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 -layer drying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산사(山楂)의 규격 기준 모니터링 및 HPLC 표준크로마토그램 연구 (Quality Monitoring of Specification of Crataegi Fructus in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Studies HPLC Standard Chromatogram)

  • 김경희;김선미;이영종;백완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2
    • /
    • 2017
  • Objectives : Crataegi Fructus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for more digestion action, amenorrhea due to blood stasis, and hyperlipem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f Crataegi Fructus in South Korea collected during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standards in monograph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Eleventh edition (KP 11). Methods : Crataegi Fructus was carried out identification test (Qualitative reaction, Thin layer chromatography), heavy metal test, and total ash registered at KP. Add to we tested loss on dry, contents of ethanol-soluble extracts, and HPLC profiling. Results : Identification test (TLC) was on comparing with ursolic acid standard solution in $R_f$ value, all samples showed red purple spot ($R_f$ value 0.9). Ursolic acid spot in $R_f$ value 0.35 showed by changing mobile phase condition. Heavy metals showed contents for Pb, Cd, As, and Hg range of 0.0 ~ 0.5 ppm, 0.0 ~ 0.2 ppm, 0.0 ~ 0.3 ppm, and 0.0 ~ 0.1 ppm. Loss on drying was ranged from 5.5 to 11.9 %, total ash was between the range 2.7 ~ 4.0 %. Contents of ethanol-soluble extracts was ranged from 17.8 to 44.9 %. The content of chlorogenic acid was ranged from 0.0 to 0.1 % based on the chlorogenic acid standard curve. Conclusion : We have verified the current specification standard of Crataegi Fructus and standard that is not set. We hope that it will help the standardization of Crataegi Fructus.

치자(梔子)의 규격 기준 모니터링 및 HPLC 표준크로마토그램 연구 (Quality Monitoring of Specification Standard of Gardeniae Fructus in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Studies HPLC Standard Chromatogram)

  • 김경희;김선미;신승훈;이영종;백완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7-105
    • /
    • 2017
  • Objectives : Gardeniae Fructus is a ripe fruit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which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for anti-inflammatory, diuretic, antipyretic, and antibacterial a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f Gardeniae Fructus in South Korea collected during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standards in monograph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Eleventh edition (KP11). Methods : 30 items of Gardeniae Fructus from two cultivation regions were classified into dried(n=15) & steamed (n=15) and test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in monographs of the KP11. Gardeniae Fructus was carried out identification(comparison of colors, thin layer chromatography), heavy metals, residual pesticides, total ash, and assay registered at KP11. Add to we tested loss on dry, contents of ethanol-soluble extracts, and HPLC profiling. Results : In TLC chromatogram of identification test, the spot of gardenoside and geniposide were observed at $R_f$ value of about 0.3 and 0.5. Heavy metals and residual pesticides met the requirements of the standards for all samples. The results of total ash of each samples are measured maximum 4.87 %. According to HPLC for assay, the samples contain 4.80~6.10 % of geniposide and 0.45~1.83 % of gardenoside. Conclusion : We have verified the current specification standard of Gardeniae Fructus and standard that is not set. By the results, it is proposed a new draft of loss on drying and confirmed the content of gardenoside revised. HPLC standard chromatogram of Gardeniae Fructus is proposed. We hope that it will help the standardization of Gardeniae Fructus.

목재부후균이 흰개미 서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od Decaying Fungi for Termite Ecology)

  • 조창욱;김영희;홍진영;김수지;이정민;최정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99-108
    • /
    • 2012
  •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과 갈색부후균(Tyromyces palustris)은 목조문화재 및 건축물 등의 목재 조직의 건조, 부패과 균열, 스펀지화, 변색 등 다양한 손상을 발생시켜 구조적, 미학적인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해충인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는 목조건축물의 옥외 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표층을 얇게 남겨두고 내부를 침해함으로써, 결국은 속이 빈 기둥이 되어 건축물이 무너져버리는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표적 피해 미생물인 목재부후 균이 흰개미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후균이 만연된 곳에 흰개미를 넣어 공존 가능성을 실험해 보았다. 목재의 중량으로 피해율을 산정한 결과, 전반적인 총질량은 두 종류의 부후균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목재의 질량은 백색부후균에서는 모두 감소하였으나, 갈색부후균에서는 오히려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섭식량을 측정하기 위한 목재의 건조 후 질량에서는 갈색부후균에 넣었던 목재의 질량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밤(栗)의 동결건조(凍結乾燥)에 의(依)한 성분(咸分)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onstituent Variation during Storage after Freeze-Drying of Chestnut)

  • 하봉석;배명숙;정태명;성낙주;손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7-105
    • /
    • 1982
  • 밤과(果) ${\ulcorner}$은기(銀奇)${\lrcorner}$를 동결건조(凍結乾燥)하여 생(生)밤과(果), 동결건조(凍結乾燥) 즉후의 밤과(果), 그리고 동결건조후(凍結乾燥後) 저장(貯藏) 밤과(果) 별(別)로 무기질(無機質)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분석(分析)하고 또 각(各) 시료(試料)의 총지질(總脂質)과 관 크로마토그래피법(法)으로 분획(分劃)된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그리고 생(生)밤과(果)의 불감화물에 함유(含有)된 sterol 조성(組成)을 각각(各各) GLC법(法)으로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생(生)밤과(果), 동결건조(凍結乾燥) 즉후의 밤과(果), 고리고 동결건조(凍結乾燥後)후 저장(貯藏) 밤과(果)의 무기질(無機質) 성분(成分)을 정량(定量)하여 Table 4와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으며, 마그네슘, 철 및 인의 함량(含量)이 동결건조후(凍結乾燥後) 저장(貯藏)하는 동안에 감소(減少)하였다. 2. 생(生)밤과(果)의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의 함량(含量)은 34.6%, 당지질(糖脂質)의 함량(含量)은 38.6%, 그리고 인지질(燐脂質)의 함량(含量)은 26.8%이었고, 이들중에서 동결건조후(凍結乾燥後) 저장(貯藏)하는 동안에 중성지질(中性脂質)과 인지질(燐脂質)은 감소(減少)하며 당지질(糖脂質)은 증가(增加)하였다. 3. 총지질(總脂質)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생(生)밤과(果)에서는 $C_{16:0}$산(酸)(27.5%), $C_{18:2}$산(酸)(42.0%) 및 $C_{18:3}$산(酸)(17.3%)이, 동결건조(凍結乾燥) 즉후 밤과(果)에서는 $C_{16:0}$산(酸)(22.6%), $C_{18:1}$산(酸)(17.8%) 및 $C_{18:2}$(41.3%), 산동결건조후(酸凍結乾燥後) 저장(貯藏) 밤과(果)에서는 $C_{16:0}$산(酸)(33.0%), $C_{18:1}$산(酸)(21.6%) 및 $C_{18:2}$산(酸)(29.4%)이 그 대부분(大部分)을 점유(占有)하고 있었고 불포화(不飽和) 지방산(脂肪酸)의 함량비율(含量比率)이 평균(平均) 65.8%로서 대단(大端)히 높았다. 4. 생(生)밤과(果), 동결건조(凍結乾燥) 즉후 밤과(果), 그리고 동결건조(凍結乾燥後) 저장(貯藏) 밤과(果)에서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咸)하는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C_{18:2}$산(酸), $C_{16:0}$산(酸)의 순(順)으로 그 함량(含最)이 맞은데 비(比)하여 각획분(各劃分)의 지질(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C_{16:0}$산(酸), $C_{18:2}$산(酸)의 순(順)으로 그 함량(含量)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결건조후(凍結乾燥後) 저장(貯藏)하는 동안에$C_{18:2}$산(酸), $C_{18:3}$산(酸)의 함량(含量)이 계속(繼續) 감소(減少)하고 있었다. 5. 4-monomethylsterol fraction에는 cycloartenol(20.6%)이 비교적(比較的) 높은 함량(含量)으로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그 외(外) cyclolaudenol, cycloeucalenol 및 citrostadienol 등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6. 4-desmethylsterol fraction에 는 sitosterol (74.6%)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었고, 그외(外) ${\Delta}^5-avena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rassicasterol등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 PDF

무전해 도금법에 의해 제조된 은 피복 Ni-Zn Ferrite Sphere의 전파흡수특성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of Silver-coated Ni-Zn Ferrite Spheres Prepared by Electroless Plating)

  • 김종혁;김재웅;김성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2-206
    • /
    • 2005
  • 무전해 도금법에 의해 제조된 은 피복 Ni-Zn 페라이트 분말의 전파흡수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무건조법 및 소결 고정에 의해 평균입경이 $50{\mu}m$ 정도인 페라이트 구형 분말을 제조하고, 이 분말 위에 은 피막을 무전해 도금법에 의해 코팅하였다. 페라이트 표면에 형성되는 은 피막의 미세조직은 도금욕의 $AgNO_3$의 농도에 따라 민감히 변화하였다. 균일한 은 피막을 얻기 위해 페라이트 분말 20g당 10g/L $AgNO_3$가 필요하였다. 페라이트 분말 표면에 은 피막이 형성됨에 따라 전기저항은 $10^{-2}\~10^{-3}\;\Omega$ 정도까지 감소하였다. 도금 처리되지 않은 순수 페라이트 분말은 400 MHz에서 자기공명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자성재료의 특성을 나타내었고, 복소유전율은 실수 항이 35, 허수 항은 거의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균일한 은 도금이 이루어진 페라이트 분말은 투자율의 큰 변화 없이 복소유전율 실수항이 35, 허수항이 8 이상으로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전파흡수체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 임피던스 정합두께는 C-band대역에서 도금되지 않은 페라이트 분말의 경우 5mm로부터 도금 후 2mm 수준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