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 dimensional coordinate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5초

직접선형변환을 이용한 3차원 좌표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e Dimensional Coordinates Analysis by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 김감래;이호남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55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내부표정요소와 외부표정 요소를 모두 미지수로 취급하는 직접선형변환의 기본식을 유도하여 비반복적으로 직접 후방교회를 실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 전산화 하였으며, 기존의 입체도화기와 Digitizer를 이용하여 상좌표를 측정하였다. 입체도화기와 Digitizer를 이용한 상좌표 측정 및 직접선형변환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양해석법으로 자료추출을 실시하였으며, 절대좌표에 대한 표준오차를 분석하였다.

  • PDF

악교정 수술에서 모의 조종된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응용 (Application of Simulated Three Dimensional CT Image in Orthognathic Surgery)

  • 김형돈;유선국;이경상;박창서
    • 치과방사선
    • /
    • 제28권2호
    • /
    • pp.363-385
    • /
    • 1998
  • In orthodontics and orthognathic surgery. cephalogram has been routine practice in diagnosis and treatment evaluation of craniofacial deformity. But its inherent distortion of actual length and angles during projecting three dimensional object to two dimensional plane might cause errors in quantitative analysis of shape and siz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ree dimensional object is diagnosed and evaluated three dimensionally and three dimensional CT image is best for three dimensional analysis. Development of clinic necessitates evaluation of result of treatment and comparison before and after surgery. It is desirable that patient that was diagnosed and planned by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before surgery is evaluated by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fter surgery. too. But Because there is no standardized normal values in three dimension now and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needs expensive equipments and because of its expenses and amount of exposure to radiation. limitations still remain to be solved in its application to routine practice. If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 is constructed by pre and postoperativ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and preoperative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m. pre and postoperative image will be compared and evaluated three dimensionally without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fter surgery and that will contribute to standardize normal values in three dimension. This study introduced new method that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 was constructed by preoperative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m and pre and postoperativ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and for validation of new method. in four cases of dry skull that position of mandible was displaced and four patients of orthognathic surgery.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four cases of dry skull that position of mandible was displaced. range of displacement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in co-ordinates values was from -1.8 mm to 1.8 mm and 94% in displacement of all co-ordinates values was from -1.0 mm to 1.0 mm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was noticed(p>0.05). 2. In four cases of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range of displacement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in coordinates values was from -6.7 mm to 7.7 mm and 90% in displacement of all co-ordinates values was from -4.0 to 4.0 mm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was noticed(p>0.05). Conclusively.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 was constructed by preoperative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m and pre and postoperativ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Therefore. potentiality that can construct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 without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fter surgery was presented.

  • PDF

텍스처 영상 재배열을 이용한 삼차원 텍스처 좌표 부호화 (Three-dimensional Texture Coordinate Coding Using Texture Image Rearrangement)

  • 김성열;호요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6호
    • /
    • pp.36-45
    • /
    • 2006
  • 삼차인 텍스처 좌표(texture coordinates)란 삼차원 표면을 텍스처와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 기술을 이용하여 렌더링 할 때, 폴리곤(polygon)에 사상되는 텍스처 조각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삼차원 텍스처 좌표를 압축하는 기존의 방법은 기하학 정보를 압축하기 위해 사용한 선형 예측기(linear predictor)를 그대로 다시 이용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부호화 순서에 따라 텍스처 좌표가 불연속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선형 예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가 없었다. 특히, 이러한 텍스처 좌표의 불연속성(discontinuity)은 non-atlas 텍스처를 가지고 있는 삼차원 메쉬 모델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부호화 순서에 따라 텍스처 영상을 재배열하여 삼차원 텍스처 좌표를 부호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텍스치 좌표 부호화는 텍스처로부터 텍스처 조각을 추출하고, 이를 부호화 순서에 맞게 연속적으로 재배치한 후, 텍스처 좌표를 선형 예측한다. 제안한 방법은 텍스처 좌표의 불연속성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텍스처 좌표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MPEG-4 3DMC 표준보다 부호화 효율성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X선 3차원 영상 시스템에서의 영상 왜곡 및 영상 좌표계 보정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 and Coordinate Calibration of the x-ray 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

  • 노영준;김재완;조형석;전형조;김형철;주효남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413-413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ries of calibrations f3r the x-ray 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 In the developed x-ray system, a three dimensional inner and outer shape of an object can be reconstructed out of two dimensional transmitted x-ray image set, which are acquired by projecting x-ray to the object from different views. To achieve this, a reconstruction algorithm which estimates and updates the three dimensional volume from x-ray images is developed. The algorithm is named as uniform and simultaneous 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USART) which is an iterative method estimating a 3D volume based on its projected images. In this method, it is assumed that the imaging conditions that are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x-ray sources, object and the image planes are blown. Practically it is not easy to know the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of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since the x-ray is not visible and the image distortions are present due to the optical components in the system. In this paper, methods of correcting image distortions are present firstly. Then the coordinates of the x-ray systems are calibrated from the x-ray images of the grid pattern. Some experimental results on these calibrations are present and discussed.

  • PDF

웹기반 위성사진측량 기술개발 방안 (Methodology to Develop the Technology of Web-based Satellite Photogrammetry)

  • 김의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7-123
    • /
    • 2012
  • 세계 각국은 우주개발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인하여 자국의 지구관측위성을 발사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웹 환경의 발달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는 위성영상을 쉽게 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위성의 센서모델링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다소 없더라도 쉽게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위성사진측량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웹 환경에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 요소기술을 분석하고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센서모델링 방법중의 하나인 평행투영모델을 적용하여 에피폴라 영상을 생성하고 웹 환경에서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형태의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 사용자도 쉽게 웹 환경에서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고 기 구축된 공간정보의 갱신과 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Use of spherical coordinates to evaluate three-dimensional facial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 Yoon, Suk-Ja;Wang, Rui-Feng;Ryu, Sun-Youl;Hwang, Hyeon-Shik;Kang, Byung-Cheol;Lee, Jae-Seo;Palomo, Juan 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1호
    • /
    • pp.15-2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three-dimensional (3D) facial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by evaluating the spherical coordinates of facial lines using 3D computed tomography (CT). Materials and Methods: A 19-year-old girl was diagnosed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Orthognathic surgery was performe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acial CT scan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e patient had a menton deviation of 12.72 mm before surgery and 0.83 mm after surgery. The spherical coordinates of four bilateral facial lines (ramal height, ramal lateral, ramal posterior and mandibular body) were estimated from CT scans before and after surgery on the deviated and opposite side. Results: The spherical coordinates of all facial lines changed after orthognathic surgery. Moreover, the bilateral differences of all facial lines changed after surgery, and no bilateral differences were zero. Conclusion: The spherical coordinate system was useful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changes to facial lines.

AR 게임을 위한 위치추정 정확도 향상 알고리즘 (Algorithm to Improve Accuracy of Location Estimation for AR Games)

  • 한서우;서덕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32-40
    • /
    • 2019
  • 실내에서 위치를 추정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하다. 실내에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방법과 하드웨어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정확도가 높지만, 하드웨어 설치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설치비용이 들지 않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 AR 게임을 위한 위치추정에 제일 중요한 목표는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Perspective-N-Point (PnP)의 해를 얻어야 한다. PnP 문제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위치를 추정하고 싶은 공간의 삼차원 좌표와 그 공간에서 찍은 영상이 필요하다. 삼차원 좌표와 매칭 되는 이차원 좌표 6쌍을 통해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점들을 선택하면 정확도가 높아지는지 확인할 비공면도(non-coplanarity degree)를 추가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점 6개 이상인 상황에서 비공면도가 커질수록 위치추정 정확도가 높아질 확률이 높다. 제안한 방법의 장점은 모든 기존 위치추정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과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것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소실선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Augmented Reality System of Using Vanishing lines)

  • 반경진;김종찬;김경옥;김응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76-678
    • /
    • 2010
  • 기존 증강현실은 객체와 배경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하여 데이터 글러브나 마커 등을 이용하였다. 이는 사용에 불편함과 몰입감 저하가 발생했다. 증강현실에서 몰입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입력장치의 제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에서의 몰입감 향상을 위해 부가적인 입력장치의 착용없이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가상의 공간좌표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획득한 영상을 2차원 공간상에 투영하고 소실선을 추출하여 투영된 가상공간좌표를 계산하여 2차원 좌표상에 투영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3차원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3D 모델러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객체 생성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 PDF

축대칭 원통좌표계에서 수정된 구분종좌법에 의한 복사열전달 해석 (Radiation in axisymmetric cylindrical coordinates with the modified discrete-ordinates method)

  • 김만영;백승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2권2호
    • /
    • pp.213-220
    • /
    • 1998
  • The conventional discrete-ordinates method (DOM) is modified and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wo-dimensional axisymmetric cylindrical enclosure with curved wall.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work is to extend the capability of the conventional DOM into a general axisymmetric geometry like nozzle-shaped enclosure, by adopting the arbitrary control angle as was done in the finite-volume method (FVM), while keeping the same two-dimensional solution procedure as in the conventional DOM. The present method is validated by applying it to three different benchmark problems of axisymmetric enclosure containing absorbing, emitting and scattering medium. Results presented in this work not only support the solution accuracy, but also moderate efficiency in the numerical calculation of axisymmetric radiation problem.

선박블록의 정도관리를 위한 3차원 좌표의 패턴매칭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Matching Algorithm of 3D Coordinates for Quality Control in Ship Blocks)

  • 이호철;이동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33-939
    • /
    • 2012
  • 일반적으로 선박공정에서 작업자는 완성된 블록을 레이저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된 선박블록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한다. 그런데 제작된 선박블록의 좌표측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이에 의한 측정된 좌표는 설계단계에서 작성된 도면의 설계좌표와 편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육안으로 직접 선박블록의 측정좌표와 설계좌표의 일치정도를 확인해야 하며, 이는 선박불록의 정도관리에 대한 인적 및 시간적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공정의 선박블록의 정도관리에 있어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동화된 3차원 좌표의 패턴매칭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제안한 3차원 좌표의 패턴매칭 알고리즘의 성능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3차원 좌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단일 및 다수 선박블록의 측정좌표 데이터에 대한 좌표매칭율은 거리오차 허용범위가 20~25cm에서 약 90.2%가 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