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acea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43초

한국산(韓國產) 차나무과(科) 6종(種)의 계통(系統)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A Systematic Study of the Theaceae 6 Species in Korea)

  • 김삼식;이정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431-440
    • /
    • 1993
  • 한국산(韓國產) 차나무과(科) 6속(屬) 6종(種)을 형태학적(形態學的), 해부학적(解剖學的), Peroxidase 동위효소분석(同位酵素分析) 및 수리학적(數理學的) 분석(分析) 방법(方法)으로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엽형질(葉形質)에 의한 아과분류(亞科分類)는 평균결합법(平均結合法)과 완전결합법(完全結合法)이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서 기여도(寄與度)가 높은 형질(形質)은 엽폭(葉幅), 엽장(葉長) 등(等)의 잎의 크기였다. 엽맥(葉脈)과 분지각(分枝角)의 크기에 따라 차나무 아과(亞科)는 차나무${\rightarrow}$동백나무${\rightarrow}$노각나무로, 후피향나무아과(亞科)는 사스레피나무${\rightarrow}$비쭈기나무${\rightarrow}$후피향나무로 분류(分類)되었다. 기공(氣孔)의 형태(形態)는 차나무아과(亞科)는 기공(氣孔)의 주위에 부세포(副細胞)가 있는 평행형(平行形)(paracytic type)이고, 후피향나무아과(亞科)는 부세포(副細胞)가 없는 불규칙형(不規則形)(anomocytic type)으로 분류(分類)되었다. Peroxidase 동위효소분석에서 과(科)의 공유(共有)band는 없으나 차나무아과(亞科)는 No.5(Rf. 4.0-4.4)에서, 후피향나무아과(亞科)는 No.7(Rf. 5.7-6.2)에서 아과(亞科)를 구분(區分)할 수 있는 banding pattern이 있었다. 엽형질과 Peroxidase 동위효소분석(同位酵素分析)에 의한 류집분석(類集分析) 결과 유사한 분류군(分類群)을 형성하여 좋은 분류형질로 작용하였다.

  • PDF

동백나무류에서 발생하는 국내 미기록 혹응애류 3종에 대한 보고 (Three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era Acaphylla Keifer and Calacarus Keifer (Prostigmata: Eriophyidae) from Camellia spp. (Theaceae) in Korea)

  • 이종호;정성훈;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9-64
    • /
    • 2014
  • 한국산 동백나무류에서 서식하는 3종의 국내 미기록 혹응애(전기문목: 혹응애과), Acaphylla theae (Watt), A. theavagrans Kadono 및 Calacarus carinatus (Green)에 대한 분류학적 설명과 주요형질의 삽화를 제공하고, 기주식물과 피해양상 등의 생물학적 정보 또한 제공한다.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차나무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se))

  • 권혜진;송호경;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3-250
    • /
    • 2008
  • 한국 특산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해, 노각나무와 근연 분류군의 외부형태와 ITS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는 일본에 분포하는 S. pseudocamellia와 외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나, 노각나무는 잎이 대형이고 소화경의 길이가 2.5 cm 이상인 점에서 S. pseudocamellia와 구별되었다. IT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노각나무는 S. pseudocamellia와 별개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외부형태 및 ITS 염기서열 결과는 노각나무가 S. pseudocamellia와 다른 별개의 한국 특산종임을 지지해 주었다.

A New Furocoumarin from the Leaves of Camellia sinensis(L.) O. Kuntze

  • Banerjee, Jayashree;Ganguly, S.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11-13
    • /
    • 1997
  •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defatted tender leaf of Camellia sinensis a new 4-hydroxy angular furocoumarin $C_{12}H_8O_5$, m.p. $212^{\circ}C$, was isolated using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ic technique.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established as 4-hydroxy-2'-methoxy angular furocoumarin on the basis of physical methods viz. $^1H$ NMR, $^{13}C$ NMR and MS.

  • PDF

Triterpenoids of Gordonia dassanayakei

  • Herath, H.M.T.B.;Athukoralage, P.S.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102-105
    • /
    • 2000
  •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hot hexane extract of the stem bark of Gordonia dassanayakei afforded a new oleanane triterpenoid, $11{\alpha},13{\beta}-dihydroxyolean-3,12-dione$ (1) and two other oleanane triterpenoids, $3{\beta}-acetoxy-11{\alpha},13{\beta}-dihydroxyolean-12-one\;(2)\;and\;3{\beta},11{\alpha}-diacetoxy-13{\beta}-hydroxyolean-12-one\;(3)\;and\;a\;hopane\;6{\alpha},22-diol$ (4), which are new to the plant.

  • PDF

제주도 자생 차나무과 식물의 ACE, APN, $\alpha$-amylase 저해 활성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y, including Inhibitory activities of ACE, APN and $\alpha$-amylase, in Theaceae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 오순자;이진호;고광섭;신동범;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06-414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자생하는 차나무과 식물을 대상으로 식품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활성, aminopeptidase N(APN) 저해활성 및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조사하고, 항산화활성을 검색하고 T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후피향나무(수피)와 비쭈기나무(잎)에서 50% 이상의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APN 저해활성은 비쭈기나무(잎과 수피)와 후피향나무(수피)에서만 양의 활성을 보였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동백나무(열매), 우묵사스레피나무(수피), 후피향나무(수피)와 차나무(줄기)에서 30% 이상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비쭈기나무(수피), 후피향나무(수피), 차나무(잎)에서 30% 이상의 다소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쭈기나무(수피)는 dot-blot test에 의해 다른 종에 비해 활성이 높아 $1.25\;{\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TLC 분석에 의해 비쭈기나무(수피)에서 EGC(Rf 0.26) 활성이 높았으며, 비쭈기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후피향나무의 수피에서 EGCG(Rf 0.09) 활성이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표준 catechin류와는 다른 것으로 보이는 5개의 밴드(Rf 0.54, 0.46, 0.44, 0.16, 0.03)는 Folin-Ciocalteu Reagent 방법과 Ferric chloride-alcohol 방법을 이용하여 polyphenol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사스레피나무를 제외한 차나무과 식물들은 생리활성이 높아 식품 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활성성분의 분리 및 동정 그리고 이들 물질을 이용한 임상실험 등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 on the Content of EGCG and Caffeine of Green Tea: Comparison with the Inhibitory Activity on Pancreatic Lipase

  • Lee, Eun Song;Lee, Mi Kye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66-172
    • /
    • 2013
  • Caffein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re major constituents of green tea, the leaves of Camellia sinensis (Theaceae). Although EGCG is well known for diverse beneficial effect, caffeine is sometimes harmful with adverse effects. Therefore, the extraction efficiency was investigat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 such as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time, extraction method, and repeated extraction. The content of EGCG and caffeine in green tea extract was quantitated by HPLC analysis. The extraction condition exerted difference on the extraction yield. The content of EGCG was also affect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Especially, the extraction solvent greatly affected the content of EGCG in the extract. However, the content of caffeine was less affected compared to that of EGCG. Th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pancreatic lipase was almost similar regardless of extraction condition. Taken together,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will provide best efficacy for further development of green tea as anti-obesity therapeutics.

전남지역 한약자원 식물수집분포 및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III. 조계산 한약자원 식물분포 조사 (A Study on the Herb Plant Resources in Jeonnam II.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t. Jogho)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3-116
    • /
    • 1988
  • The plants medicinal resourees of Mt. Joghe were investigeted 10 times from January, 1988 to October, 1988. 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Joghemountain area, herb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Herb plants of Joghe moun-tain consisted of 102 families, 265 specie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drugs were Gramineae, Cyperaceae Oleaceae, Araceae, Polygonaceae, Caryophyllaceae,Ranunculaceae, Theaceae, Cruciferae, Liliaceae, Rosaceae, Geranjaceae, Violaceae,Vitaceae, Umbelliferae, Labiatae, Solanaceae, Campanulaceae, Rutaceae, Compositae,Dioscoreaceae, Fagaeeae, Moraceae, Anacardiaceae, Legum inosae, Cupressaceae, andJuelandaceae. The herb dru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 in other mountains inour country.

  • PDF

Phenolic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Ternstroemia japonica

  • Cho, Young-Mi;Park, Kyoung-In;Kim, Min-Kyoung;Jung, Jee-H.;Im, Kwang-Si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94.1-194.1
    • /
    • 2003
  • Ternstroemia japonica (Theaceae)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The tree is a useful source of lumber, dye and horticulture. Its fruits have been used as folk medicine in Japan for the treatment of chest pain or numbness. Previously, we have isolated saponins and jacaranone derivatives from the fruits. In our continuous study on the same plant, the leaves of Ternstroemia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MeOH and the MeOH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solvents. The n-BuOH soluble fraction was separated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ies on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and further purified by reversed phase HPLC.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