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oscopy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42초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흉선 절제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Thymectomy -Report of Two Cases-)

  • 조상록;이정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89-592
    • /
    • 1996
  • 기관 절개술을 시행받은 중증 근무력증 환자(Osserman's Group-ll-C-1) 2례에서 흥강내시경을 이용 하여 흉선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첫 환자는47세 남자로서 기관지 절개 부위로 기계적 보조호흡을받고 있는 상태였으며, 두번째 환자는 60세 남자로서 기계적 보조호흡치료에서 일단 회복되 였으나 다시 호흡 부전이 악화되는 상태였다. 두 예 모두 기관 절개술이 되어 있었으므로,정중흥골절골술등의 기존 방 식에 의한 수술의 경우 수술후 종격동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흥강내시경을 이용하 여 흉선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각각 16일째와 3일째에 기계적 보조호흡을 중단할수 있었고,종격동염의 발생없이 회복되었 다. 따라서 기관지 절개술을 시행받고 있는 중증 근무력증 환자에게 흥강내시경을 이용한 흉선 절제술 이 기존의 수술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술식이라고 보고한다.

  • PDF

경구경계부식도암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근치적 식도암적출술 (Thoracoscopic Radical Esophagectomy in Cervico-Thoracic Esophageal Cancer)

  • 박재길;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81-688
    • /
    • 1996
  • 경구경계부 식도에 발생된 악성종양의 경우에는 진단시에 이미 식도에 밀접해 있는 기관과 주요 신경 그리고 혈관등에 침범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외과적 절제에도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어 식도암 의 발생부위중 가장 예후가 불량한 부위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진행형 경흥경계부 식도암 환자 1례에서 합병치료로 종양의 묶췄를 향상시킨후, 흥강경 을 이용한비개흥적 종격동 림프절적출과 경부의 림프절을 확대적출함으로써 근치도III의 고치요도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끌병증의 발병없이 식도조영술에서 양호한 조명제의 통과소견을 보였으며, 병 리 조직학적 소견상 조기식도암(TINOMO, SM2)으로 판정되어 술후 합병치료는 시행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중에 있다.

  • PDF

우폐하에 위치한 심막낭종 - 1예 보고 - (Pericardial Cyst in the Rt. Subpulmonary Region - A case report -)

  • 전현우;사영조;박재길;이선희;심성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59-462
    • /
    • 2007
  • 심막낭종은 매우 드문 종격동 양성종양으로 대부분 우측 심장횡경막각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흉곽내의 다른 부위에서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종격동에서 기원하는 다른 낭종 질환과의 감별진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증례는 비전형적인 병소인 폐하부에 위치한 심막낭종을 비데오 흉강경을 이용하여 낭종제거술을 시행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edical Thoracoscopy in Pleural Disease: Experience from a One-Center Study

  • Kim, Soo Jung;Choi, Sun Mi;Lee, Jinwoo;Lee, Chang-Hoon;Lee, Sang-Min;Yim, Jae-Joon;Yoo, Chul-Gyu;Kim, Young Whan;Han, Sung Koo;Park, Young S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2호
    • /
    • pp.194-200
    • /
    • 2017
  • Background: Medical thoracoscopy (MT) is a minimally invasive, endoscopic procedure for exploration of the pleural cavity under conscious 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MT has been perform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ce February 2014. This paper summarizes the findings and outcomes of MT cases at this hospital. Methods: Patients who had undergone MT were enrolled in the study. MT was performed by pulmonologists, using both rigid and semi-rigid thoracoscopes. During the procedure, patients were under conscious sedation with fentanyl and midazolam.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clinical data. Results: From February 2014 to January 2016, 50 procedures (47 cases) were performed (diagnostic MT, 26 cases; therapeutic MT, 24 case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66 years (59-73 years), and 38 patients (80.9%) were male. The median procedure duration from initial incision to insertion of the chest tube was 37 minutes. The median doses of fentanyl and midazolam were $50{\mu}g$ and 5 mg, respectively.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out unexpected events. Of the 26 cases of pleural disease with an unknown cause, 19 were successfully diagnosed using MT. Additionally, diagnostic MT provided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in the other six patients. Therapeutic MT was very effective for treatment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or empyema. The median number of days with chest tube drainage was 6 (3 days for diagnostic MT and 8 days for therapeutic MT). Conclusion: MT is a useful and necessary procedure for both diagnosis and treatment of pleural diseases.

흉강경시 $CO_2$에 의한 혈역학적 영향 (Hemodynamics Effects of $CO_2$ Insufflation During Thoracoscopy)

  • 손동섭;원경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23-727
    • /
    • 1996
  • 흉강경수술시 적 절한 수술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폐를 허 탈시키고 환자의 위 치를 변경함으로서 수술 시야를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보고에 의하면 돼지에 서 흥강경 시행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좋지 않은 혈역학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 다. 그래서 본 저자는 흥강경을 시행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작전, 일측환기시, 흥강내압이 SmrnHg, 10minHg, 15rnrnHg 변화시 평균혈압, 심박동수, 중심정맥 압, 동맥산소포화도, 환기말이산화 탄소분압등의 혈역학적 인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작전 기준치와 일측폐환기시 및 흥강내압 변화시 측정한 평균혈압, 심박동수, 동맥산소포화도 사이 에 유의한 변동이 없었다. 2. 환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은 기준치 31.00$\pm$1.67mmHg 에서 흥강내압 15 mmHg증가시 38.49$\pm$1.82 mmHg(p<0.05) 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3. 중심정맥압은 기준치 7.75$\pm$0.76 minHg 에서 흥강내압 10mmHg 증가시 12.83$\pm$1.64minHg, 15 mmHg 증가시 16.16$\pm$ 1.97 mmHg(p<0.05)로 의미있는 변화가 관찰되 었다 4. 흥강경수술시 혈역학적 변화없이 \ulcorner술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압력은 10mmHg이하가 적당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Imaging diagnosis of pyothorax in a dog

  • Park, K.T.;Wang, J.H.;Yeon, S.C.;Lee, H.J.;Lee, H.C.
    • 한국임상수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임상수의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1-191
    • /
    • 2008
  • PDF

종격 폐흡충 낭종;1예 보고 (Mediastinal paracytic cyst by paragonimiasis; a case report)

  • 송기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호
    • /
    • pp.67-70
    • /
    • 1993
  •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China, Taiwan, and Philippines are endemic area of Paragonimiasis as people who live those countries have special diet habbit to ingest raw fish and meat. Of the Paragonimus westermani infestation, mediastinal paragonimiasis is a rare condition because of its life cycle. We experienced a case of mediastinal parasitic cyst resected under video-thoracoscopy, which was confirmed as paragonimiasis granuloma postoperativley.

  • PDF

흉막질환에서 흉강경(비데오흉강경술)의 역할 (Thoracoscopy in Pleural Disease)

  • 김광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6호
    • /
    • pp.727-734
    • /
    • 1999
  • 본원의 비데오 흉강경술 경험과 문헌에서 볼 때, 흉막강 질환에서 흉강경술의 역활은 수기가 국소 또는 경막하 마취 혹은 전신 마취에서 가능하고 작은 구경의 흉강경으로 전 흉막강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였다. 흉막강 질환에서의 주요 적응증은 흉수, 농흉, 기흉, 흉막 종양, 흉막의 외상, 흉막강내 이물의 진단 및 치료되고 있다. 흉막강내 각종 수기에 사용하는 기구의 개발과 수기의 발전으로 흉막강내 질환에 대한 치료 성적은 전통적인 개흉수술에 비교하여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 PDF

위식도역류질환의 수술 (Antireflux Surgery)

  • 나국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5-108
    • /
    • 2010
  • The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 has been increased recently in Korea. Most patients who have GERD are well treated by medication. But patients who have suboptimal disease control under medical therapy are needed further treatment. Nowadays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laparoscopy and thoracoscopy has become popular in the operation of GERD although antireflux surgery is vary. Antireflux surgery is a well-documented, effective therapeutic alternative to control GE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