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me Park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27초

부산지역 역사ㆍ문화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예상고객성향 기초조사연구 (Specialty of customer to be expected when cultural theme park is constructed in Pusan)

  • 최승복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463-470
    • /
    • 2003
  • 부산은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집적화된 시설이 없어 다양한 역사ㆍ문화수요에 대한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 부산의 전통문화 계승ㆍ발전을 통해 부산의 뿌리를 재조명하고, 부산다운 매력의 역사 문화관광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테마파크의 시설도입을 통해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매력 있고 경쟁력 있는 체류형 관광단지 조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부산을 방문하는 내, 외국인을 대상으로 역사ㆍ문화 관련 테마파크 조성시 예상고객의 성향 파악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부산의 내, 외국인 방문객 및 시민의 일반적인 여가성향과 기존 유사시설의 이용성향, 부산의 역사 문화 관련 테마파크의 유형 및 방문의향으로 세분화하여 부산 역사ㆍ문화 관련 테마파크의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도입 구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테마파크 도입부의 특성과 디자인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에버랜드 Global Fair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Design Appli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ory Area of the Theme Prak)

  • 이미경;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69-75
    • /
    • 1999
  • In a modern mass society, a theme park satisfies a consumer's desire of being meaningful in such an imaginary space, which is far beyond the real life. The introductory area of the theme park is a boundary between th real and the imaginary spaces and a fundamental spac of realizing the introductory imaginary spa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method of design appli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park with an example, a theoretical background is first present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ory are of the theme park. Than, as an example that reflects well its characteristics, 'Global fair' of the Everland is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eveloped theoretical background.

  • PDF

지역 설화를 활용한 OSMU 전략 분석 -장성군 『홍길동』 테마파크와 곡성군 『심청』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OSMU Strategy Analysis using A Local Folk Tale - Focused on Jangseong-gun 『Honggil-dong』 Theme Park and Gokseong-gun 『Shimcheong』 Theme Park -)

  • 배수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5-34
    • /
    • 2021
  • 본 연구는 지자체 OSMU 전략의 문화·사회적 가치와 이념, 지역 경제적 목표 등을 고려하면서 전략적·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를 위해 OSMU의 개념과 특징, 국내외 성공 사례 등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전남 장성군의 홍길동 테마파크와 전남 곡성군의 심청 테마파크를 분석 대상 사례로 선정하여 OSMU의 세부 전략, 개발 결과 및 성과 등을 분석·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홍길동 테마파크와 심청 테마파크는 지자체 OSMU 전략의 핵심인 지역성, 공공성을 중시한 합리적, 당위적 선택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둘째, 홍길동 테마파크가 보다 안정적,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반면, 심청 테마파크는 원천 콘텐츠의 우수성과 가치 있는 목표를 살리지 못한 채 수익성, 경제성 면에서 고전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자체 OSMU 전략의 공공성과 수익성, 이념성과 실효성, 당위성과 경제성 등을 조화롭게 충족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모색, 연구, 성찰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n Analysis of the Ecology Fabric Trend : 20 Years (1986-2005) of S/S Woven Fabric Trends

  • Kim, Dong-Woon;Park, Chung-B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0권1호
    • /
    • pp.29-45
    • /
    • 2010
  • In order to provide more systematic approach to analyze fabric trends and to develop fabrics accordingly, ecology fabric trend from 1986 to 2005 was analyzed related with fabric trend themes and fabric attributes. The result shows that in the 1980s, natural theme appeared, followed by primitive theme and imitated natural theme until the mid 1990s.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new natural theme appeared, followed by eco-friendly theme, and then recycling theme. In the natural theme, 'clean' was the most important fabric attribute and 'textured' and 'worn' were important fabric attributes in the primitive theme. In the imitated natural theme, 'wet' fabric attribute was preferred. In the new natural theme, 'lightweight' were prefe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abstract and ambiguous trend terms can be interpreted with a physical, substantial, and feasible attributes that fabric practitioners can easily understand.

주제공원개발을 위한 외래 관광객 성향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 Tourist Attitudes Analysis for the Theme Park Development in Busan)

  • 황영우;양위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21-125
    • /
    • 2003
  • 세계의 각국들은 관광산업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심을 기울이고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움직임까지도 보여주고 있다. 기존 관광 선진국들의 이러한 동향은 관광분야에서 특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 못한 도시 또는 국가에서는 생존 차원에서의 전략을 창출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경쟁력있는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개발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세계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이 관광목적지로서 경쟁력 높은 지닌 해양 주제공원의 설립 움직임과 관련하여, 사전에 검토되어야 할 성공적 운영을 위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의 측면, 그리고 사업의 직ㆍ간접적 영향 대상인 외래 관광객의 입장에서 각각의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운영 프로그램 상에 어떻게 반영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적 대안들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PDF

체험형 농업테마파크 개발 잠재력 검토 - 농협 안성목장 개발을 중심으로 - (Forecasting Potential Development of Agriculture Experience Theme Park - Focused on the Anseong Meadow Site Development -)

  • 이주엽;김용근
    • 농촌계획
    • /
    • 제14권3호
    • /
    • pp.1-9
    • /
    • 2008
  • In this study, by reflecting flow of age, possibility of new theme park development as private investments business based on source that is farming village that is not tried to before is verified and by analyzing potential of the site, effectiveness of new theme park development is examined. "Nonghyup Anseong Meadow Anseong-si Gyeonggi-do" is selected as researched site where accessibility is good as there is near to National Capital region and nature condition is also good. Demands are forecasted using visiting intention and realizing index through analogical method and by analyzing existing data related with increase of tourism business that people can experience English village and increasing demand of experiencing farming region tourism demands are forecasted. The results are at below. First, As average expenditure per one person is 52,209 won that is shown in result of survey, if multiplying increasing rate of price and the number of visiting people that is optimistic forecasting figure, the whole expenditure of visitors per one year is from 10.54 billions to 13.85 billions won. Second is potential power of demand aspects. Potential power of that theme park was re-examined through demands forecasting analysis through survey. Experiencing farming regions theme park business that is informed through analysis of potential power of development and demand aspects has value to invest as new business based on farming regions sources, as a result of searching through diverse aspects such as tourism, economy, public interest and cultural aspect and so on.

공연전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미래 (Future of Performing Arts Specialized Animation Characters Theme Park)

  • 조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46-155
    • /
    • 2012
  • 지속적인 성장세인 국내 키즈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매김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현황과 미래의 지향점을 조명해보면서, '키자니아(KidZania)', '푸이 뒤 포우(Puy du Fou)', '디즈니 씨(DisneySea)', '산리오 퓨로랜드(Sanrio Puroland)'와 같은 외국 테마파크의 공연성의 극대화 사례를 통해, 국내의 공연전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가능성을 제시해보려 한다. 도심형 테마파크로 건립되고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는 관람객들의 재방문율이 상당히 중요하다. 캐릭터를 활용한 수준 높은 공연이 파크의 관람객과의 긴밀한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관람객의 테마파크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지면 재방문율이 높아질 것이며, 또한 다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와의 차별성을 부각시켜줄 것이다.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가 이용만족도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군위 삼국유사테마파크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n Us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Spatial Storytelling Components in Historical Theme Park - Focused on Samgukyusa Theme Park in Gunwi-Gun -)

  • 김오연;안승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64-78
    • /
    • 2024
  • 스토리텔링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의사소통 기법으로 청자는 이야기를 수용하며 주제를 재해석하고 화자와 상호작용한다. 역사테마파크에 적용된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와 인지가 테마파크의 이용만족도와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고 이용객의 인식과 구성인자가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근거하여 테마성, 체험성, 비일상성, 교육성, 통일성, 표현성, 상호작용성, 흥미성의 역사테마파크의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삼국유사테마파크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EXCEL2020,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유사테마파크 주제 전달 방식으로 적용된 공간 스토리텔링 기법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며 스토리텔링 구성인자에 대해 대부분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삼국유사테마파크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인자 중요도 인식 중 비일상성과 교육성 중요도가 이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비일상성, 상호작용성, 교육성, 흥미성 중요도가 재방문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삼국유사테마파크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인자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에 따라 흥미성, 테마성, 통일성 인지가 이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호작용성, 체험성 인지가 재방문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역사테마파크 특성 요인과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여 스토리텔링이 역사테마파크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적 분석과 해석하여 그 의의가 있다.

여가활동의 감성적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Response of Leisure Activity)

  • 고동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32
    • /
    • 2005
  • The role of emotional responses is an important subject of study in consumer behavior. Although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related emotions have been studied with increasing quantities in leisure studies or fields of outdoor recreation and tourism, issues concerning the appropriate way to measure these emotional responses remains unresolved. This article reviews the emotion measuring scales, and testify the usefulness of PAD scale based upon 349 questionnaires by users of Phoenix Park(Ski Resort) and Seoul Land(Theme Park) in Korea. It was found that, users' emotional response was closely related with satisfaction in Phoenix Park(Ski Resort); however, users' perceived performance was closely related with satisfaction in Seoul Land (Theme Park).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meanings of these findings is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typology between ski resort and theme park. In conclusion, users' emotional experience may be more useful in understanding skiing activities and in formulat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ski resorts than theme parks.

문화유산을 활용한 테마파크형박물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me park-style Museu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 박소라;우성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1-19
    • /
    • 2013
  • The number of visitors to historic sites and museums in Korea has been on a rapid decrease and in order to search for creative ways to work on the problem, the study proposed a theme park-typed museum with cultural heritage applied and reviewed spatial strategies for such theme park-typed museums. Applied methods of research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definitions and current situations of cultural heritage use and theme park-typed museums, the study went thoroughly over all sorts of literature and reports as well as findings of advance researches on how to make a use of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s, the study determined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park-typed museums with cultural heritage applied which the study was proposing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by type. Considering those characteristics and types gained in the study, the study looked for cultural heritage-based theme parks and museums in the world which were good enough to be used as research subjects in the study from the aspects of profitability and level of awareness. The study examined those theme parks and museums in the world and in the end, it found out ways to adopt the findings to the situations in Korea and discussed expecting effects as well.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park-typed museums with cultural heritage applied, the study divided those characteristics into mutual cooperation, location, communicability, authenticity, maintainability, education, durability, narrativity, undailiness, interactivity and leisure. The types were categorized into ride, environment direction, cartoon character and souvenir by attraction pattern. When cultural heritage is used actively, it would improve competitiveness of historic cultural sites and museums in return, making people realize the iterative structure of excavation, conservation, maintenance and use of cultural heritage. That would create many kinds of added values, re-discovering culture of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it would also create a new value of culture as well. Now, it is important for us to do harder with researches on how to evolve museums and exhibition spaces. Considering that, the study is believed to make a contribution to revival of historic sites and museums in Korea but also establishment of scientific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