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atened specie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9초

서해안 염생식물 퉁퉁마디의 발아지속과 복원 (Germination Continuity and Restoration of Salicornia europaea, Halophyte in West-coast of Korea)

  • 김기훈;강내규;송우람;이은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8
    • /
    • 2012
  • Salicornia europaea (glasswort) is succulent, annual, halophytic plant mainly distributed throughout reclaimed land or salt marsh. It has strong tolerance to salt so that it plays the part of the pioneer species in the first succession. According to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S. europaea contains plenty of minerals and antioxidant in the body. Since people take note of an availableness of this plant as health diet, the natural growth sites are threatened. In addition to development of salt marsh and sea shore, imprudent harvest has a bad effect to S. europaea population maintenance. To seek ways to preserve the population of this plant, we carried out the continuity of seed germination and restoration test. Seokmo Island, Daebu Island, Youngjong Island and Sudokwon landfill in Korea are selected sites for research. Result of germination continuity shows that most S. europaea seeds germinate on March but no more after July. However the germination was occurred after that time in the greenhouse. So we concluded that no germination after July is a matter of environmental condition not the number of remaining seeds. Also germination was seldom occurred in the spot where seeds production was not happened. In result of continuity test of seed germination by soil depth, germination was occurred vigorously only in top soil. From these results, we note that most S. europaea germinate in the early spring, and germination is finished by July. And this rapid germination speed makes the number of seeds in soil seed bank rare. If a large number of S. europaea in some area are harvested after July, the number of this species will dramatically decrease in that area the following year. In Seokmo Island, we carried out reintroduction experiment by sowing S. europaea seeds. On the first year, a small number of S. europaea settled and they produced seeds successfully. On April 2010, the second year, we observed many S. europaea in seed sowing sites. And we found out that plowing is more efficient than treatment sea water for settlement of S. europaea.

시스템 사고를 통한 다기능 생태저류지의 관리방안 - 광명 안터생태공원을 중심으로 - (The Management Methods of Multi-Purpose Ecological Reservoir by System Thinking - Focused on Anteo Eco Park -)

  • 이현지;유수진;전진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7
    • /
    • 2015
  • Ecological reservoir is a multifunctional space where provides the functions of retention, animal habitat and improvement of ecosystem health and landscape. The ecological reservoir of Anteo Eco Park located in Gwangmyeong-si has established to functions for water purification, maintenance of healthy aquatic ecosystem. Because the Anteo Eco Park is located in the site where nonpoint pollutant materials flow in, Anteo Eco Park has potential factors which aquatic ecosystem health deteriorates and damages the habitat of golden frog(Rana plancyi chosenica) which is restoration target spec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 to manage the variables which impede the right functions of aquatic ecosystem by understanding the causal loop diagram for the change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and the interaction of predator-prey through system thin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 individual number of golden frog which is an indicator species of Anteo Eco Park is threatened by snakeheaded fish, which is an upper predator. Therefore, balanced food chain should be hold to protect golden frog by capturing the snakeheaded fish which is individual number's density is high, and the monitoring management of the individual number for predator(snakeheaded fish)-prey(golden frog) should be performed. Second, the study represented that water pollution and carnification is caused by the sediment as the dead body of the large emergent vegetation in the winter cumulates as sediment. Ecological reservoir in Anteo Eco Park has been managed by eliminating the dead body of the large emergent vegetation, but the guideline for the proper density maintenance of vegetation community is additionally needed. Lastly, the study showed that aquatic ecosystem of Anteo Eco Park where is contaminated from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affects the individual number's decline of golden frog and snakeheaded fish. Accordingly, the creation of a buffer area and a substitution wetland is needed in the periphery of the Anteo Eco Park to control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including organic matters, nutrients and heavy metal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hat Anteo Eco Park improves the regional landscape and maintain healthy aquatic ecosystem space for the park visitors including local residents.

Adventitious root induction in Ophiorrhiza prostrata: a tool for the production of camptothecin (an anticancer drug) and rapid propagation

  • Martin, Kottackal Poulose;Zhang, Chun-Lai;Hembrom, Manoj Emanuel;Slater, Adrian;Madassery, Joseph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2호
    • /
    • pp.163-169
    • /
    • 2008
  • Roots of Ophiorrhiza prostrata D. Don serve as a rich source of camptothecin (CPT), an anticancer drug. Because of the large-scale collection of its roots, the plant has become a threatened species. The present study accomplishes the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as a means for the production of CPT as well as for the large-scale propagation of this anticancer drug plant using leaf and internode explants. The biomass yield and CPT content of adventitious roots induced from different explants were compared to roots developed on ex vitro rooted stem cuttings. Adventitious roots were produced on half-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74{\mu}M$ ${\alpha}-naphthaleneacetic$ acid and $2.32{\mu}M$ kinetin at mean fresh weights of 0.753, 0.739 and 0.748 g roots from leaf, internode and shoot, respectively. CPT yield from in vitro derived roots after 50, 80 and 120 days of incubation (0.028, 0.06 and 0.1% dry weight, respectivel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harvested at the same age from ex vitro rooted (0.03, 0.06 and 0.13%, respectively) stem cuttings. CPT from subcultured roots derived from solid (0.08%) medium was lower than from suspension culture medium (0.12%). Subsequent cultures of the adventitious roots showed a stable production of CPT (0.16%). The yield of CPT from 360-day-old plant-derived roots was 0.19%. Elicitation using methyl jasmonate and acetyl salicylic acid exhibited no enhancement in CPT yield. In vitro propagation through direct shoot regeneration was achieved from the adventitious roots upon transfer to MS medium with $8.87{\mu}M$ $N^6-benzyladenine$ (BA) and $2.46{\mu}M$ indole-3-butyric acid (IBA) with a mean of 21.2 shoots per culture in 50 days. The shoots upon subculture on medium having the same level of BA and IBA underwent rapid proliferation. The shoots transferred to field conditions after in vitro rooting exhibited 95% survival. Adventitious root induction, from leaf and internode explants, enables the feasible production of CPT as well as the large-scale rapid propagation of this species which can safeguard it from extinction.

침입외래식물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이 식물종다양성과 준위협종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및 서식지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 (Impact of Ambrosia trifida L. (invasive plant) on the Plant Diversity and Performance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near threatened) and Management Suggestion for the Habitat Conservation.)

  • 김의주;김미희;이수인;홍용식;이응필;박재훈;이승연;조규태;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9-255
    • /
    • 2018
  • 침입외래식물인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이 자생식물의 종수와 고유종인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활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 구배에 따라서 자생식물 종수, 층층둥굴레의 사망률,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등의 변화를 2015년 6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 처리는 각각 100% 제거, 40~60% 제거, 비제거구(대조구)로 하였다. 그 결과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을 40% 이상 제거할 때, 출현한 식물 종수와 층층둥글레의 개체수 그리고 영양과 번식측정 항목의 활력도가 높았다. 이를 통해서 단풍잎돼지풀의 식피율을 40% 이상을 제거하는 것은 연구 지역의 식물종다양성과 준위협종인 층층둥굴레의 개체군 보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한국고유종 북방종개 Iksookimia pacifica (Pisces: Cobitidae)의 분포양상과 멸종위협 평가 (Distribution Aspect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Iksookimia pacifica (Pisces: Cobitidae) in Korea)

  • 고명훈;한미숙;권선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22
    • /
    • 2019
  • 우리나라 고유종 북방종개 Iksookimia pacifica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정밀분포조사를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실시하였다. 북방종개는 조사기간 중 33개 하천, 104개 지점을 조사하여 17개 하천, 46개 지점 (고성군 배봉천~강릉시 군선천)에서 서식을 확인하였다. 서식개체수는 비교적 북천과 배봉천, 화상천, 천진천, 오호천 등에서 비교적 많았으나 사천천과 남천, 강릉남대천 등에서는 적었다. 서식지는 대부분 하천 중 하류의 물이 맑고 유속이 느리며 하상은 모래가 쌓인 소(pool)였으며, 위혐요인은 하천공사와 수질오염으로 추정되었다. 본 결과를 과거 출현기록과 비교하면, 처음으로 삼포천에서 서식을 확인하였으나 주수천과 전천, 삼척 오십천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북방종개의 멸종위협을 평가했을 때 서식지가 3세대 동안 19.5%가 감소하고 작은 출현면적 ($1,343km^2$)과 점유면적 ($184km^2$)을 보였지만, 지소수가 많고(18개) 서식범위 내에서 비교적 넓게 퍼져 있으며 개체수도 비교적 많기 때문에 멸종위협 등급은 준위협(NT)으로 평가되었다.

Detection of frog and aquatic insects by environmental DNA in paddy water ecology

  • Keonhee Kim;Sera Kwon;Alongsaemi Noh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257-270
    • /
    • 2023
  • 논(paddy) 환경은 습지로 분류되며 담수환경에서 매우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수서곤충류 및 양서파충류 유생의 서식지 및 산란 장소로써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후변화 및 무분별한 농약 살포 등으로 인해 논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향후 훼손된 논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복원 기준이 될 수 있는 논 생태계 서식 생물들의 정보가 필요하다. 환경유전자 metabarcoding 분석법은 성체 생활시기가 다르거나 성충으로 우화하여 대상 생태계에서 더 이상 발견할 수 없는 분류군까지 존재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논 생태계에 서식하는 많은 생물들의 정보를 축적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도 4종의 개구리와 9종의 수서곤충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일부 분류군은 현장에서 개체가 직접 발견되었다. 많은 수의 분류군이 DNA 탐색에서만 발견되었으며, 전통적인 조사방법은 매우 제한적인 분류군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eDNA 기반의 논 생물탐색은 강력한 분석 해상도 때문에 농업 생태계 생물다양성 조사에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댐유역 하천생태계평가를 통한 생태보전우선지역설정 -용담다목적댐 유역을 사례로- (Prior Eco-preserve Zoning through Stream Ecosystem Evaluation on Dam Basin -A Case of Yongdam-dam Watershed, Jeollabukdo Province-)

  • 임현정;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댐 유역 하천코리도 생태경관 구역의 설정과 하천생태계평가를 통해서 생태적 가치가 높은 보전지역을 설정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09년까지 수행된 "용담 다목적 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 생태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에 기초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인 용담호는 그 유역면적이 $930km^2$로서 진안, 장수, 무주에 걸쳐 있으며, 주요 유입하천에는 주자천, 정자천, 진안천, 구량천 등이 있다. 이 댐 호는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유역 내 골프장, 체육공원 등의 난개발이 발생하여 수질오염 및 생태계 훼손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하천코리도의 경관단위구역은 조사 및 도면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250mm, 500mm, 750mm의 3단계 세부구역으로 구분하였다. 하천생태계 평가는 하천환경평가와 코리도권 식생환경평가의 2가지로 구분하였다. 하천환경평가에서는 어류 및 저서 생물의 종다양성과 고유화 빈도, 하천환경의 자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식생환경평가에는 임상도, 식생보전등급, 조류 및 포유류의 종다양성과 법정 보호종의 유무 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각각의 생태공간정보를 그 중요도에 따라 3등급화하였고, 최종적으로 이를 중첩하여 보전우선가치가 높은 지역을 설정하였다. 법정 보호종 출현지점은 절대보전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지역의 보전가치를 평가하는 댐 유역 하천생태계 평가방법을 제시하여, 개별적 생태조사의 결과를 통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야생동물의 행동권과 계절별 서식환경, 생물종 간 관계 등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에코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안동 사문암지대의 식물다양성 (Floristic Diversity of Serpentine Area in Andong, Korea)

  • 김중현;김선유;정은희;김진석;노태권;배호명;남춘희;이병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8
    • /
    • 2016
  • 본 연구는 안동 사문암지대의 관속식물상, 현존식생 및 토양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88과 239속 311종 6아종 33변종 6품종 3교잡종으로 총 35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249분류군의 분포가 새로이 밝혀졌다. 안동 사문암지역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구성된다. 한반도 고유종은 외대으아리,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벌개미취가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7분류군으로 준위협종(NT)에 채고추나물, 원지, 쑥방망이, 관심대상종(LC)에 낙지다리, 솜양지꽃, 창포, 미평가종(NE)으로 멱쇠채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5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7분류군 등 1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 9.5%, 도시화지수 10.6%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산림토양은 표층~20cm에서 양토와 미사질양토, 20cm~40cm에서 양토와 미사질점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내 중금속은 Ni과 C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라도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지 특성 (Breeding Site Characteristics of Styan's Grasshopper Warblers(Locustella pleskei) on Mara Islet, Jeju Province, Korea)

  • 김은미;김화정;최창용;강창완;강희만;박찬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28-534
    • /
    • 2009
  •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며, 동아시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섬개개비(Locustella pleskei)는 한국의 추자도, 마라도, 칠발도, 홍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구체적인 번식 정보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마라도(N $33^{\circ}$ 06', E $126^{\circ}$ 16')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 현황과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섬개개비 총 11쌍이 번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번식하는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다.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와 돈나무(Pittosporum tobira) 등 관목성 나무를 둥지목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목의 수고는 $2.77{\pm}1.10m$, 지면으로부터 둥지의 높이는 $1.75{\pm}0.56m$였으며, 둥지목의 수고는 다른 주변의 나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마라도의 강한 해풍을 피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로 억새잎이나 사초과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밥그릇 형태의 둥지를 만들었으며, 둥지의 지름은 $11.9{\pm}0.5cm$, 높이는 $11.1{\pm}1.1cm$, 깊이는 $5.8{\pm}0.4cm$로 나타났으며, 산좌지름은 6.0cm였다. 마라도에서 섬개개비는 다른 섬지역보다 번식시기가 다소 늦었으며, 한배산란수는 3개로서 보통 다른 번식지의 4-5개보다 작았다. 이는 번식시기가 늦어질수록 한배산란수가 적어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마라도 곰솔숲의 솎아베기와 관목층 제거는 밀집된 관목층을 둥지로 선호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섬개개비 번식 생태 및 서식지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요구되며, 숲가꾸기 수행에 있어서도 섬개개비의 보전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석회암지대 석병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Limestone Area, Mt. Seokbyeong)

  • 송재모;손호준;김영설;김세창;이다현;박완근;권순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1-263
    • /
    • 2016
  • 석병산 일대를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관속식물 상에 대한 계절별 현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석병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102과 295속 454종 4아종 51변종 7품종으로 총 516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7과 24속 25종 1변종으로 총 26분류군이 나타났고, 이는 한국특산식물 360분류군의 7.2%에 해당한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21과 33속 33종 3변종 3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환경부 지정 적색식물목록은 13과 17속 17종 1변종 총 1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에 해당하는 복주머니란과 개병풍이 포함되었다. 석회암지대의 지표식물은 총 3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산림청이 제시한 109개 분류군의 33.0%이며, 석병산에서 조사된 519분류군 중 6.9%에 해당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9분류군, IV등급 20분류군, III등급 35분류군, II등급 26분류군, I등급 42분류군으로 총 13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18분류군이 나타났으며, 귀화율은 3.4%, 도시화지수는 5.6%이었고,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특산식물 13분류군, 남방계식물 2분류군, 북방계식물 33분류군으로, 총 29과 41속 47종 1변종 총 48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조사지역인 석회암지대 석병산 일대는 백두대간의 한 축으로서 다양한 식물상을 보여주며, 식물 구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임과 동시에, 희귀·멸종위기식물과 북방계 식물 및 기후변화 취약식물들의 중요한 피난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 각종 개발로 인한 많은 훼손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