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Values of Attributes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31초

친환경제품구매 결정요인들에 관한 모델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Consumers' Green Purchase Behavior)

  • 김연신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26
    • /
    • 2006
  • 본 연구는 친환경제품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선행요인들을 설명한다. 먼저 친환경제품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세 가지 주요 심리요인-개인가치, 환경태도, 제품속성에 대한 선호도-를 논의하고, 이들이 어떻게 친환경구매결정과 관계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논의된 주요 변인들간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개념적 모델을 제안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박애 및 보편주의 성향이 강한 가치관은 개인의 환경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보편주의 가치성향은 제품의 친환경속성 선호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정가치성향은 환경태도와 제품의 친환경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환경제품구매행위에도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의 친환경속성에 대한 선호는 환경태도와 친환경제품구매행위 사이의 중요 매개변수로 나타났으나 제품의 가격속성에 대한 선호는 두 변수간 매개변수의 역할에는 실패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친환경제품구매행위의 근간으로 개인가치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으며 그들의 설명력을 높여주는 주요 매개변인들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는 적합한 매개변인의 고려가 기존의 가치-행위 그리고 태도-행위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친환경마케팅에 유용한 실제적인 적용들을 제시한다.

  • PDF

RSM을 적용한 관능 특성에 따른 Rye Bread의 최적 Formulas에 대한 연구 (The Optimized Formulas of Rye Bread on the Sensory Properties using RSM)

  • 권경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8-285
    • /
    • 2004
  • 본 논문은 rye bread 제조에 있어서, water, rye flour 그리고 vital gluten이 rye bread의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관능검사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Response surface model은 rye bread의 최적 variation을 결정하고 관찰되어진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본 실험은 water 57, 62, 67%, rye flour 0, 10, 30, 50% 그리고 vital gluten 0, 1, 3, 5%의 12가지 조합을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water 67%, rye flour 10% 그리고 vital gluten 3%일 때 높은 specific volume의 rye bread가 생산되었으며, water 62%, rye flour 10%그리고 vital 히uten 5%일 때 전체적인 관능치가 높은 rye bread가 생산되었다. 또한 specific volume과 전체적인 기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bread loaf volume과 소비자의 기호도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rye bread의 생산에서 다양한 water, rye flour그리고 vital gluten의 배합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으며, 표준화 최적화 방법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를 두었다. 또한 이 결과는 water, rye flour 그리고 vital gluten이 rye bread의 생산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배합될 수 있으며, 제빵의 기능적 특성을 최적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정신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행위의 가치 사슬 구조 연구 (A Research on Value Structure on Use Behavior about Social Service of the Mentally ill elderly)

  • 김선주;권순애;박미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67-675
    • /
    • 2016
  • 본 연구는 수단-목적사슬이론에 입각하여 노인정신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행동에 대한 예측을 시도하는 것이다. 노인정신장애인들이 새로운 요보호대상 인구집단으로 부상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 차원에서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들이 부재함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노인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개발을 위하여 수단-목적사슬이론에 입각하여 서비스 이용행동을 분석해 보았다. 인터뷰 대상자는 노인정신장애인 15명이였으며, 이들을 통해 도출된 내용은 속성 7개, 혜택 10개, 가치 11개였다.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가치단계도는 '질병관리, 사회복귀 준비, 취미 여가 ${\rightarrow}$ 건강유지, 삶의 활용 ${\rightarrow}$ 사회복귀, 생활 만족도, 원만한 가정생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노인정신장애인들이 사회복귀시설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가지는 인지구조를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노인정신장애인들은 질병관리나 사회 복귀를 준비하기 위해서 이용할 뿐 아니라 노년기에 느끼게 되는 삶의 무료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하더라도 삶의 활력을 중요한 혜택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향후 정신보건영역에서 노인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정신장애인으로 이용하게 되는 질병 관리나 지역사회 적응 뿐만 아니라 취미여가를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여가문화 프로그램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주요한 성과 중 하나로 삶의 활력을 설정하고 이를 성취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노인의 공공도서관 이용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lderly People's Value System of the Public Library Use: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Seoul)

  • 최유진;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1-1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유와 가치체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15개 공공도서관에서 만 60세 이상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29일~11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306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치체계는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 MEC)을 토대로 공공도서관 이용의 속성, 혜택, 가치 연결 관계를 가치계층도로 도식화하였고, 만 65세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가치체계는 책을 읽거나 빌려본다(속성) ${\rightarrow}$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혜택) ${\rightarrow}$ 나 자신에게 만족한다(가치)였다. 공공도서관을 이용함으로써 도달하는 가치에 대해서는 두 집단 공통적으로 스스로에 대한 만족, 성취감, 재미와 즐거움, 삶에 활력이 생기는 것을 느낀다고 답하였는데, 만 65세 이상 노인은 공공도서관 이용이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은 공공도서관의 전통적 기능과 관련된 부분을 주요 속성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은 노인이 활기찬 노년을 보내는 데 적절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제조와 그 특성 (Manufacturing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Leathers Using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 강민영;정영민;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36-1541
    • /
    • 1999
  • 매실과육과 그 가공부산물인 매실착즙박을 대상으로 하여 과채류 가공품의 하나인 fruit leather를 제조한 후 그 성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매실의 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주원료로 제조된 fruit leather는 각각 엷은 황갈색과 진한 황갈색을 나타내고 유연성을 갖는 leathery sheet형태의 성상을 보였다.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는 총 식이섬유 4.06%로 분석되었고, 매실착즙박을 이용하여 제조한 fruit leather의 총 식이섬유는 7.82%로 조사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열량은 각각 386 kcal와 352 kcal로 분석되었다. 이들의 수분활성도(Aw)는 각각 0.36, 0.48로써 미생물적으로 안정함을 보였으며, 색도에 있어서는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L, a, b 값들이 더 높았고 color 측정항목에 대한 관능검사결과에서도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fruit leather의 texture를 측정한 결과 각 항목마다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물리적 특성들이 높은 값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1). Fruit leather의 관능검사결과 texture 항목 중 chewiness와 stickiness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1), color의 경우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선호도가 높았으나 flavour 및 전체적인 맛은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선호도가 높았다. 색소를 이용하여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색깔을 향상시킨다면 훌륭한 스낵제품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김치제조용 고춧가루의 색도 및 매운맛 특성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 구경형;김나영;박재복;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1-237
    • /
    • 2001
  • 색도에 차이가 있는 4품종과 시판되고 있는 고춧가루 10종 및 수입산 파프리카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과 이들의 색도 및 매운맛의 기계적 분석치와 관능검사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 함량 $12.67{\sim}17.13%$, 회분 함량 $5.11{\sim}8.93%$, 조지방 $7.68{\sim}12.81%$, 단백질 $11.35{\sim}16.72%$를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가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총유리당 함량은 시료간에 차이가 있어 가장 낮게 나타난 시료는 신태인산으로 11.35%였고, 가장 높은 시료는 괴산 시료로 21.06%를 나타내어 국내산 약 2배의 차이가 있었다. 고춧가루의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과 dihydrocapsacin 함량을 포함한 capsaicinoid의 경우 단일 품종은 다복이 $75.49{\sim}mg%$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품종은 거성으로 $18.77{\sim}mg%$였다. 고추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ASTA 값은 144.7-447.3으로 색도 차이가 컸다. 고춧가루의 색도를 나타내는 ASTA 값과 기계적 색도 측정값에서 $a^*$ 값의 상관계수가 0.87로 높게 나타난 반면, ASTA 값과 고춧가루의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capsaicinoid 함량과는 0.05를 나타내었다. 한편 고춧가루의 매운맛과 붉은 색 정도를 관능평가한 결과 매운맛을 느끼는데 걸리는 시간(lag time)의 경우 capsaicin 함량이 $1.74{\sim}mg%$인 다복은 맵게 평가하였으나, 동방($0.87{\sim}mg%$), 거성($0.43{\sim}mg%$)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ASTA 값이 증가할수록 색상지의 붉은색 강도가 높은 순으로 평가하였다. 즉 매운맛은 capsaicinoid 함량이 $1.0{\sim}mg%$이상이 되어야 맵다고 평가하고, ASTA 값은 70이상이 되어야 붉다고 평가하였다.

  • PDF

Effect of Postmortem Metabolic Rate on Meat Color

  • Park, B.Y.;Lee, J.M.;Hwang,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598-604
    • /
    • 2007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arcass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sensory meat qualities of Hanwoo longissimus muscle as affected by ultimate pH. Twenty-four steers and bulls ($556{\pm}53$ kg and $0.63{\pm}0.32$cm for live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respectively) were used. As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r = 0.77) between lean meat color and ultimate pH, cattles were thus segregated into normal $pH{\leq}5.8$, Normal, n = 13) and DFD (pH>5.8, n = 11) groups. Normal pH group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carcass weight, marbling score and backfat thickness than those for high pH group, while fat color and lean meat color were inverse. I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for co-ordinates of DFD and normal meats, fat color, lean meat color, texture, time to pH 6.2 and pH at 24 h postmortem were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range of the first factor (67.5%) while backfat thickness marbling score and temperature at 24 h were placed in negative values. The rate constant of decline in pH (pH k)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mplying that initial pH (i.e., pH at slaughtering) differed between two groups. Contour mapping of pH k between pH at 1 and 24 h postmortem indicated that high pH k was related to lower pHs at 1 and 24 h postmortem. This suggested that the high pH cattles (i.e., DFD cattle) resulted from their own potential. Although the time to reach pH 6.2 was significantly (p<0.05) shorter for normal meat (i.e., 3.2 h) than that for DFD one (i.e., 19.8 h),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both WB-shear force and sensory attributes. Given tha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mpled from a similar group, which implies a similar myoglobin pigment content, the current data suggested that pre- and post-slaughter animal handling like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ltimate pH and consequently meat color of Hanwoo longissimus muscle, and also small animals with lower marbling score and backfat thickness had a higher risk for DFD meat.

다성분 복소 트레이스 분석법을 이용한 지진파 입자운동 연구 (Seismic Studies on Ground Motion using the Multicomponent Complex Trace Analysis Method)

  • 이소영;김기영;김한준
    • 지구물리
    • /
    • 제3권1호
    • /
    • pp.37-48
    • /
    • 2000
  • 다성분 복소 트레이스 분석법을 이용하여 지진에 의한 지면운동을 밝히고자 컴퓨터 합성 탄성파 자료와 자연 지진 자료를 대상으로 파선방향의 입자운동을 분석하였다. 합성 탄성파 자료에 적용시킨 결과, 실체파 합성 부분에서는 도달시각, 지속시간, 접근각 등을 정확히 찾을 수 있으며, 레일리파도 쉽게 인지된다. 규모 7.3의 심발 지진 자료로부터 입자운동의 분극특성을 계산한 결과, 종파의 수직성분과 수평성분의 순간위상차, 순간역타원율, 접근각은 각각 약 ${\pm}180^{\circ},\;0{\sim}0.25,\;-30^{\circ}{\sim}-45^{\circ}$의 값을 가지며, 이러한 분극특성으로부터 진원시간함수는 $6{\sim}7\;s$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횡파의 경우는 순간위상차가 일정하지 않으며, $0{\sim}0.3$의 순간역타원율과 거의 수직의 접근각을 나타낸다. 횡파 도달 직전에 기록된 비교적 저주파의 신호는 분극특성으로부터 횡파와는 구별되는 종파의 일종으로 해석된다. 종파와 횡파의 도달시각을 이용하여 구한 속도와 파선변수는 각각 8.633 km/s, 4.762 km/s와 0.074 s/km, 0.197 s/km이며 동포와송비는 0.281로 계산된다.

  • PDF

미더덕 껍질 분말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및 품질 분석 (Preparation and Quality Analysi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clava Tunic)

  • 최소연;최은영;이경은;송애선;박소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91-1595
    • /
    • 2012
  •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미더덕 껍질을 활용한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미더덕 껍질을 분말로 만들어서 이를 각각 0, 1, 2, 5%씩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 내부의 색도의 L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어묵 표면의 L값, a값,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성검사 결과에서는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 검사에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 군에서 AA가 나와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미더덕 껍질 분말을 1% 첨가한 어묵의 경우에서 냄새, 색깔, 맛, 전반적인 수용도면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분말 함유량이 그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관능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더덕 껍질 분말을 1%정도 어묵에 첨가하면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심미성과 사용성 : 제품 선택에서의 문화차 (Aesthetics versus Usability : Cultural Difference in Product Choice)

  • 곽해리;김봄메;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361-3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구매 의사결정에서 소비자가 심미성과 사용성 중 어느 제품 속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제품을 선택하는지 알아본다. 최근 독일에서 진행된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외관 디자인이 뛰어난 제품을 선호하지만 실제로 제품을 선택할 때는 심미성을 상대적으로 중시하지 않았다(Diefenbach & Hassenzahl, 2009). 개인적 가치를 중시하는 개인주의 문화(예, 독일)에 비하여 집단주의 문화(예, 한국)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매우 중시한다.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인지하기 쉬운 제품 속성(심미성)이 그렇지 않은 제품 속성(사용성)보다 우선될 것이다. 독일에서 실시된 연구를 한국에서 동일한 절차로 재연한 결과, 예상한대로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고 제품을 선택하였다.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있어서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한 반면, 사용성에 있어서는 사용성이 높지 않더라도 가격이 싼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1). 심미성과 사용성이 상충하는 경우에는 사용성이 낮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2). 개인의 사회인정 욕구를 살펴본 결과,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는 심미성이 낮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보다 사회인정 욕구가 높았으나 사용성에 있어서는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