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onine

검색결과 828건 처리시간 0.035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AtCK, from Arabidopsis

  • Jeong, Jae Cheol;Shin, Dongjin;Lee, Jiyoung;Kang, Chang Ho;Baek, Dongwon;Cho, Moo Je;Kim, Min Chul;Yun, Dae-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2호
    • /
    • pp.276-282
    • /
    • 2007
  • Protein phosphorylation is one of the major mechanisms by which eukaryotic cells transduce extracellular signals into intracellular responses. Calcium/calmodulin ($Ca^{2+}/CaM$)-dependent protein phosphorylation has been implicated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yet little is known about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s (CaMKs) in plants. From an Arabidopsis expression library screen using a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soybean calmodulin isoform (SCaM-1) as a probe, we isolated a full-length cDNA clone that encodes AtCK (Arabidopsis thaliana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The predicted structure of AtCK contains a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catalytic domain followed by a putative calmodulin-binding domain and a putative $Ca^{2+}$-binding domain. Recombinant AtCK was expressed in E. coli and bound to calmodulin in a $Ca^{2+}$-dependent manner. The ability of CaM to bind to AtCK was confirmed by gel mobility shift and competition assays. AtCK exhibited its highest levels of autophosphorylation in the presence of 3 mM $Mn^{2+}$. The phosphorylation of myelin basic protein (MBP) by AtCK was enhanced when AtCK was under the control of calcium-bound CaM, as previously observed for other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s. In contrast to maize and tobacco CCaMKs (calcium and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almodulin to more than $3{\mu}M$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activity of AtCK.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AtCK is a novel Arabidopsis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 which is presumably involved in CaM-mediated signaling.

진주담치 Mytilus edulis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IN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EA MUSSEL, MYTILUS EDULIS)

  • 최우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4
    • /
    • 1970
  • 경남 충무 북만산 진주담치 Mytilus edulis에 대하여 3월에서 12월까지 매월 2회씩 화학성분 조사를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 함량은 $5\~6$ 월간이 $81.3\%$로 약간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고 평균치는 $78.5\%$였다. 2. 조단백질은 9-10월중에 최대치인 $13.7\%$를 나타내었으며 평균치는 $12.0\%$인바 큰 변화를 찾아볼 수 없고, 굴 또는 다른 조개류에 비하면 그 함량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3. 지질은 평균 $2.5\%$로 계절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다. 4. 당질은 $9\~10$월중에 최대치가 약 $5\%$까지 도달하였으며 평균치는 $4.3\%$로서 다른 패류에 비해서 많은 편이다. 5. 조회분은 평균치 $1.5\%$$11\~12$월중에 최대치인 $2\%$ 내외를 나타내었고 인산염은 평균 $963mg\%$, 철분은 $188mg\%$, 칼슘은 $82mg\%$로서 다른 어패류에비하면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6. pH는 6.02-6.55 사이에서 큰 변화가 없었으나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조금 높았다. 7. 구성 아미노산중 특히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Aspartic arid, Lysine, Glycine의 순이었고 비교적 함량이 적은 것은 Valine, Proline, Arginine, Alanine, Leucine, Threonine, Serine, Isoleucine, Histidine, Tyrosine, Phenylalanine, Methionine의 순이었다. 8. 우리나라 진주담치는 9월을 정점으로 하여 $8\~10$월에 가장 영양 성분이 풍부함을 알았다.

  • PDF

파찌감 이용을 위한 분말화의 건조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rying Method of the Powder to Utilize Deteriorated Sweet Persimmon)

  • 김성규;이용재;권오창;박윤문;김태춘;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89-394
    • /
    • 2000
  • 단감의 수확 및 저장 중에 발생한 불량과실을 이용할 목적으로 분말화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본 실험을 행하였다. 일반성분 조성은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순으로 열풍건조 처리구는 0.9-1.1%, 15.0-39.0%, 2.3-3.3%이었으며, 동결건조 처리구는 1.3-2.2%, 27.0-49.0%, 2.5%로 나타났다. 무기성분 조성은 열풍과 동결건조 처리구 모두 potassium, magnesium, phosphorus; calcium, sodium이 주요 무기성분이었으며, 다른 미량원소는 약 3.00ppm 이하였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열풍과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capric acid, lauric acid tridecano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동결건조 처리구의 아미노산 조성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주요 아미노산이었다. 전체적으로 열풍건조 처리구보다는 동결 건조 처리구가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열풍과 동결건조에 의한 분말 제조에서는 변색과 영양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열풍건조 보다는 동결건조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열풍건조가 시간은 단축되었으나 얇게 펴서 건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단순한 열풍건조 만으로는 대량생산에 의한 분말 제조는 어렵고 좀더 보완적인 방법이 강구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해 동결건조에 의한 건조방법은 건조시간이 다소 걸리기는 했으나 딱딱해지거나 변색의 우려가 없으며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평가해 볼 때 열풍건조에 의한 분말 제조는 구체적인 보완이 필요하며, 동결건조에 의한 분말 제조가 열풍건조에서보다 우수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파찌감의 분말건조 방법은 동결건조가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 임지순;이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1-6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양촌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유용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월하시 생감과 곶감의 수분함량은 85.52, 47.36%, 조지방은 0.1, 0.13%, 조단백질은 0.30, 1.89%, 조섬유는 0.56, 2.0%를 각각 나타내었고, 수분활성도는 0.994, 0.838, pH는 5.68, 5.73, 당도는 12.6, $56.4^{\circ}Brix$를 각각 나타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생감과 곶감의 명도 L값은 외부가 47.58, 37.80, 내부는 66.55, 24.96을 각각 나타내었고, 황색도 b값은 외부가 73.40, 20.17, 내부는 26.55, 29.66을 각각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을 HPLC로 측정한 결과 glucose와 fructose 만이 확인 되었다. 곶감에서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glucose는 생감보다 3.24배, fructose는 3.67배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곶감에서 모두 17종이 확인되었다. 구성아미노산 중 전반적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 argin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valine, threon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등의 필수아미노산들이 골고루 검출되었다. 생감과 곶감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3,130.76 ppm과 12,849.33 ppm으로 곶감이 생감보다 4.1배나 높았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palmitoleic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nic acid(C18:3) 등 14-15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linolenic acid(C18:3)가 생감에 32.70%로, palmitic acid(C16:0)가 곶감에는 48.62%로 각각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을 AAS로 분석한 결과는 생감과 곶감의 나트륨은 0.60, 2.77 mg, 칼륨 190.49, 859.63 mg, 칼슘 11.73, 16.20 mg, 철 1.17, 3.17 mg, 그리고 인이 52.52, 84.90 mg/100 g 각각 검출되었다. 특히 무기물 중 칼륨과 인이 상당히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곶감에서 그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칼륨은 생감보다 4.5배, 인은 1.6배로 확인되었다.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 박미란;이재준;김아라;정해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53-860
    • /
    • 2010
  •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ose, galact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함량이 2,432.53 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순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83.57 mg%로 가장 많아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threonine, phospho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caproic acid methyl ester가 58.23%, pentadecanoic acid가 41.77%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극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함량 분석으로 항산화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0.0194 mg%, 0.0184 mg% 및 0.1833 mg%로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Ca 함량이 3,135.20 mg%로 가장 많았으며, K이 1,434.60 mg%였고 다음으로 Mg, Na, Mn, Fe, Zn, Cu 순으로 검출되었고 Zn과 Cu의 함량은 미량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ma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부위별 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 조인경;진성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2-746
    • /
    • 2009
  •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수분함량은 열매 71.18%, 줄기 74.85%로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은 줄기가 3.48%로 높았으며, 조섬유 또한 줄기가 2.58%로 열매 1.54%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회분, 조지방은 열매와 줄기 모두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altose는 소량 검출되었고, 유기산은 tart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가 검출되었고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 함량은 유리당, 유리산 모두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무기성분은 K의 함량이 178.61~254.71 mg%로 가장 높았고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모두 Glutamic acid의 함량이 357.10~654.82 mg%와 218.25-263.32 mg%로 가장 높았으며 열매보다 줄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Rhizopus delemar 발효 백수오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Cynanchi wilfordii Radix fermented with Rhizopus delemar)

  • 송빛나;김은주;정다솜;김소영;조용식;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3-8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효 백수오의 이용성 및 기능성을 증진시킨 식품 및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산도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발효 4일차에 0.48%로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 측정결과 발효 4일차 백수오는 대조구 비해 3.5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함량 분석결과 발효 4일차 백수오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glucose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약 27.7배 증가하였고, 열수추출물에서도 약 15배 증가하였다. 총 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 8종을 포함해서 총 17종이 검출되었다. 배양 8일차에는 90.36 mg/100 g 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백수오의 쓴맛을 내는 아미노산 arginine은 발효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해 함량이 감소하였고,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alanine, threonine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aspartic acid은 증가하였다. 백수오에 존재하는 지표물질인 cynandione A를 분석한 결과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은 발효 8일차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R. delemar의 발효를 통해 백수오의 기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R. delemar 균주 발효 백수오를 이용하여 기능성 및 생리활성 효능 등이 증대된 식품소재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백수오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에 적합한 R. delemar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일에 따른 백수오의 이화학적 특성 및 성분분석과 더불어 세포실험 등을 통해 기대되는 생리활성 효능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피브리노겐의 수치 및 중요한 아미노산 변형 돌연변이가 뇌중풍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brinogen Level and Genetic Variation in FGA Gene on Korean Stroke Patients)

  • 양용준;신용철;고성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123
    • /
    • 2010
  • Backgrounds : Stroke is characterized by loss of brain functions due to a disturbance in the blood vessels supplying blood to the brain, and classified into hemorrhage and ischemia. Stroke is known to be affected by genetic factors and other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However, the distinctive association between stroke and genetic variations has not discovered yet.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ibrinogen level and genetic variations in FGA (Fibrinogen alpha chain) gene on stroke in Korean stroke patients and controls. Methods : DNA samples from 674 stroke patients diagnosed by Oriental medical hospitals and 267 controls were used in this study. Two comm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with high minor allele frequency(MAF), rs2070011G/A of promoter region and nonsynonymous rs6050A/G of exon 5 in FGA gene, were targeted for Taqman genotyping. Because the TOAST classification is important to the factors and symptoms of stroke, ischemic patient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five subtypes using diagnosis and clinical data.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clinical data and genetic association, respectively. Haploview v4.1 program was used for linkage disequilibrium(LD), haplotype and haplotype block analysis. Results : The levels of red blood cells and fibrinogen from clinical data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ub-groups of TOAST classification. No significant associations of stroke, hemorrhage, ischemic and subtypes of TOAST with rs2070011 and rs6050 of FGA gene were found(P > 0.05). However, rs2070011 in promoter region and nonsynonymous rs6050 in exon 5 which produce the amino acid change from threonine to alanine showed a haplotype block and three haplotypes of A-G, G-A, A-A, suggesting that rs2070011 and rs6050 might be co-segregated in generic recombination. Although A-A haplotype of stroke patients showed 64-69% low frequency compared to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troke and haplotype(P > 0.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troke and two SNP of rs2070011G/A and nonsynonymous rs6050A/G in FGA gene. However, these two SNP compose a haplotype block and three haplotypes of A-G, G-A, A-A. This finding suggests that rs2070011 and rs6050 are so close as to be positioned as linkage disequilibrium. Nevertheles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aplotypes and stroke was found.

인분해효소를 이용한 환경친화성 육성돈사료개발 (Development of Growing Pig Diets for Friendly Environment by Using Phytase)

  • 홍종욱;김인호;권오석;이상환;이승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5-258
    • /
    • 2000
  • 본 연구는 육성돈에 있어 인분해효소인 phytase의 첨가가 환경친화성사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영양소 이용률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옥수수-대두박의 육성돈 사료이고,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Phytase의 첨가 수준을 500 unit 및 1,000 unit을 첨가한 구로 3×3 Latin Square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건물과 질소에 대한 소화율에서는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회분, 칼슘 및 인의 소화율의 경우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돼지가 섭취한 인의 양은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인의 흡수량에서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분과 뇨의 총 인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칼슘의 섭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칼슘의 분 배설량은 각 처리구간에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뇨의 배설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적은 양이 배설되었다. 소화된 아미노산 중 cyst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소화율이 현저히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Asparagine, threonine, serine, methionine, leucine의 경우 phytase를 500 unit 첨가한 구가 높은 소화율을 나타내었다(P<0.05). 한편 lysine, histidine, arginine 등의 다른 아미노산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약간의 소화율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인분해효소 phytase를 사료내 첨가하므로서 분중 영양소를 줄일 수 있는 환경친화성 사료를 개발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갖는 안경집과 이것에 결합되는 체결구가 마련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형성된 케이스로 구성된다.로 금형설계 및 제작기간을 단축하고자 한다.ere demonstrated in rats after i.c.v., intraperitoneally and orally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 antiepileptical effects by the combination of compounds from ginseng; were compared with the iuluence of Rg1, Rb1, Rc and with the well known antiepileptical drugs such as carbamazepine, valproic acid. The base for the research is obtained by using the WAG/Rij strain (Luijtelaar, Coenen, Kuznetcova), an excellent genetic model for human generalized absence epilepsy. The improving action of gensinosides was effectively demonstrated on the model of electrical kindling of amygdala of WAG/Rij rats with genetically determined absences, and the influences of ginsenosides on the slow wave discharges have also been being investigate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 kindling process exerted in the sex-dif

독활 에탄올 추출물의 대장암 세포에서 Cyclin D1 단백질 분해 유도를 통한 세포 생육 억제활성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Root of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through Proteasomal Degradation of Cyclin D1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박수빈;박광훈;송훈민;박지혜;신명수;손호준;엄유리;정진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28-334
    • /
    • 2017
  • Backgroun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ncer activity and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 of 70% ethanol extracts of the root of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awa) Y. C. Chu (RAc-E70) against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Methods and Results: RAc-E70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the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s, HCT116 and SW480. Although RAc-E70 reduction cyclin D1 expression at the protein and mRNA levels, RAc-E70-induced reduction in cyclin D1 protein level occurred more dramatically than that of cyclin D1 mRNA. The RAc-E70-induced downregulation of cyclin D1 expression was attenuated in the presence of MG132. Additionally, RAc-E70 reduced HA-cyclin D1 levels in HCT116 cells transfected with HA-tagged wild type-cyclin D1 expression vector. RAc-E70-mediated cyclin D1 degradation was blocked in the presence of LiCl, a $GSK3{\beta}$ inhibitorbut, but not PD98059, an ERK1/2 inhibitor and SB203580, a p38 inhibitor. Furthermore, RAc-E70 phosphorylated cyclin D1 at threonine-286 (T286), and LiCl-induced $GSK3{\beta}$ inhibition reduced the RAc-E70-mediated phosphorylation of cyclin D1 at T286.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ed that RAc-E70 may downregulate cyclin D1 expression as a potential anti-cancer target through $GSK3{\beta}$-dependent cyclin D1 degrad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RAc-E70 may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s for human colorectal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