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lderly suicidal Ideati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4초

노인의 자살생각 예측요인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 오윤정;김향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9
    • /
    • 2018
  • 이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 연구이다. 노인대학,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35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 평균 3.35점, 자아존중감 평균 3.38점, 우울 평균 8.64점, 자살생각 평균 1.65점이며, 연령, 교육정도, 배우자유무, 동거형태, 의료보장형태, 용돈, 과거직업유무, 여가활동,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 흡연유무에서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자살생각의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주요변수는 타인지지, 자아존중감, 용돈, 학력, 연령으로 나타났고, 자살생각을 48.2% 설명하였으며 이 중에서 타인지지의 설명력이 41.8%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노인의 자살예방통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노인의 사회접촉, 우울, 불안 정도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Contact, Depression and Anxiety o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in the COVID-19 pandemic)

  • 김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70-878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노인이 지각하는 사회접촉, 우울, 불안 및 자살사고의 정도를 확인하고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문경시 거주 노인 19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도 3월 2일부터 4월15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접촉, 우울, 불안 및 자살사고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자살사고를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은 우울(β=.430, p<.001), 주관적 경제상태(β=-.198, p<.001), 과거정신치료(β=-.182, p=.002), 사회접촉(β=-.155, p=.007)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살사고의 44.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사회접촉을 지원하고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간호중재가 노인의 자살사고 정도를 낮추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the Suicidal Ideation)

  • 공혜선;이명선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3-125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spect what relation there exists between the elderly'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the suicidal thinking, and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their suicidal ideation. Methods: For 207 old persons above 65 residing at Seoul,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or 4 weeks. For response data,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like followings. 1. As for the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distinction, religion, living arrangement, educational level, monthly allowance and mode to use spare time. As fo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distinction, religion, living arrangement and monthly allowance. And as for the suicidal ide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rital status. 2.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the suicidal ideation, it showed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there existed relatively higher positive correlation in family support among sub-factors of the social support and the positive self-recognition among sub-factors of self-esteem. 3. It show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self-recognition as sub-factors of self-esteem, others' support as sub-factor of the social support influence on the suicidal ideation. In other words, as positive self-recognition was lower, as negative self-recognition was higher, as social support of others was lower, they had much more effect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And it showed about 36.1% of the explanatory capability. Conclusions: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develop schoo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 PDF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The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e Influence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o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 전영선;허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4-74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감소시킬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안하고, 사회적 지지가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매개로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 중 가족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감소시켜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 및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줄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낮춤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고 있었다. 지역사회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노인이 느끼는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가족, 친구, 지역사회)은 자살생각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보여주기보다, 다른 부정적인 요인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살생각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고령화 사회와 핵가족화 사회에서 자칫 소원해 질 수 있는 가족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과 노인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지원, 그리고 지역사회 지원정책의 이용을 장려하는 적극적인 홍보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제6기 1차년도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로 추정한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복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27-35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할 목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2013) 자료를 이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201명의 자료를 SPSS 22.0 버전으로 카이제곱검정, t-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7.7%가 자살생각을 한 적이 있었으며,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위험요인으로 우울과 스트레스 및 활동 제한이 확인되었다. 즉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 4.44배(CI=2.66~7.40),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경우 9.24배 (CI=3.48~24.45), 활동제한이 있을 때 2.31 배(CI=1.40~3.82) 자살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교육수준, 독거,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 여부, 만성질환 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따라 자살생각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자살생각을 낮추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위험요인의 완화를 중재할 수 있는 융복합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를 제언한다.

가족유대감이 농촌 노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마을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Family Ties on Suicidal Ideation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 Focused on the Meditating Effec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

  • 이보람;이정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95-809
    • /
    • 2015
  •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has been the highest among the OECD countries for more than 10 years. In addition, the suicide rate among the rural elderl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in urban areas and that of younger gen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family tie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uicide ideation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Also,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onsciousness between family ties and suicidal ide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283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11 villages in South Korea. The data was gathered from July to August 2013. Baron and Kenny's (1986) step based regression from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is data. This study also utilized the Sobel-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respondents had a lower score than the median score. However, the magnitude of suicidal ideation was still significan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tie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reduction of suicidal ideation. Last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y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social safety net in local communities to replace adult children who have relocated to urban areas.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대한 상실감, 우울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 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41-548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상실감 및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차별경험, 상실감,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1개 시군구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지역별·유형별 층화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복지관(10개소) 이용자인 65세 이상 노인 400명 대상으로 1:1 심층면접 조사하여 총 36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과 Bootstrapping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인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실감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우울감은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노인차별경험과 상실감 및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연쇄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 당뇨병 노인의 자살사고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f Suicide Ideation in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Living Alone in Rural Area)

  • 강문희;안유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79-8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 당뇨병 노인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O 지역에 거주하는 당뇨병을 진단받은 만 65세 이상 노인 466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χ2-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자살사고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27.3%이었고. 인지기능이 낮을수록(t=-4.23, p<.001), 우울(t=9.56, p<.001) 및 외로움(t=4.88, p<.001) 이 높을수록 자살사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살사고 관련 요인은 인지기능(OR=0.86, p<.001), 우울(OR=1.18, p<.001) 및 외로움(OR=1.1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은 대상자의 자살사고를 32.2%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 당뇨병 노인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 인지기능, 우울 및 외로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노인의 차별경험과 상실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Elderly's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Sense of Loss on Suicidal Ideation)

  • 이은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61-371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상실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차별경험과 상실감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31개 시군구를 층화표집하여 노인복지관 10개소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40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8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차별경험 하위요인인 개인적 차별경험과 사회적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였다. 둘째, 개인적 차별경험은 상실감을 부분매개로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차별경험은 상실감을 완전매개로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따라서 상실감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적 차별경험을 예방하고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상실감 해소를 통해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자살 고위험군 노인: 원인 파악 및 예측 모델 개발 (High Suicidal Risk Group of Elderly: Identification of Causal Factors and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 박가연;신우식;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59-81
    • /
    • 2023
  • 한국의 노인(65세 이상) 자살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 흐름에 따라 이러한 고령층의 자살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노인 자살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이 개인 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 생각의 원인 요인을 파악하고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 한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제공하는 7개년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자살의 대인 관계 이론(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과 사회 해체 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을 바탕으로 노인 자살의 잠재 원인 요인들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노인의 자살 생각에 대한 원인 요인 파악을 위해 패널 로짓 모형 분석을 진행하고 노인 자살 생각의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해 딥 러닝과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본 연구는 계량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한 주요 원인 요인들을 활용하여 노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노인 복지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예측 모델은 자살 고위험군 노인을 선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의 시너지를 보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