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Mind

검색결과 3,314건 처리시간 0.026초

근로자(勤勞者)의 양생수준(養生水準)과 비만(肥滿)과의 관계(關係)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Yangseng Level and Obesity in Industrial Workers)

  • 박정은;유성기;이형범;정명수;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84
    • /
    • 2007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present the groundwork to prepare the oriental medical yangseng plan for the future obesity with the comparison between yangseng level and the obesity of workers. The researcher made up the questionnaire which asks the general character, health-related character and yangseng level, projected among 560 people. All collected material was analyzed by SPSS and tested by T-test and ANOVA. 1. The general yangseng level average is 3.27, morality yangseng 3.90, sleep yangseng 3.39, mind yangseng 3.31, sex life yangseng 3.30, exercise yangseng 3.15, activities and rest yangseng 3.08, diet yangseng 2.94, seasonal yangseng 2.84. The highest is morality yangseng and seasonal yangseng is the lowest. 2. In the aspect of yangseng level: Having a spouse, Non-smoking, Regular exercising, Sufficient sleeping have higher yangseng levels. 3. Obesity related index is changing into the higher level when he/she is older, more paid, more job experience, more education background but less metabolic calory. And drinking and regular exercising have relativity with body composition analysis. 4. After comparing yangseng level with body composition analysis, we can easily find that the more visceral fat, the higher WHR has a high yangseng level. The more mineral also has a high mind yangseng and a low diet yangseng. The visceral fat level has a high yangseng level when higher morality yangseng and mind yangseng are getting higher and higher. And sex life yangseng shows that the highest yangseng level is from 9-10 visceral fat and the lowest yangseng level is from below 4 visceral fat. The higher WHR, the higher morality, mind and sleep yangseng. The heavier, the lower diet yangseng. The mind yangseng was very high when body fat rate was higher. The more body fat, the higher morality yangseng. The higher yangseng, when we have more muscle. Yangseng level and obesity of laborer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character and daily habits. Also, relevance can be easily found between yangseng level and obesity. Now the researcher came into the conclusion that we need to control over laborers' health and prevention of their obesity.

  • PDF

이항로의 심설과 서학(西學) ­ - 『벽사록변(闢邪錄辨)』·『아언(雅言)』 「양화(洋禍)」를 중심으로 - (Lee Hang Ro's Mind-Theory and the Western-School - Focused on Byeoksarokbyeon and Yangwha in Ayeon)

  • 김현우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65-88
    • /
    • 2018
  • 이항로(李恒老)의 심설(心說)은 기정진(奇正鎭), 이진상(李震相), 전우(田愚) 등의 심설과 비견되는 중요한 학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항로 심설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서학(西學)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서학은 17세기 초부터 유입되었으며, 18세기에는 사회 안정과 함께 유교지식인들의 연구대상이었다. 그러나 19세기로 들면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혼란과 더불어 서학 역시 배척되었다. 이항로에게 서학은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원인을 분석하는 도구였다. 그는 서학을 주로 기독교의 입장에서 보았다. 특히 기독교를 인간보다는 신을 중시하는 종교로 인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교 즉 성리학은 신이 아닌 인간의 도덕 주체성을 중시하는 사고체계로 이해했다. 이 과정에서 심(心)은 인간의 주체성으로 확장되어 갔다. 하지만 이항로는 기존 유교 질서의 묵수를 강조하여 서학의 합리성을 도외시하였다. 즉, 서구문명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지도, 당대 세계질서에 적절하게 대응하지도 못하였다. 한편, 현재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문명의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 이에 이항로의 심설에서 서학과 관련한 부분은 이 새로운 문명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는데 중요한 방법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수양의 관점에서 본 조선유학의 태극론 일고찰 (A study on Taiji of 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from the view of Self-cultivation)

  • 이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119-143
    • /
    • 2009
  • 이글은 신유학의 최고개념인 태극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수양론적 관심과 해명을 고찰한 것이다. 태극은 존재와 가치를 통관하는 궁극적 개념이지만, 조선유학의 태극에 대한 관심은 심성수양의 문제가 비중이 큰 것으로 보았다. 고려말 성리학자인 이색이 '복희와 요순을 본받아 내 마음의 태극으로 돌아간다'라 하고, 한국성리학의 이정표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는 이언적의 태극문변에서는 진리의 표준으로서 태극을 어떻게 체득, 실천해 갈 것인가라는 수양론적 문제가 중심이 됨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조선유학사 전반을 관통한다는 것이다. 유가에서는 인간사회 자체를 성도(成道)의 장으로 인식하기에, 음식남녀의 일상생활을 떠난 도·불의 수련관을 비판하면서 제기된 유가의 수양론은 태극에 대한 해명에 있어서도 도·불의 수련과 차별화되는 이론 근거를 마련한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태극을 내외를 관통하는 실리(實理)이자, 성(誠)으로 파악하는 한편 '심위태극(心爲太極)'과 관련한 논의에서 이때의 태극을 마음의 통회처(統會處), 인극(人極), 도심(道心)으로 이해함을 볼 수 있다. 이는 한국 선도사(仙道史)의 중요인물로 간주되는 김시습·서경덕 같은 학자들에게도 해당되는 것으로, 조선의 유학자들은 도불을 수용해 들임에 있어서도 도덕적 자아의 확립과 그에 의거한 심성수양이라는 문제 의식을 확고히 한다는 것이다. 적연부동(寂然不動)한 마음의 중(中)으로서의 태극을 체득하려는 공부론은 주정(主靜), 정좌(靜坐), 조식(調息)을 미발시의 공부법으로 수용하게 되며, 이는 도·불의 수련법을 합리적으로 재해석하여 유가 경(敬)공부의 일환으로 편입해 들이는 것이라 하겠다.

성격 특성에 관한 체질판별 문진항목의 통계적 분석 (A Stat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 Categories concerning 'Sasang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Mind')

  • 김흥기;김종열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4-138
    • /
    • 2003
  • Objectives : To evaluate the proper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question categories concerning 'sasang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mind', used in Iksan Wonkwang Oriental Medicine. Methods : We statistically analyzed data from those 1335 patients focussing on 'relative discrimination ability' to sasang constructions and 'response ratio'. Patients included in this research are only those who had been well treated in Iksan Wonkwang Oriental Medicine during the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00 to 2002. The data are obtained through the electronic chart developed by Kim Jong-Yeal, and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Results: In total characteristics of mind, the question category of 'timid' has high discriminating power and effectiveness to Soeum type, more in women than men, and especially with an age of 21 or more; The category of 'hasty-tempered' to Soyang type in women with all ages and men with ages 21-40; The category of 'broad-minded' to Taeum type with ages 41 or more; The category of 'timid and broad-minded' to Soyang type, and especially high to women with ages 41 or more. Question categories concerning response type in anger were estimated to have different response patterns to sasang constructions only for ages 21 or more by $X^2$2 test. The question category of 'bear and last long' has high discriminating power and effectiveness to Soeum type, more in men than women, and increasingly to ages; The category of 'impatient and disarmed quickly' to Soyang type in both women and men, especially with ages 21 or more; The category of 'impatient' to Soyang type women or with ages 21 or more. Other categories have low discriminating power or low effectiveness. Concernig expression type of one's thought, the question category of 'straightly' has high discriminating power and effectiveness to Soyang type, more in wemen than men, and especially to ages 21 or more; The category of 'tender' to Soeum type, in women or with ages 40 or less; The category of 'indirectly' to Taeum type in men or with ages 41 or more; The category of 'straightly and stuborn' to Soyang type with ages 41 or more; The category of 'indirectly and tender' to Soeum with with ages 20 or less; The category of 'not express and tender' to Soeum type with ages 41 or more; Conclusions : Question categories concerning total characteristics of mind, response type in anger and expression type of one's thought, are partially discriminating and effective to specific constitution according to sex and ages, and some categories are more discriminating and effective when they are composited. But generally, the discriminating power of Taeum constitution group and group with ages 20 or less was too low,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e question categories for those groups.

  • PDF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의학사상(醫學思想)에 대한 연구(硏究) (Research on Tongmu I Je-ma's medical idea)

  • 백상용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7-145
    • /
    • 2000
  • Tongmu I Je-ma(1837-1900) set up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體質醫學), a medical theory that would be original in the Korean medical history through his book ${\ll}$Ta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gg}$. In this book, he writes that he found the clue to his sasang Constitution(四象體質) theory from ${\ll}$Hwangjenaegyong(黃帝內經)${\gg}$. But the main logic that gives shape to the Constitution(體質) theory is $s{\check{o}}ng-ch{\check{o}}ng$ theory(性情論) of Confucian. Therefore, Tongmu(東武)'s Constitution $s{\check{o}}ng-ch{\check{o}}ng$ theory(體質性情論) is fundamentally based on confucian thoughts. Kongmaeng(孔孟) saw $s{\check{o}}ng$(性) as a base for connecting the entire mankind to be united, and $ch{\check{o}}ng$(情) as a individual thing that can exalted differently according to one's state of mind. Chuja(朱子) weakene the human's active volition by dividing $s{\check{o}}ng$ and $ch{\check{o}}ng$ as ibal(理發) and kibal(氣發) and therefore describing mankind to be submitted to Heaven's will. On the other hand Yolgok(栗谷) generalized $s{\check{o}}ng-ch{\check{o}}ng$ in the active mind of man himself by saying that $s{\check{o}}ng$ is when i-ki(理氣) does not act as a bodily function of the mind and $ch{\check{o}}ng$ is when it does. Furthennore he emphasized man's activeness on pursuing good by saying that the division of good and bad does not start from the origin of motion but is divided by the condition of ki(氣) which leads motion. Tongmu, who was influenced by Yulgok linked both $s{\check{o}}ng$and $ch{\check{o}}ng$ through, happiness, anger, sadness, pleasure(喜怒哀樂), and saw $s{\check{o}}ng$ as the ability to recognize good which is in the kijil(氣質) formed from the integration of i-ki, and saw $ch{\check{o}}ng$ as $s{\check{o}}ng$ blurred by man's greed. In addition to this, he says that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each person's divergence in $s{\check{o}}ng-ch{\check{o}}ng$ and the condition of Four-organ(四臟) which is ki, not the mind which is i(理) forms sasangch'ejirin(四象體質人). His theory that illness comes from the partiality of $s{\check{o}}ng-ch{\check{o}}ng$ and therefore can prevent this by clarifying the mind and adjusting $s{\check{o}}ng-ch{\check{o}}ng$ through volition, has led Korean oriental medicine to be human based.

  • PDF

침술이 심신의학의 지평을 확장하다 (Acupuncture Expands the Boundary of Mind-Body Medicine)

  • 김재효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3권3호
    • /
    • pp.139-147
    • /
    • 2016
  • 목적 : 침술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중심에서 시작하여 2천년 이상의 역사와 함께 아시아뿐만 아니라 근-현대 전 세계의 임상의료 현장에서 크게 번창하고 있다. 이와 함께 침술의 객관화를 위하여 의생명과학 여러 방면에서 검증하는 노력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 과정을 통해 각종 동물을 비롯해 사람에서 침술의 다양한 효과와 기전이 점차 밝혀지고 있다. 필자는 침술 치료에서 의사와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설명하고, 그것의 임상적 유의성을 심신의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 침술과 명상에서 각각 진행되었던 뇌신경과학 분야의 여러 실험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심신 상관성이란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그밖에 한의학 임상영역에 시도되는 한의학과 심리학이 접목된 새로운 치료법을 정리하였다. 결과 및 결론: 침술의 치료효과와 관련해 "조기치신(調氣治神)"을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는 인체에 다양한 기능의 균형을 조절하고, 환자의 의식과 심리상태를 조절한다고 설명한다.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의 큰 차이는 현대의학은 환자와 질병을 대상화시켜 객관화 하는 노력을 추구하였고, 전통의학은 환자와 의사가 경험하는 대상을 자신과 분리하지 않는 주관적 체험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통의학은 주관적 체험을 배제하지 않고 진료에서 활용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전통의학의 역할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객관적 효과와 수량적 결과뿐만 아니라 환자와 의사의 주관적 체험과 이야기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침술의 역할과 의미는 의사와 환자 사이에서 나타나는 행위의 모든 과정을 고려해 설명해야 할 것이다. 아마도 그 과정에서 침술이 찾는 해결의 길은 명상이 찾는 해결의 길과 만날 것이라 믿는다.

우리는 왜 생각하는 존재가 되었는가? (The Origin of Thinking Mind)

  • 박만준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131-163
    • /
    • 2014
  •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가?' 우리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혁명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우리의 정체성을 묻는 이 물음에 명확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물론 '사회적 동물' 혹은 '이성적 동물' 같은 전형적인 정의들이 있지만 이들 역시 매우 허약한 규정들이다. 우리가 왜 사회적 동물이 되고 이성적 동물이 되었는지에 대한 해명조차 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 물음의 해답을 찾아가는 단서를 발견하여 우리의 정체성을 좀 더 명확히 하는데 있다. 실마리는 진화론적으로 우리와 가장 가까운 혈족으로 불리는 침팬지에게서 출발한다. 우리와 침팬지는 무엇이 다른가? 침팬지에게도 '자아'가 있을까? 이런 물음들을 통해 우리가 찾아낸 답은 이렇다. 즉 인간이 침팬지와 다른 존재가 된 것은 뇌의 발달과 함께 정밀하게 움직이는 운동 시스템을 갖게 되었고, 나아가 이러한 운동 시스템이 내면화되어 마음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음의 생각하는 능력도 바로 이러한 내면화 메커니즘이 진화 발전한 것이다.

Aesthetic Consciousness and Literary Logic in the Jamesian Transatlantic Perspective: Towards a Dialectic of "a big Anglo Saxon total"

  • Kim, Choon-hee
    • 영어영문학
    • /
    • 제57권3호
    • /
    • pp.367-389
    • /
    • 2011
  • The aesthetic attitude, in general or in particular, represented in matters of taste through aesthetic ideas and value judgments postulates a certain literary logic. And this literary logic reveals itself a sense of morality, philosophy, or moral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moments of act and thought demonstrated in the characters invented in literary works. Henry James, among many others, offers a very special cultural paradigm for transnational argument because of his diverse ways of shaping transatlantic relations in terms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is international paradigm produced varied expressions referring to Henry James as "an American expatriate," "an Anglicized American artist," "a Europeanized aesthete," "a cosmopolitan intelligence," "a bohemian cosmopolitan" to designate his literary career and its characteristics shaped in Europe. Such expressions resonate with Transatlantic Sketches, James's first collection on travel and cultures in 1875 which heralded his long "expatriation" in terms of self-distantiation. James's temperament of mind, far from being always identified with shared values within an ideological framework, never avoided friction with fixed ideas but rather absorbed it fully for another friction which intervenes in his house of fiction. My question arises here regarding his cultural belonging or dislocation: where is the place of his mind or what could be his ultimate destination? In this essay, I'd like to define a place or rather the place of James's literary mind by proving a certain "sympathetic justice" for his literary logic. For this purpose, I'll try to examine: how James used transatlantic perspective, a spatio-temporal assessment to formulate his moral aesthetic consciousness; and how the aesthetic framework functions in assessing his literary logic of aesthetic consciousness. To start with the first argument, I'll analyze some essential aspects of aesthetic attitude of his characters to postulate a persona capable of theorizing James's aestheticism conditioned by the transatlantic context. And for the second argument, I'll examine how the persona functions in formulating a proper cultural stance of James's aesthetic consciousness in transatlantic perspective to illuminate the way of how Jamesian individuality reflects the American mind. This process of theorizing a place of James's own will lead, I hope, to our discovering James's ultimate destination on the assumption that it'll prove or create a certain "sympathetic justice" for his humanist aestheticism, a Jamesian absolute morality.

수면 문제 선별 질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불면증상을 중심으로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Sleep Problem Screening Questionnaire: Focusing on Insomnia Symptoms)

  • 이주열;최선우;신현경;석정호;장수아
    • 수면정신생리
    • /
    • 제30권1호
    • /
    • pp.22-27
    • /
    • 202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상 뿐만 아니라 과다수면, 하지불안증후군을 포함하여 수면 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수면 문제 선별 설문지(Sleep Problem Screening Questionnaire, SPSQ)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불면증상(SPSQi), 과다수면(SPSQh), 하지불안증후군(SPSQr)의 세 가지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SPSQ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불면장애 임상군 222명 및 건강군 78명을 대상으로 SPSQ와 비교 척도인 불면증 심각도 척도(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를 진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 과: SPSQ는 수용할만한 내적 일관성과 수렴·변별 타당도를 보여 수면장애의 측정에 타당한 도구로 평가되었다. ROC curve 분석 결과, 불면장애의 임상적 유의미성 판단을 위한 절단점은 SPSQi 6점,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0.94, 0.96이었다. 결 론: 해당 연구결과는 SPSQ가 일반 성인 인구의 수면 문제를 선별하는데 있어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단, 하지불안증후군 및 과다수면 관련 척도와 비교 검증이 수행되지 못한 점을 고려해야겠다.

명재 윤증의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變轉) (A Study on Acceptance and Modification in Yulgok Neo-Confucianism by Myungjae Yoon Jeung)

  • 이영자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39-70
    • /
    • 2014
  • 명재 윤증의 성리학은 율곡의 성리학을 그대로 계승하거나 변형하는 형태로 전개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율곡성리학의 수용에서는 율곡성리학의 특징인 '이기지묘(理氣之妙)', '이통기국(理通氣局)',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측면에서 명재가 이러한 논리를 철저히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었다. 하지만 명재는 율곡성리학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설법을 제시하며, 율곡의 학설을 변전 계승하고 있다. 첫째, 명재는 리의 주재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이용사(理用事)'라는 용어를 통해 도심, 인심, 인욕을 세 단계로 이해하는 데서 분명히 드러난다. 둘째, 명재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은 주자나 율곡의 격물치지의 큰 틀 안에서 말하고는 있지만, 그 논법에 있어서는 양명학적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명재는 도심의 '기발'이나 인심의 '기발', '기용사'를 모두 부정적인 의미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것은 그가 리의 주재성을 고려하여 '기용사(氣用事)'를 이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명재는 기호유학자로서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와 '이기지묘'적 입장에서 성리설을 더욱 정합화하고자 하였던 의도로 율곡성리학을 변전하여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사변적인 성리논변 자체를 꺼리고, 실심에 기반하여 실공을 추구하고자 한 인생철학과, 선현들의 학설은 이미 풍부하므로 그 책들을 읽고 진지를 실천할 일이지, 그와 관계없이 저술에 힘쓰는 것은 무실의 학문이 아니라고 말했던 학문관과 일치한다. 다만 그 성향이 율곡학파 내에서도 '리'의 주재성을 가장 많이 강조한 학자군으로 분류되면서, 기호 소론이라는 새로운 학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것이 기호성리학에서 명재성리학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