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chloroethylen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7초

Pseudomonas putida BJ10의 Tetrachloroethylene (PCE) 분해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etrachloroethylene (PCE) Degradation by Pseudomonas putida BJ10)

  • 최명훈;김재수;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1-316
    • /
    • 2008
  • BTEX 분해능을 가진 BJ10세균을 이용하여 호기조건에서 toluene 첨가 시 tetrachloroethylene (PCE) 분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BJ10은 형태학적 특징, 생리 생화학적 특징,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및 지방산 분석 결과에 따라 Pseudomonas putida로 동정되었다. BJ10의 PCE 저농도 5 mg/L에서 PCE 분해 실험 결과(toluene 첨가 기질 농도 50mg/L, 균초기 접종농도 1.0g/L, 온도 $30^{\circ}C$, pH7 그리고 DO $3.0{\sim}4.2\;mg/L$), 10일간 52.8%의 분해 효율을 보였으며, PCE 분해 속도는 5.9 nmol/hr로 나타났다. 또한 BJ10의 PCE 고농도 100 mg/L에서 PCE 분해 실험 결과 (toluene 첨가 기질 농도 50 mg/L, 균 초기 접종 농도 1.0 g/L, 온도 $30^{\circ}C$, pH 7 그리고 DO $3.0{\sim}4.2\;mg/L$), 10일간 20.3%의 분해 효율을 보였으며, PCE 분해 속도는 46.0 nmol/hr로 나타났다. Toluene 첨가 농도에 따른 PCE 분해 효율 증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일한 배양 조건하에 10 mg/L의 PCE에 toluene ($5{\sim}200\;mg/L$)을 첨가하여 분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toluene 200 mg/L 첨가시 10일간 57.0%의 PCE가 분해되어 가장 높은 제거 효율을 보였다. 또한 PCE 5.5 mg/L(총 7.6 mg/L)를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동일조건하에서 PCE 분해를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8일 동안 63.0%의 PCE가 분해되었다. 이 때의 PCE 분해 속도는 13.5 nmol/hr로 초기의 분해속도(8.1 nmol/hr)보다 증가되었다.

과황산(persulfate) 산화반응을 이용한 염소계 화합물(TCE, PCE)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ulfate Oxidation to Remove Chlorinated Solvents (TCE/PCE))

  • 송경호;도시현;이홍균;조영훈;공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549-556
    • /
    • 2009
  • Trichloroethylene (TCE)와 tetrachloroethylene (PCE)은 주로 드라이클리닝 및 산업 세척액으로 쓰이는 염소계 화합물이며,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In situ chemical oxidation (ISCO)는 토양 및 지하수를 처리하는 기술로, 지표 아래에 존재하는 오염된 지역까지 산화제를 전달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술이다. ISCO에 사용되는 산화제 중 persulfate는 강력한 산화제인 sulfate 라디칼 (${SO_4}^{-{\cdot}}$)을 발생시켜 처리하는 기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TCE와 PCE의 분해에 persulfate 산화공정을 적용하여 초기 pH (3, 6, 9, 12), persulfate의 농도 (0.01, 0.05, 0.1, 0.3, 0.5 M), 초기오염물질농도 (10, 30, 50, 70, 100 mg/L)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초기 pH가 3 일 때, TCE와 PCE는 각각 93.2%와 89.3%로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낸 반면, 초기 pH가 12 일 때, TCE 55.0%와 PCE 31.2%로 가장 낮은 효율을 보여 pH가 높아질수록 처리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ersulfat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TCE/PCE의 처리효율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persulfate의 농도 (0.5 M)에서의 처리효율은 96.5% (TCE), 95.7% (PCE) 였다. 반면 초기오염농도가 높아질수록 처리효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가장 빠른 분해속도를 나타내는 조건은 pH 3, persulfate 농도 0.5 M, 그리고 오염물질 (TCE/PCE) 농도 10 mg/L이었고, 이때 구해진 1차 분해속도 상수 ($k_{obs}$)는 1.04 (TCE)와 1.31 (PCE) $h^{-1}$ 였다.

탈염소화 미생물 부착 혐기성 고정막 반응기에 의한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의 분해 (Degradation of Tetrachloroethylene (PCE) by a Dechlorinating Enrichment Culture Fixed in an Anaerobic Reactor)

  • 이태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3호
    • /
    • pp.49-55
    • /
    • 2004
  • 염화에틸렌 화합물에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고농도 (150mg/L)의 PCE를 cis-DCE까지 탈염소화하는 혼합미생물 농화 배양계 LYF-1을 구축하였다. LYF-1은 효모추출물, 펩톤, 포름산, 아세트산, 락트산, 피루브산, 시트르산, 석신산,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에탄올 등을 전자공여체로 이용하여 PCE를 탈염소화할 수 있었다. 한편, PCE를 대신할 수 있는 전자 수용체에 의한 PCE 탈염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NO$_3$$^{-}$와 NO$_2$$^{-}$는 PCE의 탈염소화반응을 완전히 저해하였으나, S$_2$O$_3$$^{-2}$ , SO$_3$$^{-2}$ 및 SO$_4$$^{-2}$ 는 PCE의 탈염소화반응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LYF-1 혼합미생물을 혐기성 고정생물막 반응기내의 세라믹 메디아에 부착하고, PCE의 유입부하율 변화에 따른 처리 효율을 조사한 결과, PCE의 부하율 0.13-0.78 $\mu$moles/L/hr의 범위 내에서 99% 이상의 PCE 탈염소화 효율을 보였으며, PCE 탈염소화 반응의 최종산물은 cis-DCE이었다.

물에함유된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광촉매 분해반응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hlorinated Hydrocarbons in Water)

  • 김경남;김동형;이태규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1-40
    • /
    • 1995
  • The degradation of aqueous chlorinated compounds such as trichloroethylene (TCE), tetrachloroethylene (PCE) and dichloroacetic acid (DCA) to $CO_2$ and HCl was accomplished in the presence of UV light and suspended TiO$_2$ slurries. The decomposition of chlorinated hydrocarbons at 253.7 m irradi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at 360 nm irradiation. Our results show that 253.7 nm irradiation alone can be used for decomposing some chlorinated hydrocarbons such as PCE and TCE.

  • PDF

DNA Single Strand Breaks of Perchloroethylene and Its Bio-degradation Products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in Mammalian Cell System

  • Jeon, Hee-Kyoung;Kim, Young-Seok;Sarma, Sailendra Nlath;Kim, Youn-Jung;Sang, Byoung-In;Ryu, Jae-Ch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2호
    • /
    • pp.99-105
    • /
    • 2005
  • Per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PCE), a dry cleaning and degreasing solvent, can enter ground-water through accidental leak or spills. PCE can be degraded to trichloroethylene (TCE), 1, 1-dichloroethylene (DCE) and vinyl chloride (VC) as potential bio-product. These compounds have been reported that they can cause clinical diseases and cytotoxicity. However, only a little genotoxic information of these compounds has been 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DNA single strand breaks of PCE, TCE, DCE and VC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comet assay) which is a sensitive, reliable and rapid method for DNA single strand breaks with mouse lymphoma L5178Y cells. From these results, $37.5\;{\mu}g/ml$ of PCE, $189\;{\mu}g/ml$ of TCE and $56.4\;{\mu}g/ml$ of DCE were revealed significant DNA damages in the ab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meaning direct-acting mutagen. And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41.5\;{\mu}g/ml$ of PCE, $328.7\;{\mu}g/ml$ of TCE and $949\;{\mu}g/ml$ of DCE were induced significant DNA damage. In the case of VC, it was revealed a significant DNA damage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Therefore, we suggest that chloroethylene compounds (PCE, TCE, DCE and VC) may be induced the DNA damage in a mammalian cell.

양이온 계면활성제 역미셀내로 단백질의 용해 (Protein Solubilization in Reverse Micelles of Cationic Surfactant)

  • 김영숙;노영태
    • KSBB Journal
    • /
    • 제5권3호
    • /
    • pp.215-221
    • /
    • 1990
  • 양이온 계변활성제의 역미셀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조건을 밝히기 위해서 분자량과 등전점이 다른 여러 단백질의 용해에 미치는 pH, 이온 및 강도, 계면활성제의 종류 등 system para-meter 틀에 대해 연구 검토하였다. 등전점이 낮은 pepSIn 은 pH 5-7 이상에서, 등전점이 높은 ribotluclease-a 나 lisozym$\xi$은 pH 11-12 이상에서 용해되어 단백질이 계면 활성제의 (+)전하와 반대전하언 (-)를 띠는 등전점 이상의 pH영역에서 용해가 가능하였다. KCI을 이용하여 이온강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단백질의 용해 정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친수성부분은 동일하나 소수성 무분이 다콘 양이온계면활성제 CTAB, DDAB, TOMAC 을 이용하여 역미셀제를 변화시켰을 때, 소수성 탄화수 소사슬이 3개 인 TOMAC(Wo=5) 이 탄화수소사슬이 1개인 CTAB(Wo=28)와 2개인 DDAB(Wo=7-12)에 비해 작은 역셀을 형성하여 낮은 용해 정도플 보였 다. 찬은 DDAB에 대해서도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W Wo가 달랐는데 benzene(Wo=7)에 비하여 t$\xi$trachloro-ethylene (Wo= 12)이 보다 큰 역미젤을 형성하고 용해 능력도 높았다.

  • PDF

업종별 유해성 유기물질의 확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Hazardous Organic Substances for Industrial Classification)

  • 박선구;김성수;고오석;정성웅;박준대;유승도;류재근;조현우
    • 분석과학
    • /
    • 제9권4호
    • /
    • pp.392-398
    • /
    • 1996
  • 광주천 유역내에 분포된 8개 업종 26개 배출원의 원폐수로부터 인간에게 유해한 11개의 유기화학물질 tetrachloroethylene, ethyl benzene, p-xylene, o-xylene, isopropyl benzene, n-propyl benzene, 1,2,4-trimethyl benzene, 1,3,5-trimethyl benzene, p-isopropyl toluene, see-butyl benzene, naphthalene을 액체-액체 추출법으로 분리하였다. 추출물 중 각 화합물들의 구조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GC/MS)를 사용하여 확인하였고, 표준시료와 비교함으로써 밝혔다.

  • PDF

토양의 휘발성 염화 탄화수소 화합물 증발 (Evaporation of Volatile Chlorinated Hydrocarbons in Soils)

  • 이준호;박갑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8-85
    • /
    • 2008
  • 독성 성질을 가진 휘발성 염소계 탄소수소류의 휘발특성에 대하여 실험실 규모의 토양컬럼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트점토성 토양과 사질성의 양질 토양 2개 컬럼으로부터 $12^{\circ}C$, $21^{\circ}C$의 각각 다른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총 10가지의 휘발성염소계 화학물질이 검출되었다. 1,1,1-tri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그리고 chloroform은 초기 농도대비 36.7~54.6% 제거되었고 carbon tetrachloride, 1,2-dichlorobenzene, tetrachloroethylene, 1,3-dichlorobenzene, dichlorobromethane 그리고 dibromochloromethane는 초기 농도대비 15.3~39.3% 제거되었으며 특히 bromoform 물질의 경우 초기 농도대비 10%이하의 가장 낮은 저감 비율이 보였다. 염소계 탄화수소류 초기 농도값, 토양 성상은 휘발량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그러나, 온도비교에서 $12^{\circ}C$보다 $21^{\circ}C$에서 저감비율이 더 높았다.

C. bifermentans DPH-1 균주로부터 정제한 테트라클로로에틸렌 (PCE) 분해효소의 제성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etrachloroethylene (PCE) Dehalogenase from Clostridium bifermentans DPH-1)

  • 장용철;정권;유영식;김민영;신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21
    • /
    • 2000
  • DEAE-Toyopearl 650S, Superdex pg-75, Poros HQ, Superdex H200의 각종 칼러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C.bifermentans DPH-1균주로부터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분해 효소를 정제했다. 이 PCE 분해효소 (PCE dehalogenase)는 PCE를 환원적 탈염소화 반응에 의해 시스디클로로에딜렌 (cis-1,2-dichloroethylene)에 전환 가능하여, 이 때의 Vmax 및 Km 치는 각각 73 nmol/h.mg protein, 12$\mu$M이었다. 본 PCE dehalogenase의 겔여과 분자량 Maker Kit를 이용한 분석결과(70kDa)는 SDS-PAGE에 나타난 분자량(35kDa)의 약 2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효소는 분자량 70kDa의 이량체(Homo dimer)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효소의 최적온도 및 pH는 각각 35$^{\circ}C$ 및 8.0 이었다. 또한 본 효소는 PCE외의 트리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에틸렌 이성체, 1,2-디클로로에템, 1,2-디클로로프로판, 1,1,2-트리클로로에탄에 대하여도 활성을 타나내었다. N-말단 아미노산 분석결과에서도 본 효소는 현재 알려진 PCE dehalogenase와 그 배열이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나 각종 유기염소 화합물의 분해능을 보유한 신종의 PCE 분해효소인 것이 확인되었다.

  • PDF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한 토양 유기오염물질 탈착특성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s Compounds in Soil by Microwave Heating)

  • 문경환;김덕찬
    • 환경위생공학
    • /
    • 제11권2호
    • /
    • pp.65-73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volitile organic compounds in soil, and the mechanism of desorption by bench scale microwave heating, Silt soil used for experiment and was impregnated with toluene, tetrachloroethylene, o-xylene and p-dichlorobenzene and the microwave treatment was conducted in a modified domestic microwave oven : 2450MHz, 700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moval efficiency was improved with increasing water contents and the soil temperature appeared to plateau period extending to 2-3minutes corresponds to the temperature a which steam distillation was expected. The value of removal rate constant (k) were calculated on dry and moisty silt soil, respectively, which showed linear with increasing microwave heating time. Therefore, addition of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the contaminated soil can efficiently enhance the ability of the soil to absorb microwave energy and promote the evaporation of the volitile contamin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