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Butterfly Model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8초

수력댐 비상방류밸브의 선정조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Decision Criteria for the Urgency Released Valve in Hydraulic Dam)

  • 노형운;이갑수;박영무;김범석;이영호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5년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613-616
    • /
    • 2005
  • In general, the hollow jet valve, the fixed cone valve had been used for the urgency released or maintenance of the flow rate. Nowadays, the butterfly valve, the gate valve are applied in economic performance and operation maintenance more than the hollow jet valve, the fixed cone valve. However, in the case of butterfly valve, it should be required the strict application standard to the cavitation coefficient because the structural axis and disk were situated in pipe channel and the occurring the shock problem by Karman Vortex. And, the judgment data for choice were slight lowdown in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standard or Japanese penstock technology standard, various standard of KOWACO etc. Therefore. there were investigated the valve inside phenomenon (cavitation, disk chattering, vibration) by velocity of flow and the stability examination of body by high velocity of flow through flow scale model test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and PIV to establish the applicable extensibility of the butterfly valve for the urgency released valve.

  • PDF

공기조화용 버터플라이 밸브 하류에서의 3차원 유동특성 (Three-Dimensional Flow Characteristics in the Downstream Region of a Butterfly-Type Valve Used in Air-Conditioning Systems)

  • 박상원;이상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2호
    • /
    • pp.260-269
    • /
    • 2000
  • Oil-film flow visualizations and three-dimensional flow measuremen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downstream region of a butterfly-type valve used in air-conditioning systems, with the variation of a disk open angle. The flow visualizations in the flow symmetry plane show that there are a pair of counter-rotating separation/recirculation zones as wall as two jet-like near-wall flows. These flow disturbances are strongly depends on the disk open angle. Based on the flow visualization, a qualitative flow model is suggested in the near-field and downstream region of the valve disk. For a small disk open angle, the mean velocities and turbulent intensities have relatively small values in the near-field of the valve disk, but they do not show uniform distributions even in some downstream region. With an increment of the disk open angle, mean velocity variations and turbulent intensities are greatly increased in the immediate downstream region, but uniform distributions are quickly resumed as departing from the valve disk. The mass flow rate remains nearly constant for the disk open angles less than 30 degrees, meanwhile it strongly depends on the disk open angles between 45 and 75 degrees. The pressure loss is found to be about zero for the disk open angles less than 45 degrees, but is substantially increased for those larger than 75 degrees.

Latitudinal Distribution of Sunspot and North-South Asymmetry Revisited

  • Chang, Heon-You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5권2호
    • /
    • pp.55-66
    • /
    • 2018
  • The solar magnetic field plays a central role in the field of solar research,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Sunspots are an important observational constraint since they are considered a discernable tracer of emerged magnetic flux tubes, providing the longest running records of solar magnetic activity. In this presentation, we first review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latitudinal distribution of sunspots and discuss their implication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paired wings of the butterfly diagram has been revealed. Sunspots seem to emerge with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on top of slowly varying trends by periods of ~11 years, which is considered multiplicative rather than additive. We also present a concept for the center-of-latitude (COL) and its use. With this, one may sort out a traditional butterfly diagram and find new features. It is found that the centroid of the COL does not migrate monotonically toward the equator, appearing to form an 'active latitude'. Furthermore, distributions of the COL as a function of latitude depend on solar activity and the solar North-South asymmetry. We believe that these findings serve as crucial diagnostic tools for any potential model of the solar dynamo. Finally, we find that as the Sun modulates the amount of observed galactic cosmic ray influx, the solar North-South asymmetry seems to contribu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lar variability and terrestrial climate change.

3차원 프린팅에 의한 경량 밸브 디스크 제조를 위한 위상최적화 기반의 형상 설계 (Shape Design based on Topology Optimization for Manufacturing of Lightweight Valve Disc by 3-D Printing)

  • 김태형
    • 에너지공학
    • /
    • 제27권4호
    • /
    • pp.13-1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위상최적화에 기초한 발전설비용 버터플라이 밸브 디스크 부품의 경량설계가 수행되었다. 이때 상용 유한요소해석 소프트웨어가 사용되었으며 기존 상용 밸브 디스크의 외형을 유지시키면서 내부의 불필요 공간을 제거하여 경량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먼저 밸브 디스크의 원판과 브라켓을 분리하여 각각 최적설계 하였다. 최적의 형상이 선정되면 이들을 조립하여 3차원 경량 밸브 디스크 모델을 완성하였다. 이후 이 모델에 설계 압력을 적용하여 유한요소해석 후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VP9 디코더에 대한 행렬 기반의 정수형 역변환 구조 (Integer Inverse Transform Structure Based on Matrix for VP9 Decoder)

  • 이태희;황태호;김병수;김동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4호
    • /
    • pp.106-11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VP9 디코더에 대한 행렬 기반의 정수형 역변환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구조는 DCT(Discreste Cosine Transform), ADST(Asymmetric Discrete Sine Transform) 그리고 WHT(Walsh-Hadamard Transform)에 대한 알고리즘을 공유하며 버터플라이구조보다 하드웨어 리소스를 줄이고 제어하기 쉬운 하드웨어 구조이다. VP9 구글 모델 내 정수형 역변환은 버터플라이구조 기반의 정수형 역변환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인 버터플라이구조와는 달리 구글모델 내 정수형 역변환은 각 단계마다 라운드 쉬프트 연산기를 가지며, 비대칭 구조의 사인 변환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구조는 모든 역변환 모드에 대해 행렬계수 값을 근사하고, 이 계수 값을 이용하여 행렬연산 방식을 사용한다. 본 논문의 기술을 사용하면 역변환 알고리즘에 대한 모드별 동작 공유 및 버터플라이구조에 비해 곱셈기 수를 2배가량 감소시킬 수 있다. 그래서 하드웨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해진다.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 복원구상 (Habitat Restoration Initiative for Endangered Species Parnassius bremeri (Lepidoptera: Papilionidae) in Korea)

  • 김도성;박성준;신영규;박두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8-109
    • /
    • 2011
  • 나비서식지 복원구상은 종 보전을 위한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나비의 생태, 서식지 경관, 작업방법, 비용분석 등에 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 복원을 위하여 요구되는 인자들을 지난 3년간 수행된 연구결과의 검토 및 나비의 성충과 유충의 존재 또는 부재를 조사하는 방법을 통하여 서식지 면적 추정 등의 방식으로 서식지 요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발견된 붉은점모시나비의 서식지는 유충과 성충이 관찰되는 패치를 기준으로 최소 $300m^2$이상의 크기로 다수의 패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 디자인에서는 기존의 서식지 환경과 유사한 곳에 5개 이상의 패치에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이 계획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비의 이주를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이주에 방해되는 수목의 제거, 패치간 거리의 최소화, 그리고 징검다리 패치의 추가가 필요하다. 패치연결성 분석결과, 패치간의 거리가 약 600m 이상 떨어질 경우 성공적인 이주가 어려우므로, 각 패치간의 거리는 300m이내에 분포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며, 서식지 크기는 단일 패치에서는 $10,000m^2$이상, 다수의 패치 네트워크에서는 5개 이상의 패치가 인접하고, 각각의 패치는 $1,600m^2$이상으로 전체 패치면적은 $8,000m^2$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단일 서식지보다는 다수의 패치가 인접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서식지 순환 발생패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나비의 서식지 복원에 관한 적정한 서식지 요건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진행될 생물종의 복원에 있어서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hape Optimization of a Segment Ball Valve Using Metamodels

  • Lee, Jin-Hwan;Lee, Kwon-He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553-558
    • /
    • 2010
  • This study presents the optimization design process of a segment ball valve that involves the reduction of the flow resistance coefficien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trength requirement. Numerical analysis of fluid flow and structural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to predict the flow resistance coefficient and the maximum stress of a segment ball valve. In this study, a segment ball valve incorporating the advantages of a ball valve and a butterfly valve has been devised. In general, ball valves are installed in a pipe system where tight shut off is required. Butterfly valves having smaller end-to-end dimension than ball valve can be installed in narrow spaces in a pipe system. The metamodels for the shape design of a segment ball valve are built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 and the Kriging interpolation model.

High-Frequency Modeling and Optimization of E/O Response and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40 Gb/s EML Module for Optical Transmitters

  • Xu, Chengzhi;Xu, Y.Z.;Zhao, Yanli;Lu, Kunzhong;Liu, Weihua;Fan, Shibing;Zou, Hui;Liu, Wen
    • ETRI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361-368
    • /
    • 2012
  • A complete high-frequency small-signal circuit model of a 40 Gb/s butterfly electroabsorption modulator integrated laser module i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to analyze and optimize its electro-optic (E/O) response and reflection characteristics. An agreement between measured and simulated results demonstrates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the procedures. By optimizing the bonding wire length and the impedance of the coplanar waveguide transmission lines, the E/O response increases approximately 5% to 15% from 20 GHz to 33 GHz, while the signal injection efficiency increases from approximately 15% to 25% over 18 GHz to 35 GHz.

모순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트리 기반 나비 알고리즘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utterfly Algorithm Based on Decision Making Tree for Contradiction Problem Solving)

  • 현정석;고예준;김융결;전승재;박찬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7-98
    • /
    • 2019
  • 모순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은 모순을 해결 가능성이 전혀 없는 공집합이나 논리적으로 틀린 것이다. 두 가지 대안 중에서 어느 쪽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는 딜레마는 그 안에 숨어 있는 모순을 해결해야 하므로 해결이 어렵다. 하지만 이런 특성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모순 해결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로 간주 되어왔다. 문제의 해법을 모순 해결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트리즈(TRIZ)는 그동안 컴퓨터보다는 인간의 관점에서 문제 해결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트리즈처럼 모순 해결 중심으로 문제를 분석하는 나비 모형은 문제 해결의 자동화 관점에서 기호 논리학을 이용하여 모순 문제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모순문제유형별 구체적 해결전략을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트리 기반의 나비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파이선 tkInter를 바탕으로 주어진 모순 문제의 구체적 해결전략을 찾아 사용자들에게 제시하는 시각화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도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나비 알고리즘을 학습한 후, 나무지지대의 모순 문제를 분석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 발명대회에 참가하여 대상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사결정트리 기반 나비 알고리즘은 문제 해결 초기에 문제의 해결공간을 체계적으로 줄여주어 시행착오 없이 모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냉각 프로세서의 모델규명 및 선행미분형 2 자유도 PID 유량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Study on Model Identification and Pre-Differential 2-DOF PID Flow Control Algorithm for Cooling Processes)

  • 황이철;박철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2호
    • /
    • pp.1917-1923
    • /
    • 2010
  • 이 논문은 공압식 버터플라이 제어밸브를 이용한 냉각 프로세서의 모델규명 및 선행미분형 2 자 유도 PID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구동 제어밸브를 포함한 냉각 프로세서의 모델 구조는 시간지연을 포함한 2차 지연 시스템 형태로 주어지며, 이는 데모 플랜트로부터의 입출력 데이터를 통하여 전달함수의 형태로 규명된다. 2 자유도 PID 제어기에서 피드백 제어게인은 Kitamori 제어게인 조정법을 이용하여 설정되며, 피드포워드 제어게인은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만족하도록 하는 관점에서 결정된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제어 알고리즘의 유용성은 컴퓨터 모의실험과 데모 플랜트의 실험을 통해 검증된다. 결과적으로 논문에서 제안된 제어 알고리즘은 기존의 1 자유도 PID 알고리즘보다 제어게인 설정이 매우 명확하고, 제어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