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Process

검색결과 1,425건 처리시간 0.025초

사고구술법(思考口述法)을 이용한 수학(數學) 영재(英才)의 사고(思考) 특성(特性) 연구(硏究) (An Analysis on Thinking Processes of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Using Think-aloud Method)

  • 홍진곤;강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565-58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영재의 인지적 사고 과정 분석을 통해 수학적 사고 특성에 대하여 조망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수학 영재의 사고 패턴을 구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사고구술법을 통해 추출된 수학 영재의 사고 특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사고 특성을 추출하는 분석틀과 문제 해결 단계 코드를 이용한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수학 영재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 중 인지 활동으로 거치게 되는 절차와 사고 특성 지도를 살펴보고 대상 학생들이 여러 번의 시행착오 후 전체적인 과정을 수정하며 수행해 나가게 되는 방법과 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안을 도출해 내는 경로 탐색 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사고 특성을 좀 더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준거를 마련하였다.

  • PDF

과학적 사고에 관한 예비 과학교사의 개념 정교화 과정 (The Process of Elaboration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cientific Thinking)

  • 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7-954
    • /
    • 2008
  • '과학적 사고의 신장'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명의 예비 중등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정의하고, 토론에서 동료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적 개념을 어떻게 정교해 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과학적 사고에 대한 개인적 개념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둘째, 소집단 및 전체 토론을 통해 가장 논쟁이 활발했던 세 가지 논제에 대하여 개념의 구성과 정교화 과정을 조명하였다. 과학적 사고와 관련된 세 가지 논제는 일상적 대 과학적 사고, 과학지식과 과학적 사고의 관계, 논리적 체계와 증거의 관계를 다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과학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based AI education program)

  • 이재호;이승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23-7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 해결 프로세스로 주목받고 있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초등학생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인공지능의 이해, 공감적 문제발견, 문제 정의, 아이디어 창출, 프로토타입 제작, 평가 및 공유 단계로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사전 사후 검사한 결과 학년별로 컴퓨팅 사고력이 상승했으며, 학생들은 공감적 문제발견에서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해 협업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엿볼 수 있었고,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팀원 간 의사소통을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중 하나의 방안으로써 학습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의료시스템과학에서의 시스템사고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Instructional Design for Systems Thinking Education in Health Systems Science)

  • 김세진;이상미;이단비;윤보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3호
    • /
    • pp.212-228
    • /
    • 2023
  • Systems thinking, a linking domain of health systems science (HSS), is an approach that investigates specific problem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t supports improving patients' health, fulfilling their health needs, and anticipating issues that threaten patient safety within the healthcare system. It also helps solve problems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ref lec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curriculum on systems thinking,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nd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HSS education at individual universities. In this study,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was utilized to design,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an elective course on systems thinking. In the design process, learning outcomes and goals were developed, and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udent evaluation methods were link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class materials and evaluation materials were prepar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course was implemented, and the evaluation process analyzed the results of learning performance and curriculum assessments. The evaluation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ents in the study realized the importance of systems thinking and experienced the need for systems thinking through non-medical and medical situations. Second, th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course (mean=4.84), and the results of the self-competence evaluation,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ourse, also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ive course, and its results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an HSS curriculum.

Convergence Learning Program based on Childhood's Socio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Design Thinking

  • Kim, Su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76-183
    • /
    • 2020
  • This study inquired about the convergence learning program for childhood based on Erikson's play theory and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s behavior development. I analyzed the convergence learning programs of Summer Camps in the Pacific Science Center, Galileo Learn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show the most used imaginary and symbolic contents that represent the real-world problems which are related design thinking process. The curriculums and structure of the programs are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method and K-12 theory. The visual thinking method and the applications are used for expressing their creativity and approaching the technical skills easily. The play concept theory is an affirmative way to strengthen the children's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e convergence learning program should integrate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apply the play concept theory for supporting and developing the children's behavior.

공학도를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 연구 - 영화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 Focusing on the Education Using films)

  • 황영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3-9
    • /
    • 2018
  • This paper explores the educational method of using films as a means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for engineering students. It provides a practical educational model that elaborates on how films could be used as case studies to draw relevant questions, and in the process of answering them, develop students' ability to think critically. The educational model proposes a learning method of enhancing critical thinking abilities through debates and essay writing on issues raised in films. Furthermore, the paper entails concrete learning objectives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nd standards to evaluate levels of enhancement. Through raising th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of engineering students,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creative ideas in the process of engineering research. Furthermore, the concept of utilizing films as a model for education used in this study could be adapted for fields other than that of engineering.

대수적 사고와 대수 기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lgebraic Notations and Algebraic Thinking)

  • 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9-246
    • /
    • 2002
  • In this paper, we start with the question "what is algebraic thinking\ulcorner". The problem is that the algebraic thinking is not exactly defined. We consider algebraic thinking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But in the discussion relating to the definition of algebraic thinking, we verify that there is the algebraic notations in the core of algebraic thinking. So we device algebraic notations into the six categories, and investigate these examples from the school mathematic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relation of algebraic thinking and algebraic notations, we present 'the algebraic thinking process analysis model' from Frege' idea. In this model,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algebraic notations which interplays; sense, expression, denotapion. Thus many difficulties of algebraic thinking can be explained by this model. We suppose that the difficulty in the algebraic thinking may be caused by the discord of these three components. An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onceptual frame, we can explain the dynamics of algebraic thinking. Also, we present examples which show these difficulties and dynamics of algebraic thinking. As a result of these analysis, we conclude that algebraic thinking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semiotic aspects of algebraic notations.

  • PDF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직관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Intuitive Thinking of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 유대현;강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2권1호
    • /
    • pp.1-20
    • /
    • 2009
  • 초등학생들의 수학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는 오류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강력한 문제해결 방법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에 초등학생의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를 관찰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문제의 계산 절차나 알고리즘을 알고 있는 경우, 직관적 사고에 의존하기보다는 알고리즘에 의한 풀이에 의존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학생들은 직관적 사고를 통한 시각적 모델을 구안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떨어지며, 시각적 모델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답에 대한 확신감이 떨어진다. 셋째,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관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 사이에 상호 보완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확률의 개념과 확률에 관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주관적 해석을 통한 인식론적 장애를 일으켰다.

  • PDF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태선;배덕진;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25-73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래프를 작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중학생의 능력을 알아보고,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수업전략과 교사의 교수 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중학생 481명을 대상으로 그래프 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을 알아보고,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와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변인 통제 논리와 비례 논리가 그래프 능력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래프 능력은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과 대부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지만, 통계적으로 상관은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볼 때, 앞으로 과학 교사는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래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그래프를 작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변인 통제 논리, 비례 논리 등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노력과 효과적인 수업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전문대학 신입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ritical Thinking to College Life in Freshmen)

  • 임계환;허제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3
    • /
    • 2013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신입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의 정도를 파악한 후 이들 간의 상관성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215명이었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1월 20일에서 12월 5일까지 수집하였고 SPSS 1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대학 신입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문제해결과정은 연령, 대인관계,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문대학 신입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05, P<.001)를 나타냈다. 전문대학 신입생의 문제해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공 만족도로 문제해결과정을 38%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를 표준적인 방법론에 의거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인 교수학습 전략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