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21.39.1.031

A Significance of Key Milestones for by Period to Creat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tails of the Forestry and Landscape Fields Described in the Law Codes of the Joseon Dynasty  

Lee, Hyun-Chae (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Yoon, Jung-Won (DMZ Native Plants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9, no.1, 2021 , pp. 31-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on forest culture. It aims to satisfy the people's needs for forest cultur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forest-related materials described in the law codes of the Joseon Dynasty to grasp the general matters of the forest culture at that time. From the provisions related to forests in the law codes of the Joseon Dynasty (Gyeongguk Daejeon, Sokdaejeon, Daejeon Tongpyeon and Daejeonhoetong), it was possible to gain insights into the process of changes in forest administration and policies, and changes in forest landscape, etc. Analysis of the Gyeongguk Daejeon revealed the following facts; at that time, special tree species or trees produced only in specific regions were managed separately; and there was a lot of attention paid to manage the landscape of specific areas; for reserved forest management regulations, beyond the level of logging bans, attention was paid not only to planting and cultivation, but also to landscape cre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ivate ownership of forests was generally forbidden, however, the ownership of a certain range of forests around the tombs was recognized for funeral rites.
Keywords
Gyeongguk Daejeon(Great Code of National Governance); Joseonwangjosillok(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Landscape; Litigation Against the Tomb and the Mountainous Areas surrounding the Tomb; Mountains; Reserved Forests; Yousangi(Records of Mountain-Climb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한상권(1994). 조선시대 법전 편찬의 흐름과 각종 법률서의 성격. 역사와 현실. 23(-): 302-320.
2 김동현, 강영호, 김광일(2011). 역사 문헌 고찰을 통한 조선시대산불 특성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집. 25(4): 8-21.
3 김동현, 강영호, 김광일(2011). 조선왕조시대 산불방지정책 고찰. 한국 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4): pp. 148-151.
4 김동현, 강영호, 김찬범(2012).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2(6): 217-221.
5 이경식(1993). 조선후기 왕실.영아문의 시장사점과 화전경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79(-): 449-495.
6 김선경(1993). 조선후기 산송과 산림소유권의 실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79(-): 497-535.
7 강미숙(1994). 조선후기 목재수요의 증대와 국용재목의 조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재근(1994). 서울대학교출판부. 한국의 배.
9 곽만섭(1995). 한국 산림정책의 역사적 전개. 동아대학교 대학원논문집. 20(-): 151-171.
10 정치영(2009).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지리산 여행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4(3): 260-281.
11 이호승, 한상열, 최관(2011). 지리산 유람록을 통한 산림문화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1): 36-46.
12 대전통편(大典通編).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열람실. 청구기호 : 한古朝33-9.
13 대전회통(大典會通).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열람실. 청구기호 : 古6025-42.
14 김수련(2001). 조선시대 강원지역의 봉산설정과 폐해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전영우(2012). 조선왕실의 의례용 임산물 생산을 위한 사찰의 산림관리.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pp. 54-57.
16 강기래, 이해주, 이현채, 김희채, 김동필, 하성근(2017). 성재 유중교의 가평 옥계구곡 위치추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3): 32-40   DOI
17 이현채, 이해주, 김희채, 황근연, 이다홍, 최미경(2013). 조선시대 고문서, 전적류에 나타난 산림관련기사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집. No.11. pp. 119-122.
18 강기래, 이해주, 배준규, 김희채, 김창준, 이현채, 김동필, 김차권(2018). 경상도지역 동천(洞天)의 위치 조사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16-25.   DOI
19 경국대전(經國大典).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열람실. 청구기호 : GP360.911-법166ㄱ
20 이선희, 진혜영, 이현채, 문애라, 최우경, 송유진, 송정화(2016). 한국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1): 53-70.   DOI
21 강기래, 이해주, 김희채, 이현채, 김동필(2017).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 구곡.동천 위치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3): 67-75.   DOI
22 이현채, 이해주, 황근연, 김희채, 이다홍, 최미경(2013). 조선시대 법전류에 나타난 산림관련 조항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집. No.11. pp. 114-118.
23 이현채, 이해주, 김희채, 권경동, 황근연, 김해인, 김현정(2014). 조선시대 지리지류에 나타난 경기지역 산림관련 조항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집. No.11. pp. 84-85.
24 속대전(續大典). https://gallica.bnf.fr/ark:/12148/btv1b10550890b/f5.item.
25 정치영(2005). 유산기로 본 조선시대 사대부의 청량산 여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1): 5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