

이차분사노즐 작동 조건 변화에 따른 SITVC 성능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SITVC System with Various Secondary Injection Conditions)

  • 배지열;송지운;김태환;조형희;배주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6-121
    • /
    • 2011
  • SITVC 시스템의 이차분사 노즐 분사 조건 변화에 따른 시스템 성능 변화를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형상은 3차원 종형 수축-팽창 노즐이고 측면에 8개의 이차분사 노즐을 가진다. 노즐 내부 유동은 전압이 70bar이며 300K의 cold flow로 가정하였다. 이차 유동의 유량 변화와 노즐 작동 조건 변화를 고려하였다. 상용코드인 Ansys Fluent v.13을 통해 해석하였고, 난류모델은 Spalart-Allmaras model(1- equation)를 사용하였다. 충격파의 수치적 진동을 막고 충격파의 불연속성을 잘 해석하기 위해 AUSM+ scheme을 사용하였다. Axial thrust, side force, system specific impulse ratio 와 같은 성능 변수를 사용해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