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ra of economic transitio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8초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e Conditions of Digital Economy

  • Medynska, Tetyana;Sai, Lesia;Akimkin, Oleksandr;Kruchak, Liudmyla;Doroshenko, Tet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297-303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main aspects of the problem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e conditions of the digital economy. The post-industrial era i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environment and the transition to an information civilization. In this regard, the developed countries of the world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However,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problems associated with this process. The country cannot be successful in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in the absence of the necessary legal framework, an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digital technologi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the use of several theoretical methods for analyzing and synthesiz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ey problem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e digital economy were characterized.

포스트코로나 시대 접경지역 발전 전략 (Promoting Strategies for the Border Region in Post-COVID Era)

  • 이병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9-246
    • /
    • 2020
  •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글로벌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데, 특히 접경지역과 같이 상대적으로 외면 받아오던 지역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남북한 접경지역의 경우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화해와 협력, 공존을 위한 공간으로서 새로운 인식 및 개념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망을 통해 자국우선주의, 새로운 국가경쟁력의 기준 변화, 지역가치사슬의 변화, 4차산업혁명시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등 변화특성에 따라 SWOT 분석 등 상황별 발전방향을 분석, 제시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완충지역의 활용, 회복탄력성의 마련을 위한 비정치적 협력의 확대,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등 현실적인 접근을 제안하고, 시나리오 작성을 통해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의 영향과 대응전략을 마련해 보았다.

Status and Development of Geomatic s in China

  • Li, Li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2년도 창립 2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
    • pp.17-24
    • /
    • 2002
  • Mechanization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dustrial era and computerization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formation Era. Now we are facing on the transition from Industrial Era to information Era. Established the National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s is the fundamental base for information society and is one part of the national basic economic development plan. From 1980's China started his successful transition from traditional methods to high-tech based mapping. China has laid out a high accuracy national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network, and complet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s for scale of 1:1million and 1:250,000. Now it is working on the databases for scales of 1:50,000 and 1:10,000, the world highest level. The massive national programmed has been dubbed "Digital China," since it involves massive quantities of digitized geographical information. Simultaneity, GIS technology and the geo-spatial data have been used widely in electronic government affair, environmental protection, disaster control, ITS and etc. The users have realized the benefits more and more widely. Internet is an efficient way to distribute the geo-information, the State Bureau of Surveying and Mapping has give great effort to settle down the rules and standards to establish the clearing house. Some National Geo-standards have issued, and some of them are on the way. The GIS software is another important factor in the GIS industry. Chinese government working-out some good policy to supports the GIS software developer to have their own copyright. This paper is based on the above to introduce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Geomatics in China. in China.

  • PDF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Indonesia's Economy and Alternative Prospects for Untact Society

  • Lee, Kyungchan
    • 수완나부미
    • /
    • 제13권2호
    • /
    • pp.7-35
    • /
    • 2021
  •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economic and social consequences that are occurring in Indonesia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donesia, which has maintained solid economic growth since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Jokowi's government, is also experiencing difficulties to deal with unexpected COVID-19 pandemic as the global economic turmoil has had a very significant impact on its economy. The economic impact of COVID-19 can be felt, starting from the phenomenon of panic buying, the free fall of the stock price index, the depreciation of the Rupiah against the Dollar, sluggish activities in the processing industry, and ultimately it has an impact on slowing economic growth.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have been taken by the Indonesian government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on the economy. One such area is electronic commerce business or e-commerce that witnessed a vast increase of online and non-cash transaction amid rising voices that the country needs to prepare for the advent of a new economic system, the so-called New Normal era. The Covid-19 pandemic will temporarily slow economic growth and delay some development projects and policy initiatives as the Indonesian government diverts capital from infrastructure development to help respond to the crisis. However, the Jokowi administration's efforts for continuous reform are expected to accelerate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conomy.

고령층 정보격차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 of Information Difference for Advanced Age)

  • 김천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95-203
    • /
    • 2008
  •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층 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상태로서 향후 필요한 정보의 습득여부와 실생활간의 관계가 밀접해지면서 이들의 정보소외 현상은 사회문제화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경제시대로 전환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정보격차의 결정요인을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정보 격차를 분석하였다.

  • PDF

Towards an Innovation Policy in the Post Catch-Up Era

  • Hwang, Hye-Ran;Choung, Jae-Yong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2권1호
    • /
    • pp.1-19
    • /
    • 2013
  • As the catch-up innovation system was exposed to a new competition environment in which second-tier catch-up countries reduced the gap with Korea and advanced Korean firms entered into the frontier product market, it is experiencing system delay in terms of organizational and policy change. Therefore, innovation policy needs to be reorganized from a dynamic perspective to analyze the problems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enable the system to overcome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delay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eriods in terms of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and internal socio-economic pres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 changes and catch-up system characteristics, it suggests the framework for policy intervention, direction, and practical principles for post catch-up innovation policy. In particular, it suggests the network-based developmental state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entralized developmental state of catch-up periods.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Shaping the Innovation Policy in the Post-COVID era: Focusing on Building Creative Learning Capabilities)

  • 여영준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4호
    • /
    • pp.151-163
    • /
    • 2020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통적 정형화된 업무는 지능화된 기계와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디지털 전환 기술과 고숙련 근로자 및 비정형 업무 간 강한 상호 보완관계를 바탕으로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 내 직무 구성을 살펴보면, 반복업무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따른 노동시장에 대한 부작용 및 파급효과가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고착화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디지털 전환의 내재적 속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적 위기 극복 및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기술발전과 학습 간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혁신체제의 구조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균형점으로의 이행을 위한 혁신정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 혁신체제가 미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이라는 기술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혁신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남아시아의 민주화 이후 '개발'과 '인권'의 갈등적 공존: 시민사회의 시각 (The Confrontational Co-existence of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after Democratic Transition in Southeast Asia: A Civil Society Perspective)

  • 박은홍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19권2호
    • /
    • pp.173-218
    • /
    • 2009
  • Bring this analysis down to people-centered development perspective and looking through democratization in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Indonesia, we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m related with the intensity of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line with global transformation. Civil society in the Philippines criticized the developmental path in the Philippines which failed to implement land reform and eradication of poverty under the transition from 'patrimonial oligarchy' to democracy. In Thailand the coalition of military and the royalists had consolidated its power since Sarit military regime, which later paved the way 'hybrid oligarchy' era. Most Thai civil society organizations has regarded their developmental experience rather as 'maldevelopment' which disregarded economic and social rights. It has been especially believed by Thai localists that the stimulation of local markets and the building of autonomic community society will form the alternative economy without going against the conservative banner of nation, religion and king. Thaksin as a populist successfully took advantage of Thai localist ethos in favour of taking the seat of power. He projected himself as a modernizer focused on economic growth and cleaner politics. However Thaksin's procedural legitimacy was overthrown by counterattacking from military-royalist alliance, pretexting that Thaksin caused internal conflicts and lacked morality. Soeharto's New Order regime which can be called 'administrative oligarchy' had an antipathy towards notions of economic and social rights as well as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fall of Soeharto opened the political space for democratic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hich had long struggled with development aggression and human rights abuses, there have been continuously a strong political and military reaction against human rights activists, NGOs and ethnic minorities such as Aceh and Papua. Nevertheless, Indonesian democracy is more promising than Philippine's and Thai democracy in terms of comparatively less pre-modern legacies.

중국의 주택상품화 : 주택공급 증가를 통한 적극적 주택개혁 (Housing Commodification in China: Housing Reform through Market)

  • 전현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93-302
    • /
    • 2002
  • 경제체제 전환기의 중국은 20년에 걸쳐서 주택개혁을 추진하여 왔다. 국가가 계획하여 주택을 무상으로 분배하는 제도에서 실수요자가 화폐를 통해서 주택을 구입하는 제도로의 변화가 있었다 1998년 7월, 주택 화폐분배정책의 실행은, 주택의 상품화를 가로막고 있던 실물분배의 고리를 끊은 것으로서, 20년 중국 주택개혁의 완결이다. 주택개혁의 목적은 정부와 단위(단위)의 부담없이 주택을 공급하고, 재생산하는 것으로서 러시아의 주택개혁과는 주택공급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중국의 주택개혁이 주택개혁을 이루기 위해서 정부는 '복지 관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주민들이 주택을 구입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시도했다. 그러나 국가가 건축하고 분배해 주는 것을 당연시했던 주민들이 주택을 상품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은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토지와 결합되어 있고, 고가의 소비재로서 기타 상품들과 다른 속성을 가진 주택을 시장체제로 재생산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중국에서 일반적인 상품을 시장화 하는 방식 - 시장가격을 통한 시장화 방식, 다양한 소유제를 통한 시장화 방식 - 이 주택에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실패하였다. 그래서 정부는 정치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주택 실물분배 포기 선언을 하게된다. 실물분배 포기 선언 이후, 주택은 개인주택 매매 시장을 통해 급속히 상품화되었다.

  • PDF

웹 3.0 시대 음악 생태계 활성을 위한 메타버스 비즈니스연구: 음악 플랫폼의 발전 양상 및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Metaverse business research for revitalizing the music ecosystem in the web 3.0 era: Focusing on strategies for building music platform)

  • 김지원;원유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87-800
    • /
    • 2023
  • 본 논문은 웹 3.0 시대에 도래할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의 학술적 이해를 도모하고 생산적인 구축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이 현 시점에 지니는 의미를 입체적으로 짚어보고자 디지털 음악의 발전을 웹 1.0부터 3.0까지의 플랫폼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전반부에서는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이 현재 향유하는 음악문화와 단절된 것이 아니라,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진화되어온 웹 플랫폼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부상을 웹 2.0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웹 3.0으로의 전환과 연계된 변화로 가정하고, 최근 거론되는 1. 기술적(XR기술, 웨어러블 디바이스, 생성형 AI), 2. 문화적(디지털 아바타, 팬덤), 3. 경제적(NFT) 논의들을 현재까지 발전된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의 발전방안과 연계시켜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에 대한 합의된 개념이나 공식적인 정론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개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향후 발전방안에 대한 모색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