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evel of scholastic abilit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4초

고등학교 가정교과에서 옷감실물을 학습자료로 활용한 경우의 학습효과 - 고등학교 가정 교과 "옷감"내용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Learning When We Use "Swatch" as Studying Material in Economics Class of Highschool Curriculum - Centered on "Cloth" Contents in Highschool Home Economics Class -)

  • 이순희;김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2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actical teaching material about$\boxdr$Cloth$\boxul$part of home economics course in highschool and prove it's effect on learning as the result of applying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44 first grade students of Puyo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Puyo county of Chung-nam province. They were identified to have the same quality through such inspections as intelligence quotient and previous scholastic ability test. Experiment group is composed of 72 students of two class in first grade and those students utilized swatch. Controlled group is also made up of 72 students like experiment group and they didn't use swatch.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First we collected the real clothing material which was necessary in $\boxdr$Cloth$\boxul$part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and made teaching plan that could be used to make use of swatch. In this study. we first seek the averages and variations to know how much is the influence of using real things as the studying materials on the class. Then we verified the level of attention to compare and the level of student's schoolwork accomplishment. interest and attitude between experiment group that used the swatch and controlled group who didn't use those material.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After using swatch. students'attitude toward receiving information was getting better. 2) Students'interest toward$\boxdr$Cloth$\boxul$part was getting higher. 3) Scholastic accomplishment of experimental group became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의 문항 및 응시자 응답 분석 (Analysis of Test Items and the Applicants' Responses on the Chemistry Part in the Gene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 홍미영;전경문;이양락;이범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8-386
    • /
    • 2002
  • 1999학년도부터 지난 3년 동안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조사하였다.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문항수,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평균 정답률, 정답률 수준에 따른 문항 분포, 정답률이 높거나 낮은 문항 등을 분석하였다. '환경' 영역에서의 문항수가 매우 적었는데, 특히 '오존층'에 대해서는 한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가장 어려운 내용 영역은 '환경' 영역의 '산성비'였다. 탐구 과정별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고,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 어려운 수준'의 문항은 하나도 없고. '쉬운 수준'이나 '아주 쉬운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다.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개념이나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을 해결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느꼈고, 저학년에서 다루어진 개념만을 요구하는 문항을 쉽게 해결하였다.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융복합 능력 함양을 위한 비판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Disposition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 유승희;강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97-203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융복합 능력 함양을 위한 비판적 사고력과 사고성향을 파악하고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이다. Park(1999)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력과 사고성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2012년 11월 5일부터 2012년 11월 16일까지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은 성적과 문제중심학습 수강유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학년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4학년이 다른 학년들보다 비판적 사고력이 높다), 비판적 사고 과목과 임상실습 수강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어떠한 변수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과 사고성향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상관계수는 유의하였으나, 그 값이 너무 작았다. 그러므로 비판적 사고 관련 교육과 평가, 또는 연구 시 두 부분 즉, 비판적 사고력과 사고성향은 분리하여 다루어져야 한다.

대학 입학 예정자들의 함수 및 미분의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 분석 (An analysis of errors i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oncepts of function and differentiation for matriculants)

  • 임연휘;표용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35-45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수시모집 입학전형에 합격한 대학 입학예정자를 대상으로 P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초수학 특강에서 학습지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기초수학 진단평가에서의 사전 검사를 통해 함수, 함수의 연속 및 미분가능에 대한 기초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와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초수학 특강 최종평가에서의 사후 검사를 통해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유형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연구대상 학생 전체에 대한 오류유형의 변화는 물론, 각 검사문항에 대한 동일 학생의 오류유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도 분석하였다.

  • PDF

양육행동에 대한 아버지신념과 아동의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fathers' beliefs on child rearing & children's self-perceptions)

  • 송순;송희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1호
    • /
    • pp.197-20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beliefs on child rearing and children's self-percep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167 third-grade children (ages 8-10) and their father. To summariz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es :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father's beliefs about child rearing by number of child , father's education, father's job, level of lif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child in independence and by number of child, level of lif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child in accommodation. Second, children's self-perception was related to father's education, father's income, father's job,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child, child's gender,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father's job. Thir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beliefs about child rearing and children's self perception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belief's on the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 accommodation. Father's SES status,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child was a positive relationship children's self-perceptions. Father's beliefs on the creativity was a positive relationship children's self-perceptions but father's belief's on the accommodation was a negative relationship children's scholastic performance, behavioral conduct.

교과서를 재구성한 수준별 학습지의 개발과 적용을 통한. 자기학습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o Improvement of Self-Educ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Level-Learning Materials Reconstructed Text Book - Simultaneous Equations of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

  • 박기석;송원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69-82
    • /
    • 2000
  • Mathematics is the subject that requires high mental function such as the ability of logically thinking and investigating. Because of the reason there exists much greater difference in students' individual scholastic abilities in mathematics class than in other classes. Recently many schools organize students into two or three level-based mathematics classes according to each student's level to solve the problem. But in spite of its many merits the new system of class organization has some problems. The problem which is pointed out as the most serious thing frequently is that many teachers still use the same textbook and the same teaching method for all students, not considering student's level. Obviously it causes the reduction of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this point of view, I tried to solve such a problem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vel learning materials reconstructed text book according to students' abilities and levels through this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o examine the changes of students' emotional factors such as the recognition, interest, and attitude which influence on improving self-educability in learning mathematics has occurred, the following conclusion comes out. 1. Through the mathematics class utilizing level learning materials reconstructed textbook, students come to recognize that level learning materials are more effective than uniformed contents of the same textbook and get more active learning attitude. 2 The application of level learning materials in a level-based class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Furthermore it was also effective in the positive changes of students' emotional factors such as the recognition, interest, and attitude which influence on improving self-educability in learning mathematics.

  • PDF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전문가 인식 연구 (An Analysi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n 2015 Curriculum Revision)

  • 박소영;이정렬;강현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172-118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curriculum experts on 2015 integrated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curriculum revision. Research method is a delphi survey and the subjects are curriculum exper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experts suggested common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students' opportunities to choose subjects. Secondl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vision was different by school level. The elementary school needs to foster convergence thinking. The middle school needs to educate common basic literacy education and the high school needs both the common education and the free choice of subjects by students. Thirdly, the separation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was caused by the separate thinking of custom, tradition and study and the separate exam application o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solution about separation proble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ers'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y. Lastly, for the establishment of an 2015, integrated curriculum the reduction of the CSAT test area and the introduction of qualifying examination for English were required.

대학입학전형 관련 요인에 따른 간호학과 1학년의 학업성취 분석 : 일 대학 간호학과를 대상으로 (Nurs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 김미원;이한주;이윤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6-60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and score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a first year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thod: Data collected include both a descriptive survey designed to assess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with respect to 182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4-year nursing college program and their test scores in the first year. The data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with Bonferroni's correction,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an SPSS 18.0 program. Results: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with regard to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exhibited significant divergence from first year grade point averages (hereafter GPA) and natural science grade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actors regarding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s a result, conducting assessment to evaluate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before college entrance is highly recommended. Also recommended is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projected to have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정답률 예측 및 주요 요인 분석 (Prediction of Correct Answer Rate and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Factors for CSAT English Test Based on Data Mining Techniques)

  • 박희진;장경애;이윤호;김우제;강필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1호
    • /
    • pp.509-520
    • /
    • 2015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고등학교 3년간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평가 도구로서 대한민국 대학 입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험이다. 응시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능의 난이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나 지금까지는 수능 난이도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 매 입시연도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시행된 모의고사 및 실제 시험을 통해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영어영역 문제의 난이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난이도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판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문항의 특성을 판별할 수 있는 여러 지표와 함께 지문, 문제, 답안 등에 나타난 단어들의 특징을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형회귀분석 및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여 각 문항의 난이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예측 모델을 실제 문제에 적용한 결과 난이도의 상/하 구분에 대한 예측 정확도는 9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정답률 대비 오차 비율은 약 16%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점 및 문제 유형이 문제의 난이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지문이 특정 주제에 관련된 경우에도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영어영역 각 문제들에 대한 기대 정답률의 범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종합하여 영어영역 전체 문제에 대한 정답률 예측을 통해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를 출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문헌 독해능력 평가 연구 - A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ing Ability for the Literature Reading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Freshmen of A University)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27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문헌 독해 실태를 분석,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지문을 읽는 시간 독해패턴 이해력 기억력 독해습관 및 태도 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수능평균을 기준으로는 조사대상 학생의 58%가 양호하고 42%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사대상 학생의 77%는 양호한 패턴을 가지 있으나 23%는 독서패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해력과 기억력을 평가한 결과 각각 전체의 69%와 67%가 양호한 것으로, 31%와 33%가 보통 또는 미흡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평소 독서습관 및 태도를 조사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 학생은 평균 77%, 문제가 있는 학생은 평균 23%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첫째 대학생들의 독해평가를 위한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할 것을, 둘째 입학전형과정 또는 입학 후에 독해능력과 독서습관 및 태도를 평가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평가결과 미진한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가칭 기초학력교육원을 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