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Dimension

검색결과 1,436건 처리시간 0.025초

소나무 군집안의 주요 구성종의 미분포와 종간 상관 (Pattern and association within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Kyunggi Province, Korea)

  • 오계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1호
    • /
    • pp.33-46
    • /
    • 1970
  • Pinus densiflora stands are common secondary forest communities on infertile soils in Korea. The stands are results of long severe past biotic pressure such as cutting, burning and grazing. These could be regarded as biotic climax in Korea. Because of their prevalent occurrence, relatively simple species and age composition, and their domestic economic importance, study of their distributional patterns may give some basic knowledge for better utilization of land resources in Korea. To detect distributional pattern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s ten pine stands, each of which was homogenious with respect to topography and physiognomy, were subjectively selected from pine stands in Kyunggi Province near Seoul in 1969 and were made object of this study. Four contiguous systematic samples of count for trees, shrubs and seedlings from belt transects were collected from homogeneous areas within ten natural pine stands. The belt transect was 64m or 128m in length, and 1m, 2m or 4m in width. Basic units within the transect ranged from 64 to 256. The data from the contiguous transects were analysed in terms of multiple split-plot experiment. Departure from randomness of stem distribution, i.e., pattern, was tested in terms of variance mean ratio. For the detection of association between specie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different block sizes. The values of ${\gamma}$ were tested by the usual t-test. Fine trees within one of the stands showed significant regular distribution through out the blocks. Within other eight stands pines were randomly distributed at basic unit with 4$\times$4m, 2$\times$2m, 2$\times$1m and 1$\times$1m. One significantly clumped distribution at basic unit 2$\times$2m, however, was observed from one of the pine stands. These randomly distributed groups were themselves significantly regular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blocks for four pine stands. For the other four pine stands, in addition to the random distribution at the basie unit(the primary random group), randomly distributed groups with 32m dimension(the secondary random groups) were also observed. Both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random groups were significantly regularly distributed at the rest of blocks. Pine seedlings were not distributed randomly thoughout the blocks. Within three of the ten stands they were contagiously distributed. Important shrub species underneath pines such as Querus serrata, Q. acutissima, Leapedeza intermedi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ae, Juniperus utilis,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shnwed consistently similar distributional pattern with the pine at each stand. The shrub species pairs;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ae/Quercus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Lespedeza intermedia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from 1m to 4m dimensional block sizes but becam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from 8m sized blocks on. On the other hand the shrub species pairs; Lespedeza intermedia/Robinia Pseudoacacia, and Lespedeza bicolor var, japonica/Lespedeza intermedia were also significnalty negatively associated from 1m to 8m sized blocks but becam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from 16m sized blocks on. The associational pattern between Rhododendron mucronul tun var. poukhanenae and Lespedeza intermedia was not consistent throughout the stands. In some stands negative association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blocks except NS 32. From these observatons micro-edaphic variation within the pine stands seems not to be great enough to cause distributinal difference of pine trees within the ten pine stands. Among each species and pine seedings, however, the edaphic variation within the pine stands may be great enought to cause distributional variation.

  • PDF

낙엽송재 내 수분의 내부이동 및 표면방사 평가 (Evaluation of Surface Emission and Internal Movement of Water in Japanese Larch Lumber)

  • 한연중;엄창득;김세종;강욱;박주생;박문재;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1-8
    • /
    • 2007
  • 목재의 방향별 내부수분이동계수와 표면방사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2.5 (방사방향) ${\times}$ 2.5 (접선방향) ${\times}$ 2.5cm (섬유방향)의 낙엽송 정육면체 시편을 제작하였다. 수분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4면을 파라핀테이프와 고무테이프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70, 50, $30^{\circ}C$의 3가지 온도조건과 30, 60%의 2가지 상대습도 조건에서 건조시키면서, 목재 내부와 표면에서의 수분이동을 평가하였다. 자유수 유동과 결합수 및 수증기의 확산에 의한 내부수분이동계수는 고온조건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섬유방향이 횡단방향에 비하여 6배, 횡단방향에서는 방사방향이 접선방향에 비하여 1.2배 정도 큰 값을 보였다. 표면방사계수는 온도가 상승하고, 표면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비평형상태에서 낙엽송재 내 함수율 분포변화와 증발수분량을 예측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국가적 차원의 유망연구영역 탐색: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과학계량학적 접근 (Identification of Emerging Research at the national level: Scientometric Approach using Scopus)

  • 여운동;손은수;정의섭;이창환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3호
    • /
    • pp.95-113
    • /
    • 2008
  • 급속도로 변화하는 과학기술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현존하는 기술의 발전을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새롭게 부상하는 유망기술을 찾아야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각 국가에서는 경쟁적으로 유망연구 영역을 찾고 있는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문가 평가를 기반으로 한 델파이 방법으로 유망기술을 탐색하고 있다. 그러나 델파이와 같은 전문가방식은 기본적으로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지하기 때문에 편향성과 이에 따른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방법의 기술예측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계량학적 방법으로 유망연구영역을 탐색하였다. 탐색과정에서는 다음 3가지의 특별한 노력을 통해 과학계량학적 방법의 성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첫째, 데이터베이스 선정에 있어서 공학 등 저널수가 적은 기술분야에서도 유망연구영역의 도출이 가능한가를 고려하였다. 둘째, 과학기술 전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에서 과학기술분야별로 가지고 있는 인용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부분인용계상(fractional citation counting)과 이동평균을 이용한 선형회귀분석을 도입하였다. 셋째, 과학계량학적 분석으로 나온 결과를 정성적으로 검증하여 과학계량학적 방법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 하였다. 최종 290개의 유망연구영역을 선정하였으며, 각 영역은 기술의 네트워크상에서 가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copus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었으며, 데이터마이닝과 가시화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개발한 KnowledgeMatrix가 사용되었다.

제천지역의 특성화를 위한 친환경운송수단 디자인개발 - 디자인비즈니스 개발을 위한 익스테리어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Development of Green Transportation Design for Special Identity of Jecheon Area - centered on Exterior Design for Development of Design Business -)

  • 문금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175-186
    • /
    • 2006
  • 21세기는 화석연료 자원의 고갈과 더불어 자동차의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심화되어 화석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개발에 선진국을 비롯한 각 국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제천은 주변에 많은 문화재 단지와 역사문화 유적지를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행사도 주최하고 있어 관광자원도 고루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천을 비롯하여 주변의 관광지들을 연계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 미비하고 일반적이어서 특별한 교통수단을 개발할 경우 또 다른 관광자원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제천지역의 특성화를 위한 친환경운송수단 교통시스템의 설정을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제천지역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방향설정을 위해 기존의 성공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교통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운송수단인 태양열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하이브리드 카, 전기자동차, 천연가스 자동차 등의 내용, 방식, 구조 및 장 단점 등을 연구 조사하였다. 연구조사를 바탕으로 제천지역에 적합한 친환경운송수단의 가능한 방향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을 각 계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비교 검토한 후 가장 적합한 교통시스템, 자동차 에너지원 및 차량형식, 승차인원과 차량제원 등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방향으로 자동차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디자인 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천과 주변지역을 연계하고 청정지역의 이미지를 살릴 수 있도록 친환경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교통수단의 특별한 익스테리어디자인을 제천시청과 충북도청에 제안하므로 제천을 관광특성화 할 셔틀버스의 디자인비즈니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웹페이지 디자인의 이브랜드 개성 구축을 위한 시각조형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brand personalities and visual attributes)

  • 박수이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7-204
    • /
    • 2006
  • 경쟁이 치열한 온라인 콘텐츠 시장에서 이브랜드 개성(eBrand Personality)은 효과적인 차별화 전략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브랜드 개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각 측면에서 이브랜드 개성의 구현 방법을 구체적인 디자인 언어로 제시하는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브랜드를 형성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인 웹페이지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이브랜드 개성 차원을 시각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시각조형특성(visual attributes)을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이브랜드 개성 차원 모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탐색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각각의 이브랜드 개성 차원과 관련 있는 시각조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앞서 도출된 탐색적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극을 제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확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 연구를 통해 도출된 네 가지 차원, 'Pl.선정적이다', 'P2.분석적이다', 'P3.호의적이다', 'P4.세련되다'을 바탕으로 탐색적 연구에서는 '단순성'과 '응집력'은 'P1.선정적이다' 개성 차원과 관련이 있으며, '대비', '규칙성,' '조밀성'은 'P2.분석적이다' 개성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비', '규칙성', '응집력', '조밀성'은 'P3.호의적이다' 개성 차원과, '균형', '규칙성'은 'P4.세련되다'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증적 연구를 통해 앞서 제시된 분석 결과를 검증한 결과, 'Pl.선정적이다', 'P2.분석적이다', 'P2.호의적이다' 차원에 대한 이브랜드 개성 차원과 시각조형특성 간의 인과관계가 검증되었다.

  • PDF

생의 마지막 단계.삶의 완결.완화간호 모델 (The Last Phase of Life.Life Completion.Palliative Care Model)

  • 김달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3호
    • /
    • pp.115-121
    • /
    • 2009
  • 근래의 호스피스 완화 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관심과 지원 정책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스피스 완화 의료의 정착과 발전이라는 명목을 가지고 우리는 호스피스 완화간호와 관련된 우리 주위의 현실에 비판과 반영의 눈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 모델을 찾아내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사람과 가족의 완화 간호에 적합한 모델인가를 심사하는 것은 목적으로 하였다. 소개되고 심사된 모델은 Eagan, Labyak의 호스피스 경험 모델과 Byock의 삶의 완결(life completion)을 위한 성장 모델이었다. 호스피스 경험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와 가족의 경험과 가치관에 근거한 임종 간호 모델로서 개개인의 경험의 독특성을 인정하며 환자 가족 개개인의 다 영역의 역동성과 상호작용적 관련성과 다 영역적 특성을 가진 개개인의 상호 관계성을 인정한다. 또한,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도 다 영역적 상호 관계성은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만들 수 있음을 인정한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의 개개인 요구에 부합된 삶의 질 개선, 고통 제거, 삶의 완결, 좋은 죽음을 이끄는 완화 간호를 이끌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Byock의 성장 모델은 임종의 시기를 마지막 삶의 발달 단계로 보았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을 삶의 완결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모델은 세속적인 일/사회적인 일/개인적인 관계들/개인 내재적인 영역/초월적 영역들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진 이정표와 발달 과업을 포함한다. 이 모델에서는 전문 의료인이 이정표 및 과업을 이용하여 성장의 주체의 변화를 얼마나 잘 파악하여 내고 도와주는 가가 환자 및 가족의 성장의 열쇠가 되며 한 인간이 인간 실존 안에서 삶을 마칠 수 있게 만드는 결과를 낼 수 있다.그 결과 개인은 평화와 안녕 속에서 삶을 마감할 수 있다. 이 두 모델은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의 모델로 고려되었다.

  • PDF

3D 프린터로 제작된 CT 팬톰을 이용한 물리적 관심영역과 설정 관심영역의 크기에 따른 하운스필드의 비교 (Comparison of Hounsfield Units by Changing in Size of Physical Area and Setting Size o f Region o f Interest b y Using the CT Phantom Made with a 3D Printer)

  • 성열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421-4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dimension, D) 프린터로 자체 제작한 팬톰을 이용하여 관전압과 관전류량 변화 중심으로 균일한 조직의 물리적 영역 크기 변화에 의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와 설정치 영역 크기 변화에 의한 ROI 내에서의 하운스필드(hounsfield units, HU)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단면영상과 HU를 획득하기 위해 4-다중 검출기 전산화단층영상장비를 이용하였다. 팬톰 제작은 용융적층조형술(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프린팅 방식의 3D 프린터 기기를 사용하였다. 팬톰의 구조는 $160{\times}160{\times}50mm$의 원통형으로 33 mm, 24 mm, 19 mm, 16 mm, 9 mm 크기의 원형 구멍을 대칭되도록 두 쌍으로 설계하였다. 구멍에는 증류수를 혼합한 조영제를 충전하였다. X선의 관전압과 관전류량는 각각 90 kVp, 120 kVp, 140 kVp 그리고 50 mAs, 100 mAs, 150 mAs로 변화시켜 단면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의 ROI 내 HU 측정은 image J 프로그램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관전류량보다는 관전압이 HU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균일한 밀도를 갖는 물질이라도 물리적 영역 크기가 작아질수록 HU는 감소하였으며 ROI 설정 영역 크기가 작아질수록 HU는 증가하여 HU가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5 HU 이내의 노이즈 수준에서 ROI를 최대한 크게 설정하는 것이 물리적 영역 크기와 ROI 설정 영역 크기에 의한 변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치료 계획용 전산화 단층촬영이 방사선 치료계획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rapy Oriented CT in Radiation Therapy Planning)

  • 김성규;신세원;김명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49-155
    • /
    • 1987
  • 전산화 단층촬영 (CT)은 진단 분야 뿐 아니라 방사선 치료 계획 및 치료효과의 추적 등 치료분야에 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체위가 치료시와는 다름으로 얻어진 영상이 치료시의 영상과는 차이가 있으며, 삼차원적인 치료면적의 계산이 곤란할 뿐 아니라 조영제를 사용함으로 생길 수 있는 선량계산의 오라 및 정확한 조사야가 표현되지 많음으로 병소 및 중요 정상장기의 선량 측정이 정확하지 못한점 등의 단점이 없다. 저자들은 1986년 5월 1일부터 1987린 4월 30일까지 영남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은 총 365명의 환자 중 일반 CT의 단점을 보완한 치료용 CT와 종래의 simulation을 병행한 106명의 치료계획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료용 CT후 두경부 암 환자의 $47\%$, 흉부암 환자의 $79\%$, 복부암 환자의 $63\%$에서 치료계획의 변경이 있어 치료용 CT가 두경부암, 흉부암, 복부암에서 거의 철수적임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직장암, 자궁경부암에서는 추가치료의 조사야의 측정 및 선량계산 이외의 전예에서 치료계획의 변경이 없었다. 선량분포의 비교측정에서는 윤곽만을 사용한 종래의 선량계산이 CT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두경부암에서는 평균 $20\%$, 흉부암, 복부암에서는 약 $10\%$의 차이를 보여 전례에서 CT보다 과측정 되었음을 보여 종래의 윤곽만을 사용한 치료계획시의 저선량 조사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Microwave를 이용한 심방세동의 치료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with Microwave)

  • 조광현;최강주;강도균;전희재;윤영철;이양행;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29-334
    • /
    • 2003
  • 배경: 심방세동을 치료하기 위해 주로 radiofrequency 또는 cryoablation의 방법을 이용해왔다. Microwave를 이용하여 심방조직을 파괴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과 비교하여 조직투과성이 좋다는 보고가 있다. 보고자는 심방세동의 치료에 microwave를 이용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2월부터 2002년 7월까지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로는 남자 3명, 여자 5명이었고 평균나이는 43세, 평균체포면적은 $1.5m^2$이었다. 대상환자 중 7명에서 승모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고 1명에서는 승모판막치환술과 대동맥판막치환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Microwave ablation은 심정지상태에서 1회 45 watts 25초로 시행하였다.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약 6개월 뒤에 각각 심장초음파와 심전도를 이용하여 좌심방의 크기와 동율동의 회복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합병증이나 사망률은 없었다. 수술 중 대동맥차단시간은 평균 104.6$\pm$25.0분, 체외순환시간은 평균 130.5$\pm$28.7분이었다. 수술 후 동율동의 회복은 평균 5.6개월 후에 75%이었다. 수술 전후 초음파로 측정한 좌심방의 크기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평균 5.6개월에 측정한 승모판막의 $\alpha$파는 평균 77.0$\pm$24.8 cm/sec이었고 A/E 는 평균 0.46$\pm$0.17이었다. 결론: Microwave를 이용한 심방세동 차단술의 조기결과는 다른 방법의 결과와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시 적용의 편리함과 심박동 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향후 그 적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중앙성 지표에 따른 충청북도 인구이동 특성 : 2001년과 2008년 사례 비교분석 (Chungbuk Province's Migration Characters Based on the Centrality Indicators : Comparative Observations of 2001 and 2008 Examples)

  • 박주혜;홍성호;안유정;이만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9-386
    • /
    • 2010
  • 목적지와 기원지 사이의 공간효용과 매력도의 차이 때문에 주로 생겨나는 인구이동은 인구의 지역적 역동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구이동과 지역계획 또는 지역정책은 상호 순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특성을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지역 인구이동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구이동의 방향과 전출지와 전입지의 관계 및 관계의 비중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동원하였다. 그 가운데에서도 중앙성 지표를 활용하여 인구유입 유출 경향을 파악하고, 스프링 그래프로 시각화함으로써 인구유입지와 인구유출지를 쉽게 식별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2001년과 2008년의 전국적인 인구이동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여 i), 전국과 충청북도의 이동, ii) 충청권 내부 이동, iii) 충청북도 내부 인구이동 특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충북을 근간으로 한 사례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사기간 동안 전국과 충북의 이동 측면에서 청주시 흥덕구로의 인구유입 규모가 가장 컸다. 또 충북으로 유입한 인구의 주된 전출지는 경기도와 서울이었다. 한편, 2001년 충청권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유입한 광역자치단체는 대전광역시였으나, 2008년에는 충남으로 그 순위가 바뀌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