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brand personalities and visual attributes

웹페이지 디자인의 이브랜드 개성 구축을 위한 시각조형특성 분석

  • 박수이 (서울여자대학교 미디어 학부 콘텐츠 디자인)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The brand personality of online products and services is know as its e-brand personality. Although, in the competitive conditions of online markets, e-brand personality is agreed to be an important factor, few studies have suggested how to establish e-brand personality through the visual design of web sites. This study identifies and verifi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isual attributes of web pages and e-brand personalities. The first identifies four major dimensions of e-brand personality on diverse web sites. The second uses 52 experimental home pages to identify key visual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ose four personality dimensions. The third is a confirmatory study with 16 experimental web sites that verifi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attributes and e-brand personalities. The results show that two visual attributes, 'simplicity' and 'cohesion,' help to establish a 'bold' personality. Three attributes, 'contrast,' 'density,' and 'regularity,' affect whether a site has an 'analytical' personality. 'Contrast,' 'cohesion,' 'density,' and 'regularity' all influence whether a web site is perceived to have a 'friendly' personality. 'Regularity' and 'balance' were expected to affect the 'sophisticated' personality dimension, but no such impact was observed.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경쟁이 치열한 온라인 콘텐츠 시장에서 이브랜드 개성(eBrand Personality)은 효과적인 차별화 전략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브랜드 개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각 측면에서 이브랜드 개성의 구현 방법을 구체적인 디자인 언어로 제시하는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브랜드를 형성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인 웹페이지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이브랜드 개성 차원을 시각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시각조형특성(visual attributes)을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이브랜드 개성 차원 모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탐색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각각의 이브랜드 개성 차원과 관련 있는 시각조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앞서 도출된 탐색적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극을 제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확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 연구를 통해 도출된 네 가지 차원, 'Pl.선정적이다', 'P2.분석적이다', 'P3.호의적이다', 'P4.세련되다'을 바탕으로 탐색적 연구에서는 '단순성'과 '응집력'은 'P1.선정적이다' 개성 차원과 관련이 있으며, '대비', '규칙성,' '조밀성'은 'P2.분석적이다' 개성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비', '규칙성', '응집력', '조밀성'은 'P3.호의적이다' 개성 차원과, '균형', '규칙성'은 'P4.세련되다'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증적 연구를 통해 앞서 제시된 분석 결과를 검증한 결과, 'Pl.선정적이다', 'P2.분석적이다', 'P2.호의적이다' 차원에 대한 이브랜드 개성 차원과 시각조형특성 간의 인과관계가 검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