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codiplosis japonensi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3초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품종(品種) 육성(育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2.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의 계절적변화(季節的變化) (Breeding of Varieties of Pines Resistant to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I) -Seasonal Variation of Needle Monoterpene Composition in Resistant Pinus thunbergii.-)

  • 김정석;홍성호;류장발;최철;김종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0
    • /
    • 1976
  •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선발목(選拔木) 7~15개체(個體)와 피해목(被害木) 8~15개체(個體)에 대(對)하여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s 조성(組成)을 1월(月)과 6월(月)에 각각(各各) 조사(調査)하고, 그리고 솔잎혹파리의 산란(産卵) 선택성(選擇性)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월중(月中)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成分)은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alpha}$-pinene, camphene과 ${\beta}$-pinene이다. 그리고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은 ${\alpha}$-pinene, camph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beta}$-pinene과 myrcene이다. 2.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피해목(被害木)보다 limonene은 6.8%가 증가(增加)하고, ${\beta}$-pinene은 9.2%가 감소(減少)한다. 3. 선발목(選拔木)에도 피해목(被害木)에서와 같이 상당(相當)한 수(數)의 산란(産卵)을 하나 충영형성율(蟲癭形成率)은 대단(大端)히 저하(低下)한다. 이상(以上)을 요약(要約) 결론(結論)하면 본(本) 연구(硏究)로 Pinus thunbergii 침엽내(針葉內)의 monoterpene 중(中) limonene과 ${\beta}$-pinene의 양성분(兩成分)은 계절(季節)에 관계(關係)없이 내충성(耐蟲性) 검정(檢定)에 유효(有效)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월동후(越冬後) 밀도변동(密度變動)에 미치는 주요인자(主要因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Population of the Overwintered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영진;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
    • /
    • 1986
  • 1980년(年) 3월(月)부터 1981년(年) 9월(月)까지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 둔대리(京畿道 華城郡 半月面 屯台里) 야산(野山)에서 월동후(越冬後) 솔잎혹파리 밀도변동(密度變動)에 미치는 주요인자(主要因子)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진행(進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중밀도(土中密度) 감소율(減少率)은 양세대(兩世代)에서 용화전까지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용화기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그 변동상(變動相)은 세대(世代)에 따라 차(差)가 있었다. 2.1979년(年)과 1980년(年) 양세대(兩世代)의 추정(推定) 용화 50%일(日)을 비교(比較)해 볼 때, 1980년세대(年世代)에서 약(約) 2주정도(週程度) 앞당겨졌는데, 이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으로 생각된다. 3. 월동유충밀도(越冬幼蟲密度)에 대(對)한 성충우화율(成蟲羽化率)은 평균(平均) 14.5%로 1979년세대(年世代)에서는 14.1%였고 1980년세대(年世代)는 14.9%로 그 차(差)는 명백(明白)하지 않았다. 4.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Y)과 토양함수량(土壤含水量)($X_1$) 및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X_2$)와는 $(X_2),\;Y=-68.41+4.3206X_1-0.6887X_2$라는 식(式)이 성립(成立)되었으며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5.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과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들 구해 본 결과(結果),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가 클 때 우화율(羽化率)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6. 수상(樹上) 충영형성율은 1980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49.63% 였으나, 1981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86.87% 로 대부분(大部分)의 적송(赤松)이 고사(枯死)내지 고사단계(枯死段階)에 이르렀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 고농도 ULV 엽면살포효과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 Effect of ULV Foliar Spray of Some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98
    • /
    • 1982
  •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Decis^{(R)},\;1EC)$, Phenthoate$(Elsan^{(R)},\;47.5\%)$, Diazinon(34 EC), Chlorfevinphos$(Birlane^{(24)},\;24\;EC)$, Phosalone$(Zolone^{(R)},\;25\;EC)$ 및 Methamidophes$(Tamaron^{(R)},\;60\;SL)$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53.3\%$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11.8\%,\;15.4\%,\;15.5\%$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Diazinon(19.3\%),\;Chlorfevinphos(20.4\%),\;Phoslaone(24.3\%),\;Methamidophos(31.5\%)$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

  • PDF

솔잎혹파리의 성충밀도를 줄이기 위한 점착물질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se of Sticky Agent for Control of Population Density Of the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TDA et INOUYE)

  • 우건석;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3-160
    • /
    • 1979
  • 본 시험은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솔잎혹파리 우화성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지면산포, 지피식생 및 수간산포의 세 방법으로 이 시험을 위해 조제한 점착제 $C_4$를 이용하여 경기도 안양시 산본리에서 시기별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착제로 선정된 $C_4$의 조성은 피마자유 $70\%$, Damar 수지 $25\%$, Carnauba Wax $5\%$였으며 점성, 점도의 지속성이 우수하였고, 약해가 비교적 낮았다. 2. 지면산포구에서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수는 대조구에 비해 G-II구는 $78.0\%$가 감소 되었다. 3. 지피식생산포구에서는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 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P-I구는 $63\%$, P-II구는 약 $90\%$가 감소되었다. 4. 수간산포구에서는 충영형성율이 F-I구가 $32.8\%$ F-II구는 $40.8\%$, F-II구는 $59.4\%$로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충영형성율이 낮았으나 F-I구는 F-II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소나무의 상${\cdot}$${\cdot}$하부위별 충영형성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5. 점착제의 산포시기는 전처리구에서 우화최성일 1주일전이 효과적이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 입제형 침투성 살충제의 근계주변 토중처리효과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I. Effect of the Root-Zone Treatments of Some Granular Systemic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8-141
    • /
    • 1982
  •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Temik^{(R)}\;15G)$, Carbofuran$(Curaterr^{(R)}\;3G)$, Disulfoton$(Disyston^{(R)}\;5G)$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Curaterre^{(R)},\;Temik^{(R)}$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49.9\%,\;16.4\%,\;33.7\%$인데 비하여 $(Temik^{(R)}$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27.9\%,\;65.4\%,\;6.7\%$이었고 $Curaterr^{(R)}$ 처리에서는 각각 $64.8\%,\;23.7\%,\;1.5\%$이었으며 $Disystone^{(R)}$ 처리에서는 각각 $49.6\%,6.3\%,\;24.1\%$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Temik^{(R)}$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Temik^{(R)}$$Curaterr^{(R)}$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Temik^{(R)}$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Temik^{(R)}$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솔잎혹파리의 생태조사(生態調査) (1) - 유충낙하율(幼虫落下率) 및 충영형성률(虫癭形成率) - (A Study on the Ecology of the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1) - The Percentage of Larval Falling to the Ground and The Degree of Gall-Forming -)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26
    • /
    • 1966
  • 이것은 솔잎혹파리의 생태(生態)를 밝히고저 서울지방(地方)에서의 시기별유충낙하율(時期別幼虫落下率)과 시기별피해율(時期別被害率)을 조사(調査)한 것이다. 1. 솔잎혹파리의 유충(幼虫)이 피해엽(被害葉)의 충영(虫癭)으로 부터 지표(地表)에 떨어지는 시기(時期)는 9월(月) 하순(下旬)부터 다음해 1월하순(月下旬)까지 이다. 2. 솔잎혹파리 유충(幼虫)은 11월중(月中)에 가장 많이 낙하(落下)하며 전체낙하수(全體落下數)의 76%가 11월(月)에 낙하(落下)하였다. 3. 솔잎혹파리 유충(幼虫)은 강우시(降雨時)에 많이 떨어지며 온도습도(溫度濕度), 강우량(降雨量)은 유충낙하수(幼虫落下數)에 상관(相關)이 없다. 4. 피해도(被害度)가 평균(平均) 70%인 피해임수관하(被害林樹冠下)에서 $1.5m^2$당(當) 47,000여(餘) 마리의 유충(幼虫)이 낙하(落下)하였다. 5. 솔잎혹파리의 시기별(時期別) 피해율(被害率)은 대조구(對照區) 91%, 5월(月)30일구(日區) 80%, 6월(月)6일구(日區)50%, 6월(月)10일구(日區)36%, 6월(月)15일구(日區)19%, 6월(月)25일구(日區)20%, 6월(月)30일구(日區)1%이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II. ULV 엽면살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I). ULV Foliar Spray of the Insecticides)

  • 최승윤;이형래;안용준;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
    • /
    • 1980
  • 본 시험은 살충제 제제원액(Sumithion ULV 80, Sevin oil ULV 50, Salithion EC25, Dimethoate EC 50, Zolone EC 25, Folimat EC 50)과 고농도 희석액(Salithion, Dimethoate 10, 20, 40배)의 ULV 엽면살포에 의한 술잎혹파리방제 효과를 비교 검토코자 실시하였다. 1. 제제원액 살포시험에서는 약제의 종류와 철포시기(5월 19일, 26일, 6월 2일, 9일)에 따라 방제효과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면 그 방제효과는 Salithion, Sumithion, Dimethoate, Sevin oil, Zolone 및 Folimat의 순이였으며 대부분 5월 26일 처리에서 비교적 방제 효과가 좋았다. 그리나 문제는 Zolone을 제외한 다른 공시약제들은 보다 처리시기에 상관없이 약해가 발생하였다. 2. 고농도 희석액 살포시험에서는 희석배수, 처리시기(6월 2일, 9일)에 상관없이 Dimethoate에 비하여 Salithion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약해도 발생하지 않었다. 3.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Salithion 유제를 10배로 희석하여 5월 중하순에서 6월 상순경에 걸쳐 ULV 1회 엽면살포로서 성력적인 솔잎혹파리적 약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나무 침엽(針葉)의 Monoterpene 조성(組成)과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에 관(關)하여 (Monoterpene Composition in Needles of Pines in relation to the Resistance to Pine Gall Midges)

  • 김종수;박노동;박창규;이석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3호
    • /
    • pp.189-197
    • /
    • 1980
  • 소나무의 monoterpene조성(組成)가 솔잎혹파리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솔잎혹파리 저항성(抵抗性) 소나무 5개(5個) 수종(樹種)가 감수성(感受性)소나무 2개(2個) 수종(樹種), 그리고 감수성(感受性) 해송(海松)가운데 피해목(被害木)과 선발목(選拔木)의 침엽(針葉)을 GLC로 분석(分析)하여 monoterpenes의 조성(組成)을 근거(根據)로 저항성(抵抗性) 또는 감수성(感受性) 수종(樹種)을 구별(區別)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적송수종내(赤松樹種內)의 피해목(被害木)과 선발목간(選拔木間)에는 limonene, ${\alpha}-pinene$, myrcene 및 ${\beta}-phellandrene$의 농도(濃度)아 조성비(組成比)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였다. 적송(赤松)의 선발목(選拔木)에서 limonene의 농도(濃度)는 솔잎혹파리 산란이후(産卵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으나 피해목(被害木)에서는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적송(赤松)의 선발목(選拔木)에서 솔잎혹파리에 대(對)한 내충성분은limonene으로 보였다.

  • PDF

소나무를 가해(加害)하는 천공성해충(穿孔性害蟲)에 관(關)한 연구(硏究) (Boring Insects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 이찬용;이상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09-617
    • /
    • 2000
  • 강원도 춘천 홍천의 소나무 건전림과 평창 정선의 솔잎혹파리 피해지역(충영형성율 70%) 임내에 식이목을 설치하고, 1999년 4월부터 8월까지 천공성해충의 분포 및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총 12과 35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가운데는 한국미기록종 5종과 천적 2과 5종이 채집되었다. 천공성해충의 종에 따른 수목의 가해선호부위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의 수간하부에는 왕바구미(Siphalinus gigas)외 3종, 수간중부에는 깨다시수염하늘소(Monachamus sutor)외 7종, 수간상부에는 이비나무좀(Orthotamicus suturalis)외 1종으로 가해부위에 따라 종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소나무줄나무좀(Hylurgops interstitialis)은 수간전체부위에서 조사되었다. 천공성해충의 가해습성은 가문비왕나무좀(Xyleborus validius) 및 하늘소과(Cerambycidae)는 변재부, 솔곰보바구미(Hybitelus haroldi) 왕바구미(Siphalinus gigas)는 심재부, 노랑무늬 솔바구미(Pissodes nitidius) 노랑점바구미(P. abscurus) 솔흰점박이바구미(Shirahoshizo insidiosus) 및 나무좀과(Scolytidae)는 인피부(靭皮部)를 가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소나무류의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과 침엽내(內) Phenolic Acid의 농도 (Resistance to Pine Gall-midge and Phenolic Acid Content in Pine Needles)

  • 엄태진;손두식;이상우;서재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33-40
    • /
    • 1998
  • The phenolic acids in needles of five pine species such as Pinus densiflora, P. thunbergii. P. virginiana. P. rigida. and P. koraiensis were analyzed seasionally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istant factors against pine gall-midge(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The interrelation of resistance to pine gall-midge and the content of phenolic acids in pine needles was investigated in the artificial hybride pine species. The contents of salicylic acid in susceptible species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to pine gall-midge which watered with salicylic acid solution in a pot was determined. The results can be concluded as follows, 1. There was a little change in total phenolic constituents of resistant and susceptible pines seasonally. The each content of benzoic acid, salicyl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in June was the highest through four seasons. 2. In June, resistant species showed higher content of salicylic acid than susceptible species, while the content of gallic acid was the highest in December. 3. Among the 21 artificial hybrids(P. densiflora ${\times}$ P. virginiana. P. thunbergii ${\times}$ P. virginiana), the hybrides of the higher salicylic acid content showed the lower rate of pine gall formation. 4. Pine gall formation of the susceptible species which were watered with salicylic acid solution remarkably de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