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8초

밀폐 및 배기조건에서 열화된 밀랍지의 열화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Beeswax-treated Hanji Aged by Closed and Ventilated Chamber)

  • 강영석;양은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6호
    • /
    • pp.9-14
    • /
    • 2012
  • Currently a variety of efforts to conserve and restore the injured the Annal of the Joseon Dynasty are continued and many studies about the aging pathway of the beeswax-treated volume have being progressed. In this study, two chambers were set up to assess the influence of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generated in process of beeswax deterioration. One chamber was closed and the other was continuously ventilated in order to remove the VOCs. In results, the acid compounds of beeswax-treated Hanjis aged in closed chamber was more than that aged in ventilated chamber. The folding endurance of beeswax-treated Hanjis aged in closed chamber was lower than that aged in ventilated chamber. Accumulated acid compounds of beeswax-treated Hanji in closed chamber may cause accelerated aging and strength decrease. In conclusion, accumulated acid compounds can accelerate the aging of beeswax-treated Hanji and cause the severe deterioration of inside of beeswax-treated volume. Therefore, to preserve more safely beeswax-treated volume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essential that VOCs emitted from beeswax-treated volume are ventilated.

증실기(蒸室記) 연구(硏究) (A Study on "Records on Steam Room(蒸室記)")

  • 박상영;권오민;안상영;한창현;오준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19-129
    • /
    • 2011
  • The Chapter of "Records on Steam Room(蒸室記)" in "Shandangjip(山堂集)" by CHOI Chungsung is a rare and notable one in that it contains the first concrete and detailed description and view of steam sh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known that Choi's Wind stroke(brain stroke) deteriorated due to excessive steam shower. He unreasonably entered the steam room 4 or 5 times a day for 9 consecutive days even though external pathogens had intruded into visceral organs and his energizing chi got less and weaker. By this excessive steam showering, his righteous chi was exhausted and eventually burned out. Given some record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riting that people died due to excessive steam shower, there was no established medical theory on the effect of steam shower before the publication of "Donguibogam(東醫寶鑑)".

조선시대 녹각성과 수중목책의 조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and Use of Nokgakseong and Underwater Wooden Fence)

  • 심순희;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230-246
    • /
    • 2023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방어시설로 추정되고 있는 목책(木柵)은 조선시대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까지 군사적인 방어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城)이나 병영(兵營) 외부에 설치되는 성책(城柵), 영책(營柵)의 개념으로 정립되면서 방어를 위한 필수시설로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관방시설로 이용되었던 목책을 연구한 결과로, 녹각성(鹿角城)과 수중목책(水中木柵)의 용도와 기능 그리고 설치 방법 그리고 목책의 소재 등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말선초 외적의 침략이 빈번해짐에 따라 목책은 주요 성외 방어시설(防禦施設)로써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목책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나 관방정책, 입지 환경에 따라 목책성, 녹각성 그리고 수중목책 등 다양한 유형으로 변용(變容)되어 설치되었다. 둘째, 목책은 요충지(要衝地)의 산성(山城)이나 영(營), 진(鎭), 보(堡), 성(城) 등 군사적 목적의 관방시설(關防施設)에 설치되었으며, 유사시 방어의 시급성에 따라 농번기(農繁期)를 피해 인력의 동원이 수월한 농한기(農閑期)에 맞춰 설치되었다.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조선시대 목책의 규모는 포백척(布帛尺)으로 환산한 결과 그 둘레가 4,428척(2,066m)부터 55척(25m)까지 매우 다양한 규모였다. 또한, 목책의 재료는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주로 사용되었다. 셋째, 녹각성은 일반적인 목책보다 공격성을 겸비한 효율적인 전투 지원시설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녹각성기록은 세종대에 20회로 가장 많은 기록이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4군 6진 지역인 평안·함길도(12) 등 변방(邊防) 험지(險地)에 주로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5세기 초반 조정에서 남해안 연해지역(沿海地域)의 해상 방어 전략을 수립하게 되면서부터 1510년 삼포왜란(三浦倭亂) 이후 본격적으로 읍성(邑城)을 비롯한 주요 치소(治所)나 진, 보 등 여러 관방시설 주변에 왜적의 병선(兵船)을 저지하기 위한 방어시설로서 수중목책의 설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다섯째, 삼포왜란을 전후한 15세기부터 17세기 사이 남해안과 강화도에 수중목책이 설치되었다. 특히 15세기에 제포와 같은 경남 해안 요해처(要害處)에 수중목책이 집중적으로 설치되었다. 수중목책의 재료는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주종을 이루지만 이 밖에도 합다리나무, 서어나무류, 칠덩굴도 목책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도시공간의 옛모습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도성대지도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the Presumption of Old Urban Space -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reat Map of Seoul -)

  • 최무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9호
    • /
    • pp.107-115
    • /
    • 2018
  • It is a basic study to speculate the old form of urban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how to build a database that can synthesize multiple data describing the past. In particular, It was focused to the first half time of Seoul City during the Chosun Dynasty. Data is structured systematically and inclusively through digitizing, visualization, and specification. Through this, the city's urban space scene is reconstructed as a map of the city. And maps include various humanities information explaining the aspects of space activities. And it will become a system that will facilitate data management and improve the clarity of information.

다중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임진왜란 시기 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jin War's Historical Materials with Multi-layer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조현철;송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7-198
    • /
    • 2022
  • 융합 과학 연구가 활성화되며 인문학에서도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가 장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 데이터에 텍스트마이닝과 개체계량학 연구 방법을 적용한 시론(試論)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난중잡록(亂中雜錄), 징비록(懲毖錄)을 활용하였으며, 사료(史料)에서 주제 변화와 공통 개체를 탐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과 DMR 토픽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계량 분석의 활용 가능성 확인, 특정 주제의 시기적 변화, 인물 개체 간 미발견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조선왕릉 봉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일고 - 문헌에 기록된 석실과 회격의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Joseon Royal Tomb Tumulus)

  • 전나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52-69
    • /
    • 2012
  • 본 연구는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와 외부 구조를 분석한 후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조선왕릉의 특징을 고려 왕릉, 조선 사대부 무덤과 비교하여 본 논문이다. 조선왕릉은 구조적으로 견고한 건축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내부와 외부에 수호를 상징하는 미술 장식을 넣어 오래도록 왕과 왕후를 수호하도록 기원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세종실록 오례의"와 "국조오례의"가 남아 있어 이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는 석실이고, 외부는 병풍석과 난간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세조가 자신의 능에 석실을 만들지 말라고 유언을 남긴 이후로 조선왕릉의 내부는 모두 회격이 되었다. 조선 후기에 조선왕릉의 조성 과정을 작성한 사료는 영조 때 편찬한 "국조상례보편"이 있다. 이 책에는 조선왕릉을 회격으로 조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나타나있다. 조선 후기에 조성한 왕릉의 병풍석은 십이지상을 새겼던 기존과 달리 모란을 새겨 넣는다. 모란은 궁궐의 장식화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조선왕릉에 모란이 나타난 점은 조선왕릉이 왕의 일상 공간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점으로 볼 수 있다.

조선시대 법전에 기록된 산림·조경 분야 시기별 중점 추진 사항 분석 및 의의 (A Significance of Key Milestones for by Period to Creat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tails of the Forestry and Landscape Fields Described in the Law Codes of the Joseon Dynasty)

  • 이현채;윤정원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1-36
    • /
    • 202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법전류에 기록된 산림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통하여 그 당시 산림문화의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 후 국민의 산림문화 충족 욕구에 부응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선시대 법전류(경국대전, 속대전, 대전통편, 대전회통)에 기록된 산림 관련 조항을 통해 산림행정과 정책의 변화과정 및 산림의 경관상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분석을 통해 특수한 수종이나 특정 지역에만 생산되는 수종에 대한 관리와 특정 지역 경관 관리에 신경을 많이 기울였다는 것, 금산 관리 규정에 있어서 벌채를 금하는 수준을 넘어 재식과 배양뿐만 아니라 경관 조성에도 관심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림의 사유를 금했었으나. 상·장례에 있어서 분묘 주변의 일정 범위의 산림에 대한 소유를 인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승정원일기'를 토대로- (Weather and Climatic Environment of Seoul Area in South Korea during 1623~1800, Reconstructed from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承政院日記)')

  • 이준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6-8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매일의 날씨와 기상현상을 토대로 기상기후 정보를 자료화하고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기상 및 천변재이에 관한 정보를 추가 조사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1623~1800년 기간 서울지역의 기상과 기후 환경을 파악하였다. 1500~1760년은 소빙기에 해당하여 조사기간 서울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여름이 서늘하였으며 대체로 기상현상의 변화가 심하고 한랭 건조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날씨와 기상현상 및 기후변화가 1650년, 1710년, 1770년을 전후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비와 눈의 일수는 1640년대에 큰 변화를 나타내기 시작해 1650년대~1710년대에 크게 감소하였고, 171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계절적으로 여름의 비 일수는 1710년대 말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눈의 일수는 1770년대 중반 이후 크게 감소하였다. 우박 일수는 1720년대 말에 크게 증가해 176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흐린 날의 일수는 1710년대를 전후로 여름에는 크게 감소하나 겨울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안개일수는 1770년경 이후에 현대의 평년값보다 적은 일수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들 시기는 상대적으로 강화된 한랭화와 건조화의 경향을 따르며, 역사기후학적 비교자료 및 지구과학 생물학적 자료의 연구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한다.

  • PDF

세종 대 천문학에서의 이천의 업적 (ACHIEVEMENT OF LEE CHEON IN ASTRONOMY DURING KING SEJONG'S ERA)

  • 이기원;민병희;서윤경;김상혁
    • 천문학논총
    • /
    • 제33권2호
    • /
    • pp.9-19
    • /
    • 2018
  • We investigate the life of Lee Cheon (1376-1451) who was closely connected with astronom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Lee Cheon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outstanding scientists of King Sejong's period. However, his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astronomy during the period have not been enlightened.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Lee Cheon, mainly referring to the Joseon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address three important points. First, Lee Cheon was a distinguished administrator who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Second, he was a supervising engineer in public works and metal smelting during his position in military. Third, he was a scientific technician and manufactured precision equipment such as the metal movable type sets. By virtue of these aspects, Lee Cheon was taken into confidence by King Sejong on the Ganui-dae project (i.e., manufacture various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construct their platform in order to make a calendar suitable for Joseon). During the period of this project, Lee Cheon not only supervised the construction of the Ganui (simplified armillary sphere) and Ganui-dae (platform for astronomical instruments)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astronomical instruments such as Gyupyo (Gnomon) and Honcheonui (Armillary Sphere). In conclusion, we regard Lee Cheon as one of the astronomers who led a great advance in astronomy during King Sejong's era.

조선 왕실의료문헌과 문집에 나타난 우각구법(牛角灸法) 연구 (Study on Horn-shaped Moxa Treatment in the Annals and Anthologies of Joseon-Korea)

  • 오준호;김진희;안상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48
    • /
    • 2010
  • Objectives: Moxa treatment has outstanding effects that are frequently facilitated in a clinical setting, and it is also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for immunity and relief of pain through various studies. Currently, moxa treatment has become diversified in many ways. One of the moxa treatment techniques that was frequently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Woogakgubeop (牛角灸法, horn-shaped moxa treatment). This articles aims to disclose the fact that the Woogakgubeop is the technique applicable to the origin of the Large moxa treatments of today. Also, the writings of Woogakgubeop recorded in the royal medical documentations, such as the Chronicles of the R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the Seungjeonwonilgi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and others, a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gakgubeop are cleared through it. Methods: From the royal medical documents, the Chronicles of the R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eungjeonwonilgi, articles related Woogakgubeop were extracted and analyzed. Records of each document were facilitated for the DB search. In addition to these two documents, the records of written literature were surveyed as well. The written literature are appropriate to express the experiences of intellectuals at the time. Results and Conclusions: 1. Considering that Woogakgubeop is a single therapy, there exists relatively many records in addition to the specialized medical documents, and through them, it is known that Woogakgubeop was a widely known therapy in the middle to later parts of Joseon in general. 2. Woogakgubeop is a method that addresses problems contained within the existing moxa treatment techniques. By enlarging the size of the mugwort wick, it strengthens the heat energy of the moxa treatment to reduce the frequency of applying moxa treatment. When undertaking the method to empty the wick inside the mugwort, the pain of a fever patient will be reduced and burn damage to the skin is minimized. 3. Wind-cold type weakness and other general moxa treatment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various symptoms detailed, including chest pain, tinnitus, carbuncle, cellulites, cold sense of leg, colic, diarrhea and other illnesses. In addition, it may generate strong fever, and was used to implement the Yeonjebeop (煉臍法). 4. Woogakgubeop is applicable to the origin of Large moxa treatment of today and it provides important bibliographic bas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