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chool library Policy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18초

학교보건사업 발전을 위한 부문간 협력 방안 (A Review of Intersectoral Partnership Strategies for Enhancement of School Health Programs)

  • 황준현;박순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56
    • /
    • 2013
  • Objectives: This article reviewed researches on intersectoral partnership of school health programs to suggest importanc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those. Methods: Domestic research papers were screened th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Medical Library Information System (MEDLIS), Korean Medical Database (KMbase), and digital national assembly library. International papers were searched mainly via Pubmed. Results: Since intersectoral partnership is effective, comprehensive and universal approach for school health programs, many collaborative programs are universally progressing in various domain including smoking, alcohol, mental health and sexu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intersectoral partnership of school health programs in Korea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and there are few intersectoral partnerships. Moreo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top-down approach, passive participation and lack of studies on the effect of intersectoral partnership. However, intersectoral partnerships in school health program including tuberculosis control system in school or WEE project are in progress, so it is worth looking forward in the future. Conclusions: To achieve successful intersectoral partnership in school health programs, appropriate partnership guideline for Korean society, policy support, active participation and improvement of consciousness in community stakeholders are needed.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및 실내 환경 요소의 구성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bout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 송기호;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구성과 실내 환경 구성에 대한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미래 교육 기본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126명의 사서 교사가 가장 많이 확보한 공간은 자유 독서 영역이고, 가장 낮은 확보 정도를 보인 공간은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이다. 공간 영역 중 사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영역은 교수 영역과 자유 독서 영역이고,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내 환경 평가 요소 중 안전성과 쾌적성은 가장 중요하게, 다양성과 융통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학습공유공간과 창작 공간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계와 도서관계의 흐름에 비해 사서교사는 여전히 전통적 도서관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서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과정에 창작공간 및 학습공유공간 구축과 운영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실내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간 구성과 실내 환경 구상에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도서관 공공도메인 지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ation Plan for Public Domain of Library)

  • 노영희;최만호;김윤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1-170
    • /
    • 2021
  • 도메인이름은 사용자의 웹 접근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최소한으로 등록·사용하여야 하며, 도메인 이름만으로 도서관의 유형과 지역과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서관의 위상과 권위를 높이며, 이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지정 2단계 공공도메인 현황을 조사하고, 도서관과 유사한 성격의 교육기관의 2단계 공공도메인도 분석하여, 교육기관의 수와 비슷한 규모의 도서관이 2단계 도메인을 갖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서관의 유형별로 국가도서관(nl), 공공도서관(pl), 작은도서관(sl)의 2단계 도메인과 교육기관에 소속된 대학도서관(lib.대학도메인), 학교도서관(lib.학교도메인)은 해당교육기관의 2단계 도메인을 활용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이용자가 직관적으로 도서관임을 알 수 있고, 도서관의 유형도 구분하며, 도서관의 특성이나 지역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학계와 도서관계, 그리고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공동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Survey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Teacher Librarian)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72
    • /
    • 2008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수업 전문성 즉, 교수역량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 $\ulcorner$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2007)$\lrcorner$에서 제시한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모형을 바탕으로 52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120명의 현직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교수역량을 측정,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ASK_a 서비스 모형 개발 (The ASK_a Service Model for Public Library in Korea)

  • 남영준;이향숙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57-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 영역인 ASK_a 서비스 운영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이 갖는 기능을 입력과 처리, 출력과정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최적의 입력 형식은 웹 폼형식을 제안하였고, 처리과정은 공공도서관의 혼합형(수평형, 계층형) 협력모델을 제안하였고, 출력 과정은 제공된 질문-해답정보에 대한 아카이빙 정책을 제안하였다. 특히 ASK_a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안한 모형의 핵심을 공공도서관의 협력연계를 통한 외부 인력과 자원활용으로 하였다. 이러한 협력의 최종목표는 고도의 전문정보 서비스를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사서교사 임용시험 출제경향 고찰 - 학교도서관 실무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ional Teacher Recruiting Examination for School Librarian Teacher: Focusing on the School Library Practice Area)

  • 노경국;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85-104
    • /
    • 2023
  • 본 연구는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출제된 시험 문항의 영역, 내용 및 평가 요소 등을 분석하여 임용시험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2002년 이후 사서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수집하여 영역별 출제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도서관 운영 106문항(21.95%), 분류학과 정보검색 각 63문항(13.04%), 도서관 전산화 59문항(12.22%), 독서지도론 58문항(12.01%), 목록학과 정보봉사론 각 56문항(11.59%), 정보매체론 18문항(3.73%) 순으로 출제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최근 10년간(2014~2023학년도) 임용교사 출제 영역을 사서 전문성과 학교도서관 실무영역으로 구분하여 출제 빈도를 분석한 결과, 사서 전문성 관련 문항은 총 149문항(66.22%), 학교도서관 실무 관련 문항은 총 76문항(33.78%)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평가영역 및 평가요소의 갱신, 정보매체론 영역의 확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원 수급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전자자료 선정정책 (Digital Resources Selection Policy of the School Library)

  • 김이숙;남영준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5-204
    • /
    • 2005
  • 본 연구는 전자자료의 활용을 통한 학교도서관의 전자자료 선정정책에 관한 다양한 문제 및 그에 따른 현황을 조사, 분석, 평가하였다. 그 결과와 함께 전자자료 선정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학교도서관 선정정책의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인 장서구성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PDF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지역발전 기여 -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Contribu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Public Library to Loc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s of Busan City)

  • 윤희윤;김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9-48
    • /
    • 2019
  • 자유학기제는 초등학교 진로인식, 중학교 진로탐색, 고등학교 진로설계를 연계한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 진로교육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제도가 2016년에 전면 시행됨에 따라 공공도서관도 자유학기제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설 제공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지역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논증했다. 그 결과, 진로 직업탐색, 진로탐방 체험, 정보해득력 제고 프로그램은 지역의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생활문화, 여가문화에 기여했다. 다만, 진로 직업탐색 중 강연 전시와 직업체험, 정보해득력 제고가 여가문화 및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생태계 구조, 디지털 정보격차, 인문치유, 사회환경 문제, 미래 직업상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정보해득력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서관목록 이용자의 집단별 특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User Groups on Library Catalog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21-442
    • /
    • 2013
  • 도서관목록에 있어 '이용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도서관목록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이용자 집단별로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검증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에 대한 이용자 집단별 차이를 이해하고, 나아가 그러한 차이에 근거한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네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해 조사한 다음, 각 집단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속성과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5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록과 관련한 행태적 특징을 10개의 지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이용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론에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이용자 집단별로 보다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평생교육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조건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quirements of the public library for life-long education : centering around the facilities)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37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and much more the facilities and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performance of its func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 looked in to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collections, service facilities i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ed a tentative plan on the basis of every kinds of statistics. The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w, 227, 110 populations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library are so many that 181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largely deficient state. To solve, a n.0, pplied for Armstrong's standards (5, 000 populations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library, and the number of an elementary school 5, 412 elementary schools in Korea). In the former case should be establish 8, 221 public libraries, in the latter case should be established at least 5, 412 public libraries. 2. The public library in Korea is possessed of building areas of 82, 267 pyong (468 pyong per library). They are very poor state comparing with population. Therefore, the building area should be expand according to population by region. Also, the reading facilities of 88, 455 seats, 465 population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seat, are largely insufficient of situation. And consequently they should be secured at least 205, 535 seats with standards of five seats per 1, 000 population. 3.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keep collection of 4, 517, 280 volumes. As there are 11 volumes per 100 persons, they are very deficient state in figure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ed Schenk's standard (1 volume per a person) and IFLA standard (2 volumes per a pers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however, they should be secure at least 41, 106, 993 volumes with a Schenk's standard of one volume per a person. To meet this kind of necessary conditions, there must not only be a national policy but also be a facility for every residents to utilize for educational place, and to every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they have to do their best to open their library to every citizens, when needed, with their self-conceit. Cooperating with policy-makers, users, and librarians, making every endeavors to develope Korean libraries, we can promise the hope that our public library will be progressed towards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