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etween block and textual language i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online judge

자동평가시스템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

  • Received : 2020.05.13
  • Accepted : 2020.07.06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Online judge provides compilation, execution, and immediate feedback on the source submitted by the learner, and ensure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but it's difficult to select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because most of them provide only textual language. In this study, a block language for online judg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high school classes, and the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the block language and the textual language group was confirmed. It was found that Block language group have more ability expectation to overcome disgust experience than textual language group and Textual language group have significant decrease in ability expectation to start activity and to continue activity. It implies that Block language has an effect on self-efficacy for afterward programming activities, and method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should be devised in the case of textual language so that student's self-efficacy does not deteriorate at the initial and ongoing stage of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of methods for enhancing self-efficacy in high school class of programming.

온라인 저지는 학습자가 제출한 소스의 컴파일과 실행, 문제 해결 여부에 대한 즉각적인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며 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저지가 텍스트형 언어 만을 제공하고 있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언어 선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저지용 블록형 언어를 개발하여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고, 블록형 언어 집단과 텍스트형 언어 집단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검정 결과, 블록형 언어 집단은 텍스트형 언어 집단 보다 '혐오경험극복 능력기대'가 더 높았고, 텍스트형 언어 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활동시작 능력기대'와 '활동지속 능력기대'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블록형 언어의 경우 차후 프로그래밍 활동에 대한 효능감에 효과가 있으며, 텍스트형 언어는 활동의 시작 단계와 진행 단계에서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함의한다. 본 연구는 고교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의 적용과 관련하여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세종: 교육부.
  2. 김자미 (2016).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3), 35-53.
  3. 김자미 (2017).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5), 49-59.
  4. 文部省(일본) (2017). 유치원, 초.중학교 신 학습지도 요령. 東京: 文部省.
  5. 文部省(일본) (2018). 고등학교 신 학습지도 요령. 東京: 文部省.
  6. 교육부 (2015b).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세종: 교육부.
  7. 교육부 (2015c). 2015 개정 과학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0, 세종: 교육부.
  8. 심재권.채정민 (2018). 블록 프로그래밍 환경 기반 온라인 평가 시스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4), 1-10.
  9. Hong Kong Olympiad in Informatics, retrieved from http://judge.hkoi.org (2020.6.14.).
  10. 전용주 (2019). 정보교육을 위한 HUSTOJ 기반 오픈소스 온라인 저지 시스템 커스터마이징 방향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5(1), 53-61.
  1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ctice Hall.
  12. 김아영.조영미 (2001).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능과 동기 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교육심리연구, 15(4), 121-138.
  13. 김아영 (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16(1), 1-39.
  14. Kurnia, A., Lim, A., & Cheang, B. (2001). Online judge. Computers & Education, 36(4), 299-315. https://doi.org/10.1016/S0360-1315(01)00018-5
  15. Leal, J. P., & Moreira. N. (1998). Automatic Grading of Programming Exercises. Technical Report. Universidade do Porto.
  16. Forsythe, G. E., & Wirth, N. (1965). Automatic grading programs. Communications of the ACM, 8(5), 275-278. https://doi.org/10.1145/364914.364937
  17. 장원영.김성식 (2014). 알고리즘 자동평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프로그래밍 학습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26-34.
  18. Wasik, S., Badura, J., Laskowski, A., & Sternal, T. (2018). A Survey on Online Judge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ACM Computing Surveys, 51(1), 3:1-3:34.
  19. 임형석 (2007). ACM-ICPC 문제의 출제 및 채점 과정. 정보과학회지, 25(7), 52-55.
  20. 김성식.오소희.정상수 (2018). 자료구조 수업에서 온라인 자동평가용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문제은행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4), 11-20.
  21. Sphere online judge, retrieved from http://spoj.com/ranks/languages (2020.6.14.).
  22. 최연희 (2001). 아동의 귀인유형과 학습된 무기력 자기효능감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3.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24. 정탁희 (1987). 수업 외 학습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 분석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