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dimensional superimposi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임상가를 위한 특집 4 - 안면비대칭의 외과적 교정 (Facial asymmetry: Critical element of clinical successful treatment)

  • 홍종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10호
    • /
    • pp.623-632
    • /
    • 2014
  • 안면비대칭의 주원인은 하악골이며, 하악골의 비대칭 성장에 대한 상악골의 보상성장에 따라 교합면 경사 등이 초래된다. 디지털 사진과 삼차원 CT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확한 진단을 하고 수술을 포함한 치료계획을 세운다. 술전 교정 치료는 상악골과 하악골 치열의 치성 보상(dental compensation)을 제거하면서 상악 치열의 중심은 상악골의 정중선에, 하악 치열의 중심은 하악골 정중선에 맞게 이동하여 술후 상하악 치열궁이 일치하면서 동시에 안모 정중선에 일치하게 맞추어야 한다. 악교정 수술은 일반적으로 상하악 동시 수술을 하게 되며 우각부 풍융도 교정과 이부 성형술(genioplasty) 등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으며, 교합면 경사 교정과 수평 회전 등의 이동이 상하악 위치에 서로 영향을 주면서 수술 후 안모 변화에 대한 예측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을 통해 정확한 예측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치과용 모형 스캐너의 지대치 중첩 과정이 최종 가상 모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utment superimposition process of dental model scanner on final virtual model)

  • 유범영;손큰바다;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03-210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치과용 모형 스캐너를 이용하여 단일 전장관과 3본 고정성의치 모형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지대치의 중첩 과정이 최종 가상 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평가를 위해 단일 전장관과 3본 고정성의치를 위한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Pindex system을 이용하여 핀 작업된 모형을 제작하였다. 기준 스캔 데이터(CAD Reference Model)와 실험 스캔 데이터(CAD Test Model)를 획득하기 위해서 치과용 모형 스캐너(E1, 3Shape A/S, Copenhagen, Denmark)를 이용했다. 기준 스캔 데이터는 지대치를 분할한 후 탈착하지 않고 스캔하였다. 그리고 실험 스캔 데이터는 분할된 지대치를 분리하여 스캔 후, 기준 스캔 데이터에 중첩되었다(n = 20). 마지막으로 3차원 검사 소프트웨어(release 2018.0.0; Geomagic control X; 3D Systems)를 이용하여 root mean square (RMS)를 분석하였고, 통계 분석은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alpha}=.05$). 결과: 단일 전장관 지대치의 RMS 평균은 $10.93{\mu}m$, 3본 고정성의치 지대치의 RMS 평균은 $6.9{\mu}m$가 나왔다. 두 그룹의 RMS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줬다 (P < .001). 또한 두 그룹의 양(positive)과 음(negative)의 오류는 단일 전장관 지대치는 $9.83{\mu}m$, $-6.79{\mu}m$, 3본 고정성의치 지대치는 $6.22{\mu}m$, $-3.3{\mu}m$의 평균값이 나왔다. 두 그룹의 양과 음의 오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모두 3본 고정성의치 지대치가 단일 전장관 지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P < .001). 결론: 핀 작업된 모형의 스캔 과정에서 지대치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지대치의 중첩에 의한 오류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단일 전장관 지대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오류를 보였지만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스캔 정확도의 범위에 있다.

삼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안모 비대칭환자의 골격 분석 (SKELETAL PATTERN ANALYSIS OF FACIAL ASYMMETRY PATIENT USING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최정구;민승기;오승환;권경환;최문기;이준;오세리;유대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6호
    • /
    • pp.622-627
    • /
    • 2008
  • In orthognathic surgery, precise analysis and diagnosis are essential for successful results. In facial asymmetric patient, traditional 2D image analysis has been used by lateral and P-A Cephalometric view, Skull PA, Panorama, Submentovertex view etc. But clinicians sometimes misdiagnose because they cannot find exact landmark due to superimposition, moreover image can be magnified and distorted by projection technique or patient's skull position, when using these analysis and method. For overcome these defects, analysis by using of 3D CT has been introduced. In this way we can analysis precisely by getting the exact image free of artifact and finding exact landmark with no interruption of superimposition. So we want to review of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keletal landmarks of mandible or cranial base and facial asymmetry by predictable analysis using 3D CT. We select the cases of the patients who visited our department for correction of facial asymmetry during 2003-2007 and who were taken image of 3D CT for diagnosis. 3D CT images were reconstructed to 3D image by using V-Work program (Cybermed Inc., Seoul, Korea). And w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asymmetry and various affecting factor of skeletal pattern. The mandibular ramus high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was most affecting factor that express facial asymmetry. And in this research,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cranial base and facial asymmetry. The angulation between facial midline and mandibular ramus divergency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acial asymmetry

구강스캐너 5종의 협측 악간관계 스캔 정확성 비교 연구 (Accuracy comparison of buccal bite scans by five intra-oral scanners)

  • 박지만;전진;허성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1호
    • /
    • pp.17-31
    • /
    • 201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여 협측 악간관계 스캔에 따른 상하악 악궁 관계의 정확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정상 교합을 보이는 상하악 전악 모델을 5종(Cerec Omnicam, CS3500, iTero, Trios, TruDef)의 구강 스캐너로 제조사의 지시대로 스캔하였다. 폴리비닐실록산 교합 재료로 고정시킨 금속 지그를 이용하여 우측 구치부를 1, 2, 3, 4 mm 단계적으로 올린 후 좌측 협측 악간관계 스캔을 채득하였다. 두 데이터를 중첩하여 전체적인 삼차원 변이를 평가하였고, 교합 평면에 수직인 단면을 분석하여 교두간 거리의 양과 방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중첩연구에서 Cerec Omnicam ($165.5{\mu}m$)이 가장 적은 변이를 보였고, CS3500 ($369.0{\mu}m$)이 가장 큰 변이를 보였으며(P < 0.01), 1 mm 보다 3, 4, 2 mm 이개 그룹에서 변이가 유의미하게 컸다(P < 0.01). 단면 연구에서는 Cerec Omnicam이 교두끼리의 거리가 가장 먼 변이를 보였고($-242.8{\mu}m$), CS3500이 가장 가까워지는 변이를 보였으며($312.5{\mu}m$), 다른 거상 높이 보다 3 mm 이개 그룹에서 유의하게 변이가 컸다(P < 0.01). 결론: 구강 스캐너 마다 협측 악간관계 스캔을 이용해 상하악 교합 관계를 재현하는 정확성이 달랐다.

복합레진으로 제작한 인레이 보철물 구조에 따른 교합면 부위의 2차원 변연 적합도 및 내면 부위의 3차원 정확성 분석 (Analysis of the 2-dimensional marginal fit of the occlusal surface and the 3-dimensional accuracy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cclusal surface according to the inlay prosthesis structure made of composite resin)

  • 김동연;이태희;박동인;박진영;정일도;이하나;김지환;김웅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27
    • /
    • 2019
  • Purpose: To evaluate 2D and 3D of occulsal, mesial-occlusal and mesial-occlusal-distal cavity of composite resin inlay. Methods: Abutment tooth 16, 36 of FDI system was selected for the study. Inlay prostheses classified as occlusal cavity (OC group), mesial-occlusal (MOC) and mesial-occlusal-distal cavity (MODC) were prepared using composite resin. Composite resin was injected with composite resin in prepared tooth cavity and then photopolymerized with UV light. Additional thermal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Marginal gap of composite resin inlays were measured by digital microscope(x160) with silicone replica technique. The data was analyzed from statistical software for Kruskal-Wallis test (${\alpha}=0.05$). 3-dimensional analysis was analyzed through superimposition method. Results: The smallest 2D marginal fit measure of the three groups was $47.0{\pm}21.6{\mu}m$ in the MOC group. The largest 2D marginal was $69.1{\pm}33.8{\mu}m$ in the MODC group. In the trueness of the three groups, the most accurate figure was $14.4{\pm}2.3{\mu}m$ for the MODC group. In Precision, the most accurate figure was $14.5{\pm}4.3{\mu}m$ for the MODC group. Conclusion : In this study, 2D marginal fit of OC, MOC, and MODC cavities fabricated with composite resin was applicable to all clinical applications. In the 3D inner surface accuracy evaluation, the MODC group showed the accuracy results.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dental decompensation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on the basis of vertical skeletal patterns obtain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Kim, Yong-Il;Choi, Youn-Kyung;Park, Soo-Byung;Son, Woo-Sung;Kim, Seong-Si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227-234
    • /
    • 2012
  • Objective: To evaluate the presurgical orthodontic tooth movement of mandibular teeth after dental decompensation for skeletal Class III deformities on the basis of vertical skeletal patterns. Methods: This cohort was comprised of 62 patients who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vertical skeletal patterns.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canine, premolar, and 1st molar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were measured using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uperimposition method. Results: The incisors moved forward after dental decompensation in all 3 groups. The canines in group I and the 1st premolars in groups I and III also moved forward. The incisors and canines were extruded in groups I and II. The 1st and 2nd premolars were also extruded in all groups. Vertical changes in the 1st premolar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We also observed lateral movement of the canines in group III and of the 1st premolar, 2nd premolar, and 1st molar in all 3 groups (p < 0.05). Conclusions: Mov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premolars resolved the dental compensation. The skeletal facial pattern did not affect the dental decompensation, except in the case of vertical changes of the 1st premolars.

New virtual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for indirect bonding using the stereolithographic technique

  • Son, Kyoung-Hoi;Park, Jae-Woo;Lee, Dong-Keun;Kim, Ki-Dal;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8-14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 new virtual orthodontic treatment (VOT) system, which can be used to construct three-dimensional (3D) virtual models, establish a 3D virtual setup, enable the placement of the virtual bracket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fabricate the transfer jig with a customized bracket base for indirect bonding (IDB) using the stereolithographic technique. A 26-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nterior openbite, crowding in the upper and lower arches, and narrow and tapered upper arch, despite having an acceptable profile and balanced facial proportion. The treatment plan was rapid palatal expansion (RPE) without extraction. After 10 days of RPE, sufficient space was obtained for decrowding. After a 10-week retention period, accurate pretreatment plaster models were obtained using silicone rubber impression. IDB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VOT system. Crowding of the upper and lower arches was effectively resolved, and anterior openbite was corrected to normal overbite. Superimposition of the 3D virtual setup models (3D-VSM) and post-treatment 3D virtual models showed that the latter deviated only slightly from the former. Thus, the use of the VOT system helped obtain an acceptable outcome in this case of mild crowding treated without extraction. More cases should be treated using this system, and the pre- and post-treatment virtual models should be compared to obtain feedback regarding the procedure; this will support doctors and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during the learning curve.

Effectiveness of anchorage with temporary anchorage devices during anterior maxillary tooth retrac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Barthelemi, Stephane;Desoutter, Alban;Souare, Fatoumata;Cuisinier, Frederic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279-285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of anchorage provided by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 in maxillary bicuspid extraction cases during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using a fixed appliance. Methods: Patients aged 12 to 50 years with malocclusion for which bilateral first or second maxillary bicuspid extractions were indicated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randomly allocated to the TAD or control groups.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was achieved using skeletal anchorage in the TAD group and conventional dental anchorage in the control group. A computed tomography (CT) scan was performed after alignment of teeth, and a second CT scan was performed at the end of extraction space closure in both groups. A three-dimensional superimposition was performed to visualize and quantify the maxillary first molar movement during the retraction phase, which was the primary outcome, and the stability of TAD movement, which served as the secondary outcome. Results: Thirty-four patients (17 in each group) underwent the final analysis.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vement of the first maxillary molars, with less significant anchorage loss in the TAD group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AD movement showed only a slight mesial movement on the labial side. On the palatal side, the mesial TAD movement was greater. Conclusion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dental anchorage, TADs can be considered an efficient source of anchorage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TADs remain stable when correctly placed in the bone during the anterior tooth retraction phase.

NiTi scissors-bite corrector의 와이어 굵기에 따른 3차원적 치아 이동 양상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sizes of NiTi wire on NiTi scissors-bite corrector)

  • 전현주;박선형;정상혁;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3-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세 가지 서로 다른 굵기 $0.018"{\times}0.025",\;0.016"{\times}0.022"$, 0.016"의 NiTi 와이어로 제작하였을 때 각각의 치아 이동 양상을 치아 이동 시뮬레이션 장치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위교합에 이환된 상악 제2대구치 모형을 제작하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orthodontic mini-implant)를 식립하여 제1대구치에 간접골성고정원을 설계하였다. 세 가지 굵기의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부착하여 실험하였다. 치아의 이동 전후에 실험 모형은 computed tomography(CT)로 촬영하고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첩하였다. 치아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여, NiTi scissors-bite corrector 와이어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제2대구치 치관의 설측 이동량은 $0.018"{\times}0.025"$군(2.65 mm)이 가장 많았으며, 0.016"군(1.96 mm)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제2대구치 치관의 압하량은 $0.018"{\times}0.025"$군(2.35 mm), $0.016"{\times}0.022"$군(1.18 mm), 0.016"군(1.00 mm)으로 $0.018"{\times}0.025"$군이 나머지 두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치근의 압하량은 $0.018"{\times}0.025"$군(4.19 mm), $0.016"{\times}0.022"$군(3.29 mm), 0.016"군(2.24 mm)으로 세 군 간 모두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치아의 이동 양상을 관찰한 결과, 0.016"군에서는 제2대구치 치근의 협측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접골성고정원으로 사용된 제1대구치의 고정원 소실은 0.2 mm 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0.018"{\times}0.025"$ NiTi 와이어로 제작한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이용한 간접골성고정원과 함께 이용하였을 때, 최소한의 고정원의 소실과 함께 가장 큰 상악 제2대구치의 설측 이동 및 압하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액상청국장 추출물의 기능성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최적 추출조건 예측 (Prediction of Optimal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Properties from Fluid Cheonggukjang Extracts)

  • 이보미;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65-1471
    • /
    • 2007
  • 액상청국장의 추출공정별 청국장 추출물의 특성 비교 및 청국장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액상청국장을 각각 마이크로웨이브 파워별(30, 60, 90, 120 및 150 W), 시간별(1, 5, 9, 13 및 17분)로 추출한 후 생리활성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수율,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tyrosinase 저해작용, SOD 유사 활성 등의 생리활성 측정을 통해 추출 최적조건을 찾아내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한 결과, 액상청국장은 수율, tyrosinase 저해작용, SOD 유사활성이 일치하는 범위로 마이크로웨이브 파워 $55{\sim}75$ W, 시료에 대한 용매비 $2{\sim}5$ g/mL, 추출시간 $3.5{\sim}15$분으로 확인되었다. 예측결과에 의한 최적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측된 최적조건 범위 내에서 임의의 조건을 대입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예측해본 결과 액상 청국장에 대한 임의의 조건으로 시료에 대한 파워 60 W, 용매비 3.5 g/mL, 추출시간 13분을 설정한 후 액상 청국장에 대한 각각의 회귀식에 대입하여 얻은 예측된 최적값은 수율 24.99%, 전자공여능 75.42%, 아질산염 소거능 70.12%, tyrosinase 저해작용 15.69%, SOD 유사활성 36.16%로 실험값과 예측값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