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mmunicational approach to cogni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학생들의 무한과 극한에 대한 구어적 담화와 수학적 담화: 미국학생과 한국학생의 비교 (Students' Colloquial and Mathematical Discourses on Infinity and Limit: A Comparison of U.S. and Korean Students)

  • 김동중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1호
    • /
    • pp.1-15
    • /
    • 2010
  • 포괄적인 연구를 위한 예비 조사로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무한 개념과 극한 개념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조사하였다. 수학은 담화의 하나라는 인식에 관한 상호 의사소통의 접근방식을 바탕으로 이 개념들에 관한 학생들의 담화의 특성들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4명의 미국학생과 4명의 한국학생을 무한과 극한에 대해서 영어로 면담하였고 학생들의 담화를 공통적인 특성들과 문화, 나이, 그리고 교육에 관련된 차이점들에 초점을 맞추어 자세히 조사하였다.

  • PDF

학생들의 근접발달영역(ZPD)에 대한 탐구 (How to Investigate Student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 김동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93-508
    • /
    • 2009
  • 본 연구는 실제적 발단과 잠재적 발달간의 거리, 즉 근접발달영역의 특징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선시험과 후시험이 1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반힐레 수준 이론을 통해 실제적 발달이 같은 두 학생이 잠재적 발달 조사를 위해 선발되었다. 인지-의사소통이론을 바탕으로 삼차원 면대칭에 대한 두 학생의 담화 특징들을 확인하였다. 잠재적 발달 조사결과 두 학생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수학교육연구에서 학생들의 근접발달영역을 조사하기위한 연구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미적분학 강사와 학생의 미분에 관한 담화 (Calculus Instructors and Students' Discourseson the Derivative)

  • 박정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33-55
    • /
    • 2011
  • 미적분학 강사와 학생의 미분에 관한 담화의 특징을 인식에 관한 의사소통적 접근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설문, 수업 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강사들이 도함수와 미분계수의 관계, 함수로써 의 도함수 등 미분의 성질들을 명백히 서술함 없이 사용한다는 것과 학생들의 문제 풀이에 있어 이런 성질들을 부정확하게 서술하고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분에 관한 교사들의 암묵적인 담화와 학생들의 부정확한 설명은 그들이 용어, "미분"을 "미분계수" 혹은 "도함수"로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강사와 학생의 담화 비교는 분명한 용어 사용을 포함한 미분의 수학적인 성질에 대한 명백히 설명이 학생들이 도함수의 한 값으로의 미분계수를 이해하는 것과 접선과 같은 도함수의 부정확한 개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 PDF

담론적 관점에서 그래프 해석에 대한 분석틀 재구성 및 적용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와 미국 CMP 교과서 중심으로-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n analytic framework for discursive approach to interpretations of graph -The case of a Korean textbook and CMP-)

  • 김원;최상호;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4호
    • /
    • pp.433-45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discursive approach to textbook analysis that complementarily combines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cognition and social semiotics. For this purpose, we reconstructed an analytic framework for discursive approach to written discourses of Korean textbook and CMP, and applied it to our analysis. Results show that several characteristics in meanings were developed by the use of words and visual mediators. First, in the case of ideational meaning, there we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vocabularies used and between information addressed by visual mediators. Second, in the case of structural meaning, an offer and application of procedure was emphasized in a Korean textbook, whereas expectation and selection experiences of diverse possibilities for problem solving was underlined in CMP. In the case interpersonal meaning of student-author, imperative instructions were paid attentions in a Korean textbook. In contrast, students' interdependence and active participation were stressed in CMP.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d ideas about how to analyz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integrated meanings developed by the use of words and visual mediators. In addition, it distribute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of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through the analytic framework of both mathematical meanings and interpersonal meanings of student-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