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al language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4초

자동평가시스템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etween block and textual language i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online judge)

  • 장원영;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3-33
    • /
    • 2020
  • 온라인 저지는 학습자가 제출한 소스의 컴파일과 실행, 문제 해결 여부에 대한 즉각적인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며 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저지가 텍스트형 언어 만을 제공하고 있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언어 선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저지용 블록형 언어를 개발하여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고, 블록형 언어 집단과 텍스트형 언어 집단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검정 결과, 블록형 언어 집단은 텍스트형 언어 집단 보다 '혐오경험극복 능력기대'가 더 높았고, 텍스트형 언어 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활동시작 능력기대'와 '활동지속 능력기대'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블록형 언어의 경우 차후 프로그래밍 활동에 대한 효능감에 효과가 있으며, 텍스트형 언어는 활동의 시작 단계와 진행 단계에서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함의한다. 본 연구는 고교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의 적용과 관련하여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 Frame-based Approach to Text Generation

  • Le, Huong Thanh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192-201
    • /
    • 2007
  • This paper is a study on constructing a natural language interface to database, concentrating on generating textual answers. TGEN, a system that generates textual answer from query result tables is presented. The TGEN architecture guarantees its portability across domains. A combination of a frame-based approach and natural language generation techniques in the TGEN provides text fluency and text flexibility. The implementation result shows that this approach is feasible while a deep NLG approach is still far to be reached.

  • PDF

Exploring the Microscopic Textu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rime Ministers' Diet Addressesby Measuring the Quantity and Diversity of Nouns

  • Suzuki, Takafumi;Kageura, Kyo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459-470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the textual characteristics, more precisely the quantity and diversity of nouns, of Japanese prime ministers' Diet addresses. In the field of stylistics, textu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of the content have been examined with the aim on detecting the authors, genres, and chronological variations of texts. This study focuses instead on text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content of texts, namely the quantity and diversity of nouns, because our aim is to analyze texts to better understand two political phenomena: (a)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Diet addresses delivered by Japanese prime ministers, and (b) the perceived changes made to these addresses by two powerful prime ministers. It is a case study of the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exts, which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with the expansion in the scope of stylistics and the production of a wide variety of new types of texts following the advent of the Web.

  • PDF

국내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색인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Indexing Model for Korean Textual Databases)

  • 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4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의 색인언어 및 색인기법에 관한 현황을 분석하고, 3개의 텍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하여 자연언어 색인과 통제언어 색인의 검색 성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의 대부분이 자연언어 색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검색 실험에서는 적절한 탐색전략을 사용하는 경우 자연언어가 통제언어보다 검색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색인현황에 관한 조사와 검색 성능의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국내 텍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An Ontology-bas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Integrated System of Web Information Extraction and Structuring Knowledge -

  • Mima, Hideki;Matsushima, Katsumori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5년도 e-Biz World Conference 2005
    • /
    • pp.55-61
    • /
    • 2005
  • We will introduce a new web-bas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progress, in which XML-based web information extraction and our structuring knowledge technologies are combined using ontology-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ur aim is to provide efficient access to heterogeneous information on the web, enabling users to use a wide range of textual and non textual resources, such as newspapers and databases, effortlessly to accelerate knowledge acquisition from such knowledge sources. In order to achieve the efficient knowledge management, we propose at first an XML-based Web information extraction which contains a sophisticated control language to extract data from Web pages. With using standard XML Technologies in the system, our approach can make extracting information easy because of a) detaching rules from processing, b) restricting target for processing, c) Interactive operations for developing extracting rules. Then we propose a structuring knowledge system which includes, 1) automatic term recognition, 2) domain oriented automatic term clustering, 3) similarity-based document retrieval, 4) real-time document clustering, and 5) visualization. The system supports integrating different types of databases (textual and non textual) and retrieving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simultaneously. Through further explanation to the specifi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technique of the system, we will demonstrate how the system can accelerate knowledge acquisition on the Web even for novice users of the field.

  • PDF

메타버스의 가상환경과 텍스트 강화기법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효과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Virtual Environments and with Textual Enhancement Techniques in the Metaverse)

  • 강정현;권슬희;정동훈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155-172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환경에서의 다양한 환경 변화를 통한 외국어 학습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상환경 공간을 교실과 식료품점으로 구분한 후, 여기에 각각 세 종류의 자막으로 구성된 텍스트 강화기법을 적용한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학습 콘텐츠를 직접 제작한 후 학습 효과를 비교했다. 실험은 2 × 3 혼합요인설계로 구성됐으며, 가상환경 공간은 실험자 내 요인으로 실험참여자는 학습 공간에 따라 처치 수준이 다른 두 개의 영상에 노출됐고, 텍스트 강화기법은 실험자 간 요인으로 실험참여자는 텍스트 강화기법에 따라 처치 수준이 다른 세 개의 자막 중 무작위로 한 개의 자막에 노출됐다. 가상환경 공간과 텍스트 강화기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분석 결과, 프레즌스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간의 주효과를 살펴본 결과, 플로우와 학습 전-후 가상현실 교육 태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텍스트 강화기법의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플로우, 가상현실 학습 이용의도, 학습 만족도와 학습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가상현실 공간의 제공 환경에 따라 학습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과 태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자막 제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교육 효과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상환경에서 외국어 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확인한 것인데, 학교와 학원 등에서 가상환경을 활용한 영어학습 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가상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Construction of Text Summarization Corpus in Economics Domain and Baseline Models

  • Sawittree Jumpathong;Akkharawoot Takhom;Prachya Boonkwan;Vipas Sutantayawalee;Peerachet Porkaew;Sitthaa Phaholphinyo;Charun Phrombut;Khemarath Choke-mangmi;Saran Yamasathien;Nattachai Tretasayuth;Kasidis Kanwatchara;Atiwat Aiemleuk;Thepchai Supnithi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33-43
    • /
    • 2024
  • Automated text summarization (ATS) systems rely on language resources as datasets. However, creating these datasets is a complex and labor-intensive task requiring linguists to extensively annotate the data. Consequently, certain public datasets for ATS, particularly in languages such as Thai, are not as readily available as those for the more popular languag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ATS approach is to condense large volumes of text into shorter summaries,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extract information from extensive textual data. Owing to the challenges involved in preparing language resources, publicly accessible datasets for Thai ATS are relatively scarce compared to those for widely used languages. The goal is to produce concise summaries and accelerate the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using vast amounts of textual input. This study introduced ThEconSum, an ATS architecture specifically designed for Thai language, using economy-related data. An evaluation of this research revealed the significant remaining tasks and limitations of the Thai language.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 말뭉치 구축을 위한 마크업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rkup Scheme for Building the Corpora of Korean Culinary Manuscripts)

  • 안의정;박진양;남길임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2권2호
    • /
    • pp.95-114
    • /
    • 2008
  •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 markup system for 17-19th century culinary manuscripts. To achieve this aim, we, in section 2, look into various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garding encoding large-scale historical corpora. In section 3, we ide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extual theme and structure of our source text. Section 4 proposes a markup scheme based on the XML standard for bibliographical and structural markups for the corpus as well as the grammatical annotations. We show that it is highly desirable to use XML-based markup system since it is extremely powerful and flexible in its expressiveness and scalable. The markup scheme we suggest is a modified and extended version of the TEI-P5 to accommodate the textu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Korean culinary manuscripts.

  • PDF

Textual Entailment Feedback 기반 효율적인 문서 재순위화기 (Effective Passage Reranking with Textual Entailment Feedback)

  • 남성욱;한동훈;박은환;나승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77-381
    • /
    • 2023
  • 재순위화기 연구는 주로 파이프라인 과정 설계, 데이터 증강, 학습 함수 개선, 혹은 대규모 언어 모델의 지식 활용 등에 집중되어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좋은 성능 상승을 이끌어주었지만 실제 적용이 힘들 뿐만 아니라 학습 비용이 크게 발생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주어진 데이터 집합만을 활용해서는 보다 더 세부적인 학습 신호를 주기 어렵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의 연구에서는 피드백을 인위적으로 생성하여 반영하여 모델 성능 상승을 이끄는 연구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질의와 문서 간의 함의 관계 점수를 피드백으로 사용 및 재순위화기 모델로의 반영을 제안한다. 재순위화기 모델에 대해 피드백을 반영하는것은 그렇지 않은 모델 대비하여 성능 상승을 이끌며 피드백 반영이 더 좋은 표상 도출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한국어 '됐어'와 중국어 'X了(료)'의 대조 연구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A Contrastive Study on '됐어' and 'X了': Focusing on the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 장아남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181-21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unctions of {됐어} and {X了} as a discourse marker on different levels, and to examin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됐어} has not been widely recognized as a discourse marker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됐어} as a discourse marker, the reasons that {됐어} can be regarded as discourse marker were explained prior to the contrastive analysis. As to the method of contrastive analysis for {됐어} and {X了}, they were analyzed on three main dimensions: that is, the textual dimension, the interpersonal dimension, and the metalinguistic dimension in the corpus consisting of scripts of Korean and Chinese sitco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textual domain, {됐어} and {X了} have the function of closing the topic in common, while {X了} can indicate a new topic and transmit a topic. In terms of functions in the interpersonal domain, {됐어} and {X了} are commonly used to refuse a partner's proposal or request and to interrupt a partner's speech or action. Furthermore, in the interactional aspect, {됐어} and {X了} performs the function of expressing a response to a preceding utterance and taking the turn of spe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interpersonal domain is that {X了} performs the function of correcting a speaker's utterance. In the metalinguistic domain, {됐어} and {X了} are common in that they perform the function of expressing the dissatisfaction of the speaker, showing generosity and making a compromise with the addressee. {X了}'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in this domain is that it can express the attitude of consoling the hear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