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백석산(강원도 평창군) 식물자원의 분포 (Distribution of Plant Resources in Mt. Baekseok (Pyeongchang-gun, Gangwon-do))

  • 정준희;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1-368
    • /
    • 2023
  • 백석산(1,365m) 식물자원의 분포를 밝히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17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백석산의 관속식물은 99과 346속 552종 20아종 49변종 6품종 1잡종으로 총 6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1분류군, 환경부 지정 적색목록 식물은 총 12분류군, 산림청 지정 적색목록 식물은 56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6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등급별로는 V등급1분류군, IV등급20분류군, III등급52분류군, II등급53분류군, 그리고 I등급38분류군이었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3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4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 246분류군(39.2%), 목초용 215분류군(34.2%), 약용 187분류군(29.8%), 관상용 75분류군(11.9%), 목재용 22분류군(3.5%) 등의 순이었다.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Ohdo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Hapcheon-gun)

  • 김태운;서장미;박유진;문현식;강미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39-151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식물상 분석을 통해 생태적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자연휴양림의 효율적인 보호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6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수행되었다. 전체 식물상은 86과 192속 255종 3아종 32변종 6품종 등 총 29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종/속 비율은 1.5로 나타났다. 특산식물은 세뿔투구꽃, 진범, 은꿩의다리, 흰괭이눈, 참갈퀴덩굴 등 총 10분류군이 나타났고, 희귀식물은 세뿔투구꽃, 주목, 히어리, 사철란 등 총 6분류군이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0분류군으로 IV등급이 5분류군, III등급이 6분류군, II등급이 7분류군, I등급이 11분류군이 나타났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총 42분류군이 나타났고,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식재종인 구상나무, 세뿔투구꽃을 포함하여 총 4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유럽점나도나물, 가죽나무, 망초 등 총 11분류군이 나타났다.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종풍부도 변화 예측 연구 (Prediction of Potential Species Richness of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 신만석;서창완;이명우;김진용;전자영;프라딥아디카리;홍승범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562-581
    • /
    • 2018
  • 본 연구는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종풍부도 변화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종은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중에서 특산식물 23종, 북방계식물 30종 그리고 남방계식물 36종으로 총 89종을 선정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개별 종의 잠재서식지를 예측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종풍부도 변화를 예측하였다. 개별 종의 잠재서식지는 10개의 종분포모형 알고리즘을 함께 고려하는 앙상블모형을 구축하였다. 미래 예측 시기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4.5와 RCP8.5를 선정하여 2050년과 2070년을 예측하였다. 현재의 종풍부도는 국립공원, 강원도 백두대간 지역 그리고 남해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래 예측 결과, 기존에 높은 종풍부도를 보였던 국립공원과 강원도 백두대간 지역은 낮아졌고 남해안 내륙지역은 보다 더 높아졌다. 종풍부도의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현재 기준으로 국립공원 지역이 남한 전체지역보다 높으면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라서 국립공원 지역과 남한 전체지역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특산식물과 북방계식물의 다수가 남한지역에서 사라지고 남방계식물이 북상하면서 이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적합한 서식지로 이주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종풍부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분산가능성의 가정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전 계획 수립, 보호 지역 설정, 생물종 복원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 전략 및 관리 방안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주국립공원 구미산 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1-52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flora data for conserving the biodiversity of Gyeongju National Park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flora of Mt. Gumi were surmmarized as 476 taxa including 97 families, 297 genera, 419 species, 3 subspecies, 46 varieties and 8 forms. The rare plants were 6 taxa such as Aristolochia contorta,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Potentilla discolor, Berchemia berchemiaefolia, Trigonotis icumae and Iris odaesanensis.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9 taxa such as Carpinus laxiflora, Pseudostellaria coreana, Philadelphus schrenkii, Indigofera koreana, Lespedeza maritima, Vicia chosenensis, Galium koreanum, Lonicera subsessilis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such as Salix chaenomeloides(I), Hylomecon vernalis (I), Oxalis obtriangulata (I), Viola orientalis(II), Adoxa moschatellina (II), Cirsium chanroenicum (II), Vitex negundo var. incisa (III)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6 taxa such as Fallopia dumetorum, Chenopodium album, Lepidium virginicum, Amorpha fruticosa, Euphorbia supina, Carduus crispus, Erigeron strigosus, Festuca myuros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ne plant was Aster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8 taxa such as Artemisia rubripes, Carpesium macrocephalum and so forth.

창원시 정병산 용추계곡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Yongchu Valley of Jeongbyeongsan in Changwon-si, Gyeongsangnam-do)

  • 이기숙;이재순;문현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3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ational management plan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by comprehensive analyzing the flora distributed in Yongchu valley, Changwon-si. The flora of Yongchu valley were summarized as 319 taxa including 93 families, 212 genera, 285 species, 3 subspecies, 6 forms and 25 varieties. The endemic plants were 5 taxa such as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Impatiens koreana, Lespedeza maritima, Thalictrum acteifolium and Weigela subsessilis. The rare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I. koreana, Prunus yedoensis and Magnolia kobu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including I. koreana, Jeffersonia dubia., M. kobus and P. yedoensis which are class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Solanum americanum, Aster pilosus, Crassocephalum crepidioides and Cerastium glomeratum and so forth and invasive alien plants among these plants was 1 taxa of A.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8 taxa including Corydalis turtschaninovii of northern plant, I. koreana of endemic plant, and Meliosma myriantha of southern plant.

주왕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by surveying the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The numbers of flora were summarized as 575 taxa; 99 families, 333 genera, 507 species, 4 subspecies, 56 varieties and 8 forms. The threatened species was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the rare plants were 17 taxa; Anaphalis sinica, Jeffersonia dubia, Hylotelephium ussuriense,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3 taxa; Salix pseudolasiogyne, Carpinus laxiflora, Pseudostellaria c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Corydalis albipetal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9 taxa; 31 taxa of grade I, 16 taxa of grade II, 8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 IV and 7 taxa of grade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7 taxa; Fallopia dumetorum, Rumex crispus, Chenopoidum album, Amaranthus patulus, Lepidium apetalum and so forth,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ster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18 taxa; Anemone reflexa, Eranthis stellata, Hylomecon vernalis, Lathyrus vaniotii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31 taxa; Dianthus longicalyx, Thalictrum ichangense, Spiraea blumei, Glycine soja and so forth.

경주국립공원 서악 지구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Seoak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management and restoration plan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Seoak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The flora summarized as 411 taxa including 92 families, 285 genera, 363 species, 2 subspecies, 41 varieties and 5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 taxa including Exochorda serratifolia and Potentilla discolor.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Philadelphus schrenkii,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6 taxa including Asplenium sarelii, Pyrrosia petiolosa, Vitex negundo var. incisa and so forth.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2 taxa including Lespedeza maritima and Carpesium macrocephalum, and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4 taxa including Exochorda serratifolia, Glycine soja,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1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Viola papilionacea, Lamium purpure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NI(Naturalized Index) was 12.4% of all 411 taxa of surveyed flora in this study and UI(Urbanized Index) was 15.9%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Potentilla discolor in rare plant, Philadelphus schrenkii in endemic plant and Dictamnus dasycarpus in specific plant were established the conservation plan. Whereas, invasive alien plant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should be removed as soon as possible. The damaged sites in Seoak District were divided between wildfire area and farmland. To restore a forest fire site, we will have to apply a natural renewal and community planting. In case of farmland, we will have to do ecological planting using native species and constrcut a forest wetland.

천마산(경기도)의 식물상 (Flora of Mt. Cheonma (Gyeonggi-do Prov.))

  • 하영호;윤창영;김상철;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109
    • /
    • 2016
  •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천마산의 관속식물상의 조사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한반도고유종,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적색식물, 구계학적특정식물종, 기후변화 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고 또한 이미 조사가 이루어진 주변지역의 산과 종 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4과 266속 378종 2아종 46변종 7품종의 총 433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산림청(국립수목원)이 지정한 특산식물은 13분류군이, 환경부지정 고유종은 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IUCN 평가기준에 따라 국립수목원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약관심종(LC) 9분류군, 취약종(VU) 2분류군, 위기종(EN) 1분류군 등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환경부에서 제시한 적색자료집에 따르면 관심대상(LC) 7분류군, 미평가(NE) 1분류군 등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 II 등급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환경부지정 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9분류군이 확인 되었으며, 이 중 정밀생태 조사종인 IV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도깨비부채, 만주바람꽃, 미역고사리, 점현호색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립수목원지정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300종 중에서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9분류군이 확인되어 귀화율 4.3%, 도시화지수 5.9%를 보였다. 광주산맥내 위치하는 산인 축령산, 화악산, 명지산과 비교하여 190분류군이 공통적으로 분포하였으며, 51분류군은 천마산에서만 확인되었다.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육상(비관속 선태식물 및 관속식물) 식물상 (The flora of land plants (bryophytes and vascular plants) in Wangpicheon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ELCA), Korea)

  • 이승혁;안진갑;박승진;김철환;최승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79-317
    • /
    • 2020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울진군과 영양군에 위치한 왕피천유역 생태·경관보호지역의 비관속 선태식물상 및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보전 및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계절별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왕피천유역의 육상식물은 총 164과 455속 698종 10아종 47변종 3품종으로 총 75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중 비관속 선태식물은 46과 88속 120종 2변종으로 총 122분류군이며, 관속식물은 118과 367속 578종 10아종 45변종 3품종으로 총 636분류군이였고, 자생식물은 693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13분류군으로 V등급 1분류군, IV등급 6분류군, III등급 31분류군, II등급 38분류군, I등급 37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덕우기름나물을 비롯한 9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2분류군,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 15분류군과 남방계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46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전이 필요한 종들을 제시하며,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덕세산(인제, 강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Inje, Gangwon))

  • 김경아;고아름;이윤순;천경식;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7-165
    • /
    • 2021
  •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덕세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8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87속 404종 13아종 35변종 5품종의 총 457분류군이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였고, 희귀식물은 7분류군, 적색목록식물은 3분류군, 그리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103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83종류로 IV등급 8분류군, III등급 26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그리고 I등급에 28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14분류군이었고, 덕세산이 북방한계인 식물은 4분류군, 외래식물은 29분류군, 그리고 생태계교란야생종은 4종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보전이 필요한 주요 종들을 제시하였으며, 덕세산의 식물 다양성 및 분포 변화 연구 등의 자원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