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 Mot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7초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Robot and Scratch-based Programming

  • Lee, Young-Dae;Kang, Jeong-Jin;Lee, Kee-Young;Lee, Jun;Seo, Yo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2호
    • /
    • pp.8-17
    • /
    • 2016
  • Scratch-based programming has come to be known as an effective programming tool because of its graphic instruction modules, which are designed to be assembled like the famous LEGO building blocks. These building block-like structures allow users to more easily program applications without using other more difficult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C or Java, which are text-based. Therefore, it poses a good opportunity for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especially in primary schools.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approach to developing an educational robot for use in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we present the method for scratch programming based on the external modules need for the implementation of robot motion. Lastly, we design a systematic curriculum, titled "Play with a Robot," and propose guidelines to using the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Scratch.

Emotional Communication on Interactive Typography System

  • Lim, Soo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2호
    • /
    • pp.41-44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developing expressive typography authoring tools with personal emotions. Our goal is to implement an interactive typography system that does not rely on any particular language and provides an easy, natural user interface and allows for immediate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we converted the text data entered by a user to image data. The image data was then used for interaction with the user. The data was synchronized with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epth camera. We decomposed the characters using the formality of language to provide a typographical movement that responds more dynamically to the user's motion. Thus, this system provides interaction as a unit of characters rather than as a whole character, allowing the user to have emotional and aesthetic emotional immersion into his or her creation.

Flow of casson nanofluid along permeable exponentially stretching cylinder: Variation of mass concentration profile

  • Iqbal, Waheed;Jalil, Mudassar;Khadimallah, Mohamed A.;Hussain, Muzamal;Naeem, Muhammad N.;Naim, Abdullah F. Al;Mahmoud, S.R.;Tounsi, Abdelouahed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8권1호
    • /
    • pp.33-45
    • /
    • 2021
  • The Runge-Kutta method of 6th-order has been employed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flow of Casson nanofluid along permeable exponentially stretching cylinder. The modeled PDEs are changed into nonlinear ODEs through appropriate nonlinear transformations. The aim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parameters such as Casson fluid parameter, slip parameter, suction parameter, Prandtl number, Lewis number, Brownian motion parameter, and thermophoresis parameter, with the variation of mass concentration profile. Numerical results are attained using a renowned numerical scheme shooting technique and for the authenticity of present methodlogy, the results are verified with earlier open text.

웹기반 청각장애인용 수화 웹페이지 제작 시스템 (Web-based Text-To-Sign Language Translating System)

  • 박성욱;왕보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65-270
    • /
    • 2014
  •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청각장애인은 소리를 표시하는 글자를 익히고 복잡한 개념을 전달하는 글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표정, 몸짓, 손짓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수화가 청각장애인들의 주요 의사소통수단으로 자리잡아왔지만 사회에서는 글과 말이 주요 정보전달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어 청각장애인이 정보에 접근하고 지식을 넓혀 직업을 갖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특히 근래에 인터넷이 보편화됨에 따라 정상인의 정보 습득량은 크게 늘었지만, 글로 표현된 인터넷을 이해하기 어려운 청각장인들은 인터넷 정보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웹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는 수화 웹페이지 제작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화 웹페이지 제작 시스템은 청각장애인용 수화 웹페이지 제작자가 통상적인 인터넷 사용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만 갖추면 운영할 수 있도록 웹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수화용 웹 페이지 제작자는 게시판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변역하고자하는 문장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문장을 수화로 번역하여 3D 아바타 기반의 수화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랜더링한다. 수화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MP4 형식의 동영상으로 변환되며, 스트리밍 서버의 저장소에 보관된다. 저장된 수화 동영상의 이름과 주소는 수화 웹페이지 제작자가 처음 문장을 입력하였던 게시판에 표시되도록 하여 향후 청각장애인용 웹 페이지를 제작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웹페이지 제작자가 공공기관의 웹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이들 기관에서 현재 사용된 글들을 수화로 번역할 때 필요한 수화 단어를 수화 웹페이지 제작 시스템의 수화 사전에 추가하였다. 수화 단어를 추가함으로써 웹기반 수화 웹페이지 제작 시스템이 공공부문에 보다 더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수화 번역 시스템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Koran 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 권경혁;우요섭;민홍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756-765
    • /
    • 2000
  • In this paper, a korean 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to learn letters and to have a conversation with normal people. We adopt the direct method for machine translation which uses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 dictionary search. And we define the necessary sign language dictionaries. Based on this processes, the system translate korean sentences to sign language moving picture. The proposed dictionaries are composed of the basic sign language dictionary, the compound sing language dictionary, and the resemble sign language dictionary. The basic sign language dictionary includes basic symbols and moving pictures of korean sign language. The compound sing language dictionary is composed of key-words of basic sign language. In addition, we offered the similar letters at the resemble sign language dictionary. The moving pictures of searched sign symbols are displayed on a screen in GIF formats by continuous motion of sign symbols or represented by the finger spelling based on the korean code analysis.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quick sign language search and complement the lack of sign languages in the translation process by using the various sign language dictionaries which are characterized as korean sign language. In addition, to represent the sign language using GIF makes it possible to save the storage space of the sign language. In addition, to represent the sign language using GIF makes it possible to save storage space of the sign language dictionary.

  • PDF

Google ML Kit를 이용한 요가 자세 훈련 애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Yoga Posture Training Application Using Google ML Kit)

  • 김형민;윤종현;박수현;유윤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8-180
    • /
    • 2022
  • 본 논문은 Java 기반의 Firebase용 ML Kit로부터 구한 요가 강사의 요가 자세의 랜드마크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가 자세 훈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소개한다. ML Kit를 이용해 사용자의 자세를 분류하고 각 관절에 해당하는 랜드마크를 구한다. 구해진 랜드마크의 관절들이 이루는 각도를 통해 요가 자세에 대한 정확도 측정 기준값을 설정한다. 전문 요가 강사의 요가 자세에 대한 기준 랜드마크와 ML Kit를 통한 사용자의 포즈에 대한 랜드마크 사이의 정확도를 비교한다. 정확도 기준값에 따라서 오동작과 정동작 정보를 TTS(Text-to-Speech)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Firebase로 효과적인 사용자관리를 하고, 사용자 요가 자세가 정확도 기준값에 부합하는 운동을 했을 경우에 카운터와 타이머를 통해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 PDF

정상발과 평발에서의 목말밑 관절가동범위와 등쪽굽힘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Subtalar Joint Range of Motion and Dorsiflexor Muscle Activity Between Normal and Pes Planus Feet)

  • 고은경;정도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9-135
    • /
    • 2018
  • PURPOSE: The imbalance of pretibial muscles can be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pes planus. However, no study has yet compar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tibials anterior (TA) to that of the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lectromyographic (EMG) TA and EDL amplitude indexes (AIs) between normal and pes planus feet. METHODS: A total of 14 subjects with normal feet and 15 subjects with bilateral pes planu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A and EDL muscle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a wireless EMG system and the angles of ankle dorsiflexion and eversion of the subtalar joint were measured using a universal goniometer during active ankle dorsiflexion in the prone position. AI was calculated as follows: $\text{amplitude_{TA}-amplitude_{EDL}/(amplitude_{TA}+amplitude_{EDL})}/2{\times}100$. RESULTS: The AIs of the TA and ED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es planus feet than in normal feet (p<.05). The angle of subtalar evers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pes planus feet than in normal feet during active ankle dorsiflexon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gle of ankle dorsiflexion between normal feet and pes planus feet (p>.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A muscle activation was lower in pes planus feet than in normal feet, resulting from greater eversion range of motion during active ankle dorsiflexion. We suggest that the imbalance of ankle dorsiflexors must be considered in pes planus management.

괄사요법의 국내외 최신 임상 연구 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inical Research Trends in Gua Sha Therapy: A Scoping Review)

  • 정승원;최승관;조정호;한윤희;우현준;전병현;하원배;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38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inical research trends in Gua sha therapy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Methods We used six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to select clinical studies with an original text in English or Korean published after 2018. Results Finally, 55 studies were select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ccounted for the largest amount with 42 studies. Instrument 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was the most frequent term referring to Gua sha. Muscle shortening, limited range of motion, and plantar fasciitis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with six cases each. Additionally, there were two studies targeting symptoms other than the musculoskeletal system. Conclusion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s of Gua sha therapy on the back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hip joints, and research is needed on the possibility of their clinical use for diseases or symptoms other than thos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standards for the terminology of Gua sha and the types and methods of applied interventions are needed.

확장적 블록 정합 방법과 영역 보상법을 이용한 비디오 문자 영역 복원 방법 (A Method for Recovering Text Regions in Video using Extended Block Matching and Region Compensation)

  • 전병태;배영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11호
    • /
    • pp.767-774
    • /
    • 2002
  • 기존의 원영상 복원 기술은 주로 신호 처리 분야에서 영상의 형성(formation), 저장 및 통신상에서 발생되는 왜곡 현상을 복원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다. 원 영상 복원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블록 정합(block matching algorithm)을 이용한 원영상 복원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오 정합(incorrect matching)이 발생하기 쉽고, 오 정합 시 에러가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장면 전환이 2회 이상 발생될 경우 장면 전환 지점과 지점 사이의 복원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확장적 블록 정합 방법(EBMA: Extended Block Matching Algorithm)과 영역 보상법(Region compensation method)을 이용한 원영상 복원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원영상 복원에 사용하기 위하여 비디오 사전 정보(장면 전환 정보, 카메라 모션 정보, 캡션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캡션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캡션 문자의 구성 요소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비디오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복원의 방향성에 따라 문자의 구성 요소 단위로 확장적 블록 정합 방법과 영역 보상법을 이용하여 원영상 복원을 수행한다. 실험결과 확장적 블록 정합 방법은 빠른 물체의 움직임이나 복잡한 배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복원이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조할 원영상이 없이 원영상 복원을 수행하는 영역 보상법의 복원 결과 또한 좋음을 볼 수 있었다.

이미지와 텍스트 메시지의 통합 사용자 뷰를 제공하는 전자 우편 시스템 (E-mail System Providing Integrated User's View for the Message containing Image and Text)

  • 독고세준;이택균;이형우;윤성현;이성환;김창헌;김태윤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563-572
    • /
    • 1997
  • 전자 우편은 인터넷 정보 전달 서비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최근 인터넷 정보 서비스는 대부분 멀티미디어를 지원하고 있다 아. 따라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원하는 전자 우편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RFC 821/822 의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는 인터넷 메일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가 7bit ASCII텍스트만으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한 라인의 길이에도 제한이 있어서 사용자 요구를 충족하기에 부족하다.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은 RFC 822를 수정, 보완한 것으로서,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이타의 종류와 크기의 제한을 해결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IME의 표준을 따라 정보 전송 상의 제약을 해결한 전자 우편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구문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미디어로 구성된 메시지를 통합 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정보 전달의 명확성을 향상시켰다.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이 필요치 않고,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가시킨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앞으로도 동화상 및 음성 정보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보완하여, 통합 사용자 뷰를 제공하는 완전한 멀티미디어 전자 우편 시서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