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eer relationship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4초

학생 주도적 영재 캠프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Students' Self-Directed Camp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 이경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907-925
    • /
    • 2011
  • 본 연구는 2009년과 2010년 여름에 실시된 충남 인문 영재 학급의 연합 캠프 분석이다. 캠프 주제에 대한 학생의 사전 공부, 학생 개인별 프로젝트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계획서 작성, 캠프 후 그 연구 계획서에 따른 창의적인 산출물을 제작하는 학생 주도적 캠프 방법은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만족에 효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숙형 캠프는, 교사나 다른 영재 학생들과의 친밀감을 증가시키며, 2학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감 및 정서적 평안함이 증가되는 것으로 설문 결과 나타났다. 캠프를 위한 교사의 준비 정도, 학생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정도, 그리고 학생 개인의 사전 준비 정도가 학생들의 캠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영재 교육 및 연수 경험 정도에 따라 영재 학생에 대한 이해 및 캠프를 통한 영재아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대한 기대에 있어서 교사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결손가정 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적 요인의 매개효과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Factors between Family Deficiency and Community Spirit in Adolescence)

  • 박선숙;이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85-196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결손가정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이웃관계 등 관계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조사 2012년 3차년도 자료 중에서 초등학교6학년과 중학교 3학년 4,36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분석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동체 의식의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중학교 3학년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경우, 결손이 없는 가정인 경우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결손가정 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이웃관계의 관계적 요인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여주면서 부모구성에 따른 결손가정요인의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에게 있어서 관계적 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Capital Type of the Juvenile Deliquents)

  • 신근화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333-366
    • /
    • 2018
  •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인식유형을 Q방법론을 활용하여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유형별 특성을 밝히고, 사회적 자본 형성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에 관한 진술문 33문항을 비행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5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I은 '친구 지지형', 유형 II는 '가족친화형', 유형 III은 '능력자형', 유형 IV는 '정의사회형', 유형 V는 '학교 신뢰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 형성방안을 제시해 보면, 첫째, 또래관계 내 사회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친한 친구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부모 자녀간의 직접적인 관계에서의 개입 즉, 대화, 관심, 의사소통 뿐만 아니라 자녀와 간접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자녀의 친구, 자녀의 학교에 대한 개입이 요구된다.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지속적인 감정 통제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제도의 불합리성과 유해환경에 대한 감시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 규범의 수준을 강화하여 학교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흡연관련 사회적 환경, 흡연거절기술 및 금연관련 자기효능감 (A Study on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 김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37-249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Method: The subject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000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Ch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guest 19 to September 14, 2002. Result: The smoking rate was 3.3%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13.6%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 have had 61.1% of family members, 42.7% of same sex friends, 39.4% of object sex friend, 64.9% of peer group and 85.9% of teachers were being smoke.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and smoking statu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current smokers'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level was much higher than former and never smoker. Friends', teachers' and family members' influences were important to adolescents' smoking. Adolescents had social influence made by many smokers. 27.7% of subject were suggested to smoke by near people, 40.4% of which them were smoked or tried to smoke. The mean refusal skill score of subject was 39.13 points per hundred. Adolescents have showed very low level of refusal skill to smoke. Current smokers' refusal skill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ormer and never smoker. The mean average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score of current smoker was 44.46 percents per hundred, it showed that current smoker had very low level of self-efficacy to ceasing smoke. Conclusion: For the purpose of adolescents smoking prevention and ceasing, the educational program must designed to reduc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to promote th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 PDF

유아 자아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resili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 이수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37-14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3, 4, 5세 유아 28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주의집중', '정서조절', '자기효능감', '공감', '또래관계'의 5개 요인의 26문항이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델 적합도 지수는 RMSEA=.059, NNFI=.901와 CFI=.913로 나타났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KPRC의 자아탄력성 척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두 척도 간에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일관성 지수인 Chronbach ${\alpha}$를 분석한 결과 신뢰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건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 Childhood Attachment and Adolescent's Self Esteem as Predictors of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 탁영란;이은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89-97
    • /
    • 2004
  • Purpose: Adolescence is viewed as a critical period in the formation of health behavior and many health behaviors developed during this era persist into adulthood. Social-cognitive theory, self-efficacy as a central construct, has been used to predict and intervene the health behavioral patterns in adolescent.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attachment in childhood and self-esteem as psychosocial factors are predictors of the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 and it is viewed as solely an antecedent for the lifelong health behavior. Method: To investigate the path pattern of attachment in childhood, self-esteem and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381 adolescents in high school from two urban cities in Korea were recruited for cross-sectional sample. Attachment in childhood was measured using Mother-Father-Peer Scale. Self esteem was measured with Hare self esteem. Perceived self efficacy in Health was measured by the School Health Efficacy Questionnaire. The path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in childhood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Self esteem was the strongest contributing factor for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 The results suggest that attachment in childhood may aid in formulating positive self -esteem in adolescents and self-esteem played a major role in predicting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Conclusion: Therefore, self-esteem enrichment should be incorporated with adolescent health promotion and certainly should be a component in any health education program in school health program and intervention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of psychosocial and family related factors on health promotion and health education for the health care provider with regard to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in adolescent population.

  • PDF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ffects of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89-19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의 감소와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우울,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낮아질수록 자살생각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가족지지체계는 부모자녀간의 관계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지지체계는 교사와 또래간의 지지적 관계형성 프로그램과 친구지지 자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지지체계는 다양한 지역네트워크 조성을 통한 통합적 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1호
    • /
    • pp.81-114
    • /
    • 2003
  • 이 글은 청소년이 왜 일탈행동을 하는가? 하는 관심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위해 주된 문화와 질적으로 다른 하위 문화에 대한 접근 논리를 모색하고, 청소년 일탈행동 형성에 대한 개념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 다룬 내용은 두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환경특성으로서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및, 개인특성으로서 청소년의 심리특성과 행동특성이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둘째, 청소년기 동안 일탈행동이 어떠한 변화를 거치는가를 횡단자료 뿐만 아니라 종단 자료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청소년기동안 경험하는 환경적 변화와 개인특성 변화의 맥락에서 청소년 일탈행동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에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들에 토대하여, 종합 논의를 시도하였다.

  • PDF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Alcohol and Cigarette Use among Peruvian Adolescents

  • Chavez, Rosemary Cosme;Nam, Eun Woo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8-3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alcohol and cigarette use and assess its relationship with socio-environmental, psychological, violent and behavioral factors among a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Lima and Callao, Peru. Methods: We utilized the data from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by the Yonsei Global Health Center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Peru office in November 2016. The total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1,477 students. For analysis, we used b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calculate the unadjusted and adjusted odds ratios and their respective 95%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The current prevalence of alcohol and cigarette use among adolescents was found to be 24.2% and 12.1%, respectively. Alcohol use was affected by age, friends' alcohol use, experience of physical fighting, and involvement in other risk behaviors (smoking, drug use, and sexual intercourse). Cigarette use was affected by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friends' cigarette use, and involvement in other risk behaviors (drinking, drug use, and sexual intercourse). Furthermore, students who received affection from their parents and whose parents monitored their activities were less likely to report using both alcohol and cigarettes. Conclusion: Alcohol and cigarette use among Lima and Callao adolescents is affected by socio-environmental, violent and behavioral factors. Alcohol and cigarette use prevention initiatives should promote positive parenting practices, family togetherness, and a supportive school climate. In addition, it is needed to establish peer-led programs that promote behavioral changes in students and strengthen social relations without the presence of alcohol, cigarettes, and other harmful substances.

교수와 대학생의 수업평가 결과 (Instructional Ratings by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 길양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71-275
    • /
    • 2022
  • 이 연구는 수업경연대회에 심사자로 참여한 교수 심사자와 대학생 심사자들 간의 평가 결과의 차이와 상관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 사범대학의 수업경연대회에서 수업시연을 심사한 6명의 교수와 9명의 사범대 학생이었다. 이들은 각 과의 대표로 출전한 학생 11명의 수업시연을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심사평가지에 5단계 척도에 따라 응답하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증,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교수와 학생 심사자들 간의 평가 점수의 평균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교수와 학생 심사자의 평가결과의 상관은 .78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을 뿐 아니라, 상당히 높았다. 이 결과는 대학생의 수업평가 능력을 지지하며, 수업연습에 동료학생들을 의미 있는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연구는 한 학기라는 오랜 기간 동안의 수업으로 인한 과정변인의 중재를 통제하고, 수업시연만을 대상으로 통제된 환경에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구별되는 의미가 있다. 연구대상자가 사범대에 국한되었다는 것은 제한점이 될 수 있으므로, 일반화를 위해서는 일반대학의 교수와 대학생 연구도 추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