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 Dimension Stereoscopic Imag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3D입체영상 라이드 필름의 감성어휘 (Sensibility Vocabulary for 3D Stereoscopic Image Ride Film)

  • 송승근;채일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20-12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3D 입체영상 라이드 필름에서 발현되는 사용자 감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표감성어휘를 도출하고 이들 간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성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3D 입체영상에 적합한 감성어휘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206개 기초감성 어휘가 수집되었으며 이에 대하여 62명의 일반 사용자와 4명의 전문가에 의한 적절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77개의 감성어휘 후보를 선발 하였으며 단어 유사성을 배재하여 26개의 대표감성 어휘 후보를 선발하였다. 이를 기초로 자유연상 기법을 활용해 최종 15개의 대표감성어휘를 도출하고 감성어휘 간의 구조를 파악 할 수 있었다. 기존 감성에 대한 연구가 정지된 대상이라면 본 연구는 움직임에 대한 감성으로서 감각, 감정을 포함한 감성연구를 제안하며 향후 3D입체영상의 감성공간과 감성효과에 대한 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3D 입체영상 라이드 필름을 제작할 때 기초가 되는 디자인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방용 3D 입체패턴 디자인 자카드 직물 개발과 감성구조 (Developm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Jacquard Fabrics with Three Dimensional Pattern Design for Bag)

  • 김정화;김명옥;이정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4-111
    • /
    • 2019
  • This study was developed using the DTP (digital textile printing) jacquard fabrics with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 bag and evaluated the preference and emotional struc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ee-dimensional patterns of 12 species using the illustrator program, including six kinds of designs based on the text and six kinds of character types based on the geometry of the basic design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eference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jacquard fabric, the most preferred fabric was a three-dimensional patterned jacquard fabric with a motif of the Korean consonant "ㅅ".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jacquard fabric, eight factors including simple image, feminine image, exotic image, graphic image, sporty image, masculine image, dynam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were derived. Between emotional factors and preference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stronger the simple image, the feminine image, and the sporty image, the more preferable.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morphological and new fabric for bag, textile design motifs by using Hangul consonants attempt to limit the flatness of the existing geometric form patterns that can be applied to three-dimensional bag whether swirly patterns overcome.

어도비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한 anaglyphic 입체영상 제작법 (Construction of Anaglyphic Stereo Pair Image using Adobe $Photoshop^{(R)}$ Program)

  • 김지웅;이세정;유임주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143-146
    • /
    • 2007
  • The objects of the nature have three dimensional (3-D) parameters. The 3-D profiles are embedded on the photographs and microscopic images. To understand 3-D configuration, stereo pair image with thick section is frequently employed. The perception of 3-D images is possible with the aid of stereoscopic glasses, although the expert can perceive 3-D images without the glasses. Anaglyphic stereo images are constructed by various softwares from commercial and freeware. Here we would like to present an easy anaglyphs construction method with Adobe $Photoshop^{(R)}$ based on tilting paired images from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e. The anaglyphic stereo images constructed revealed the same 3-D perception with conventional stereoscopy. We could zoom in/out the anaglyph image digitally to investigate the detail configuration by real time. This metho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complex structures 3 dimensionally.

홀로렌즈를 이용한 장기 투영 시스템 (The Organ projection system using holographic lens)

  • 김동연;김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3-85
    • /
    • 2017
  • 일반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장기 투영 시스템은 MRI와 CT이다. MRI와 CT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체를 절개하지 않고 내부 장기를 의사가 볼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문제점은 단면적으로 영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의사들이 내부 장기를 입체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의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의 내부 장기를 현실에 투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개발한 시스템은 홀로렌즈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위로 내부 장기를 입체 영상으로 보여주며 핸드 모션을 이용하여 내부 장기를 이동시켜 상세하게 관찰이 가능하게 한다.

  • PDF

3차원 입체영상에서 시지각(時知覺) 요인의 상관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Factors in 3-D Stereoscopic Visual-perception)

  • 조용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9호
    • /
    • pp.161-181
    • /
    • 2010
  • 인간이 외부세계를 지각하는데 70%이상을 의존하고 시각을 통한 지각경험은 3차원 입체 영상기술의 발전으로 실재감 재현의 주축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분야의 접목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3차원 입체지각 기술은 양안시차의 지각요인의 원리를 경험적 지각요인과 결합하여 실재감을 재현하는 기술로, 인간이 지닌 시각의 생리적 특징을 메카니즘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인간의 지각요인은 생리적인 요인으로만 설명하기엔 부족함이 많다. 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일정하게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인 요인이나 물리적인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인지된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지각 요인간의 상관관계가 3차원 입체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3차원 입체를 지각하는 경험적, 생리적 요인과 형태를 지각하는 물리적,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게슈탈트의 집단화 및 단순화 현상과 3차원 입체지각 간의 관계를 실험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3차원 입체의 지각특성을 을 일부 파악하고 이는 실재감 재현을 위한 3차원 입체 콘텐츠제작에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