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Analysis

검색결과 1,134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입체도형 관련 지도 내용에 대한 분석과 비판 (An Analysis and Criticism on Subject Matter Related to Solid Figure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권석일;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221-23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2007 교육과정에 따른 <5-1>, <6-1> 교과서에서 특정한 입체도형을 다루기에 앞서 일반적인 입체도형을 도입하고 있다는 것, <5-1>, <6-1>, <6-2> 교과서에서 구체적인 물건으로부터 입체도형을 추상해 내는 과정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 입체도형 관련 지도 내용의 몇몇 정의가 일관적이지 않고 모호하다는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과서에서의 입체도형 관련 지도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의 지도 내용과 교육과정에서 규정하는 지도 내용을 일치시켜야 한다. 둘째, 초등교사에게 지도 내용의 범위를 지도서와 교육과정 해설서를 통해 상세히 알려줄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의 학년별 지도 내용을 재검토해야 한다. 넷째, 교과서의 상시 수정이 제도적으로 가능해야 한다.

  • PDF

7차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of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박종석;김재현;류해일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7-71
    • /
    • 2003
  •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7학년 과학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교과서의 개발과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탐구유형, 탐구과정, 탐구상황 등의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6개 출판사에서 발간된 과학교과서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7학년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탐구 유형이나 탐구 과정 요소 및 탐구 상황의 편중성이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탐구 활동으로 학생들을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과의 교육 목표에 부합되는 교과서 개발을 위해 탐구 활동을 검토하고 교과서 검정 기준에 탐구 활동의 평가틀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황사에 관한 환경교육 교재의 개발과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xt Book about the Asian Dust in the Elementary School)

  • 천종숙;문윤섭;허양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51-6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icate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in order to solve its problem and to improve attitude related to the Asian dust.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three groups who composed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had recognized the serositi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Asian dust form TV, and that such problem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of the desertification and the global warming. Especially the student group insist that the cause in Asian dust is due to the natural phenomena or industrialization. Second, as a result in analysis on the Asian dust through both textbooks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nd subsidiary textbooks, contents concerning Asian dusts was little or noting. In addition, in the subjects of Science, Society and Health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y were explained partially as one of the air pollutants. Third,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on the Asian dust was developed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The textbook is composed of four contents on the material which is harmful of the human health and life in Asian dust, the special news of Asian dust, and the best answer to solve Asian dust as well as the cause and the source of Asian dust. Forth, as a result in classes using the environmental textbook developed by four themes about the Asian dust, its application is meaningful in the level of p value in the view of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experiment group. They was more improved in 37%, 14%, and 15%, respectively,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textbook related to Asian dus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useful tool to understand the right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which makes an effort on its effective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 PDF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6th Grad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3-192
    • /
    • 2016
  •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 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학기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스토리텔링 자료가 제일 많았고, 기술공학, 자연과학, 사회 교과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문화, 체육, 음악, 미술 관련 교과 내용은 매우 적었다. 둘째, 학기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가 수학 6-1 교과서보다 61개가 많았으며, 스토리텔링을 제외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에서는 107개, 수학 6-1 교과서에서는 39개로 수학 6-2 교과서에서의 개수가 수학 6-1 교과서에서 보다 약 2.7배 많았다. 셋째,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는 수학 6-1 교과서에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이 부족한 단원들을 잘 보완하지 못했으나,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 6-2교과서에서 부족한 단원들을 비교적 잘 보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학 6-1, 6-2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서 수학이외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학기별로 차이가 심하므로 다양한 STEAM 자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교과서 분석 (A Textbook Analysis on History Domai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 김지원;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1013-1026
    • /
    • 2012
  •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s history education in particular. Thus the contents of the history section previously scattered through 3rd, 4th, 5th and 6th grades are now integ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the 5th grad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 to gain insights that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when making next social textbooks by analyzing social textbooks of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onclusions of comparative analysis on social textbooks of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re as follows: The textbook units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ere a reorganization of the contents from the 7th's 6th grade 1st semester contents per unit in a chronological flow. Meanwhile, the topic was introduced to supplement historic contents afres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life history, cultural history, personal history.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의복구성 분야 내용 분석 (The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n Clothing Construction Area in the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이경화;이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1274-1285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help the authorized textbooks on home economics be selected and used effectively, to provid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o suggest a next curriculum on home economics. In the study, eight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6th Curriculum developed by Ministrv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wide differences in degrees of diversity and accomplishment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comparison, it was unfolded that three areas, "family", "home resource management" and "consumer" ,occupied much larger portions than other areas. About 81 percent of the author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professors. A contents analysis on the clothing area showed that every textbook includes costume culture, clothing materials, clothing maintenance, and clothing construction. The presentation coverages and relative difficulties of textbooks were, however, diverse. It is somewhat noticeable that, while fewer professors majoring in clothing construction participated in writing, generally more pages were allocated to clothing construction than other areas. While presentations on anthropometrics method, construction theory, draft theory, usage of sewing machine and fitting theory were insufficient most textbooks were dealing with drafting of basic slopers and sewing procedure, etc. Making-up techniques on the apparels items such as Korean traditional men's pants, pajamas, shirt vest skirt, pants, apron and Korean pouch were handled closely in each textbook.

전문계 고등학교의 현행 공업입문 교과서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Introduction to Industry textbook for Technical High School)

  • 안성호;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4-8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 입문 4종 교과서의 내용 요소별 특징을 비교하여 각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보고, 그 분석된 데이터가 새로운 공업입문 교과서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궁극적으로는 현직교사는 물론 예비교사와 교육연구자들이 (ㄱ) 교과서 관련 교안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ㄷ)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문제 출제와 (ㄷ) 전공과 연계성을 갖는 차기 공업입문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좋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주로 사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로서 현행4 종의 공업입문 교과서를 비롯하여 관련 문헌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비교된 모든 교과서는 대체적으로 교과서 집필 안을 준수하고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면에서는 집필 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원이 균형 있게 배분이 잘 되어 있는 교과서가 있는 반면에, 단원의 비중이 너무 편중되어 있는 교과서가 있기도 하였다. 또한 보충적 자료, 평가적 자료, 시각적 자료 등에 대한 배분에 있어서도 교과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교과서와 관련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경향은 각 교과서가 비슷한 정도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한 가지의 교과서만으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여 공부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므로 교사는 모든 종류의 교과서를 이해하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교과서 외의 다른 교과서 내용도 추가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개선과 편찬 상의 이슈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국정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mprovement and Compilation Issu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Government Published)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11-431
    • /
    • 2022
  •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국정 교과용 도서 편찬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교과용 도서 편찬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2015 개정 초등 수학 국정 교과서 편찬은 전국의 학계와 학교 현장 전문가들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편찬 시스템을 갖추고 운영되었다. 내용상의 개선 사항으로는 기초 계산 능력 강화를 위한 단원과 차시를 증대하고, 수학 개념과 원리 도입 방식이나 알고리즘 제시 방식 개선 및 내용 간의 내적 연결성을 강화하였다. 학생들에게 이해가 어려운 내용은 상위 학기나 상위 학년으로 이동 배치하여 학습 시기를 조정하였다. 1~2학년군에서는 학생들의 한글수준에 맞게 읽을 분량을 대폭 축소하고, 문장과 어휘 개선 및 지시문을 간결하게 수정하였다. 편집·디자인 개선 사항으로는 단원별 도입 차시의 삽화와 차시별 맥락 그림을 세밀화로 연계하여 제시하였고,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전 학년군에 걸쳐 일관성있게 제시하였다. 편찬 과정에서 교과서의 문장과 어휘 수준, 교과서 분량, 수학 익힘 문제 난이도 등 이슈가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른 교과서 편찬 개선 노력과 그 결과를 조망하였다. 위와 같이 전반적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국정 교과서 및 검정 교과서 등 편찬을 위해 학생과 교사를 위한 교과서 편찬 개선 방안과 편찬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물리 I 교과서의 '정보와 통신' 단원에 제시된 시각화 자료의 인포그래픽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Infographics Featur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Se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Physics I Textbook)

  • 노상미;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9-366
    • /
    • 2014
  • 본 연구는 물리 I 교과서에 사용한 시각화 자료들을 인포그래픽 차원의 체계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포그래픽 분석틀을 개발한 후, '정보와 통신' 단원에 제시된 시각화 자료들을 '데이터 시각화'와 '인포그래픽'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포그래픽 분석틀은 정보내용, 시각표현, 매체형식으로 구분된다. 둘째, 물리 I 교과서의 '정보와 통신' 단원에 나타난 시각화 자료들은 정보를 단순 도식화한 자료가 가장 많았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화 자료들의 특징을 '정보내용' 면에서는 관계와 기능에 관련된 내용이, '시각표현 요소' 면에서는 문자나 메타포가, '시각표현 유형' 면에서는 일러스트형과 비교분석형이, '시각표현 방식'은 그래픽이, '매체형식'은 인쇄가, '시선의 흐름'에서는 수평형과 수직형이 많았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로부터, 물리 I 교과서의 '정보와 통신' 단원은 시각화 자료를 많이 사용하지만, 단순 도식자료만을 제시할 뿐 풍부한 인포그래픽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인포그래픽 분석틀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과학교육에서도 인포그래픽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고등학교 영어 I 교과서 삽화 분석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 of English I in the High School)

  • 김하경;박치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622-633
    • /
    • 2014
  •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3년부터 적용된 고등학교 영어I 교과서에 실린 삽화의 문화권 표현의 특징, 내용과의 관련성 및 외형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함으로 삽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보다 더 좋은 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삽화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들을 분류하여 4가지의 분석 기준을 고안하였고, 그 내용은 삽화에 나타난 문화권 표현, 삽화의 표현유형, 삽화의 표현기법, 삽화의 언어의 기능별 제시로 구분하였다. 설문 내용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삽화와 교과내용과의 관련성, 삽화의 배치와 구성, 학습자의 학습 흥미도와 인지적 측면, 교수 및 학습 용이성, 언어의 기능과의 연계성으로 제작하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삽화에의 친숙성, 흥미도, 학습 용이성, 선호하는 표현기법과 표현재료로 제작하였다.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교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수 및 학습 용이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삽화개발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