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Retest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5초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연구 (On the Tes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sabled's Motivation Scale for Rehabilitation)

  • 한혜숙;임난영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4-133
    • /
    • 2002
  • Purpose: to tes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sabled'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cale, which was developed in 2002. Method: An experimental version of the scale was distributed to a sample of 441 disabled with ages above 18 and below 80 years. The subjects of the test-retest were 60 disabled. Results: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test-retest and internal consistency. The overall fit of the factor model to the data was good. Correlation among the subscales revealed a simple pattern that, in general, provides support for the self-determination continuum and the construct validity. In testing concurrent, criterion-validi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scores for rehabilitation and the Health-Related Hardiness scor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scores for rehabilitation and the Learned Helplessness scores. Conclusion: The Disabled'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cale revealed a useful instrument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is sense, this instrumen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rehabilitative nursing for the disabled.

  • PD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ree software for the analysis of locomotor activity in mice

  • Hong, Yoo Rha;Moon, Eunso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63-69
    • /
    • 2018
  • Background: Kinovea software that tracking semi-automatically the motion in video screen has been used to study motion-related tasks in several studies. However, the validation of this software in open field test to assess locomotor activity have not been studied ye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oftware in analyzing locomotor activities. Methods: Thirty male Institute Cancer Research mice were subjec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examined by this software and the classical method were compared.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The validity of this software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is software showed good test-retest reliability (ICC=0.997, 95% confidence interval [CI]=0.975-0.994, p<0.001). This software also showed good inter-rater reliability (ICC=0.987, 95% CI=0.973-0.994, p<0.001). Furthermore, in three analyses for the validity of this softwar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wo method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0.928-0.972, p<0.001). In addition, this software showe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analysis locomotor activity according to time interval.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is software in analyzing drug-induced locomotor activity ha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software can be effectively used in animal study using the analysis of locomotor activity.

새로운 체전굴 측정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of Trunk-Hip Forward Flexion)

  • 이건범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45-257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타당성, 신뢰성, 객관성이 높은 체전굴 유연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으며, D여자 대학교의 스포츠학 전공 여대생 44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의 피검자로 참여하였다. 새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객관도 검사는 재검법의 평균 측정값을 사용하여 이원 혼합효과 모델에 의한 급내 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검사자별 1차와 2차의 급내 상관 계수는 L은 R = .994, Y는 R=.993, 1차와 2차 검사의 L과 Y검사자간 급내 상관 계수는 R = .985, R=.986으로 모두 상관도가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한 체전굴 측정 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Leighton-flexometer-tests의 원리를 이용한 Takei 의 flexometer를 준거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1차 검사와 2차 검사에서의 새로운 체전굴 유연성 측정 도구와 준거 검사 도구 측정값의 Pearson 적률 상관계수는 각각 r = .962와 r = .960로 1, 2차 검사 모두 아주 높은 상관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한 체전굴 검사는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가 매우 높고 실용적인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검사자간 신뢰도 연구 (A Study of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김경미;김가연;이승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21
    • /
    • 202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Children; SPS-C)의 안정성 확립을 위해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가진 만 3~5세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검사자간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가진 3~5세 아동 70명이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은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의 주 양육자 20명이 대상이었다. 초기평가 후 7~14일 내로 재평가를 실시하였고, 두 시점 간 관련성은 피어슨 상관계수를, 일치도는 급내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검사자 간 신뢰도 검증은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의 주 양육자, 부 양육자 각각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검사자 간의 일치도 확인은 급내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피어슨 상관계수 r=.914, 급내상관계수 ICC=.939로 높은 수준의 관련성과 일치도를 나타냈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 ICC=.727로 좋은 일치도를 나타냈으나 촉각 영역(ICC=.455)과 고유감각 영역(ICC=.439)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보통의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아동감각처리척도(SPS-C)는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검사자간 신뢰도가 검증되어 안정성 있는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임상적 사용을 위한 표준화 연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젊은 성인의 영양정보이해력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utrition literacy assessment tool for young adults)

  • 안석영;김보경;엄미향;박유경;계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175-189
    • /
    • 2020
  • 본 연구는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영양정보이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양정보이해력 평가를 위한 예비문항으로서 우선 7개 영역 65문항이 개발되었다. 작성된 예비문항을 영양전문가 5인에게 자문을 받아 불필요한 문항을 삭제하여 7개 영역 52문항으로 압축시켰다. 영양전문가 패널 20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Lawshe가 제안한 CVR값을 구하여 내용타당도 검증에 활용하였다. 평가도구 최종 항목으로서 총 6개 영역, 즉 식생활지침, 영양과 건강, 영양소, 다섯가지 식품군 (식품구성자전거), 영양표시, 질병 예방을 위한 영양관리를 포괄하는 30문항이 완성되었다. 이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서울과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211명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 (test-retest)를 실시하였으며, ICC값 (0.64-0.86)과 Cronbach's α 계수(0.83-0.90)를 산출한 결과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영양정보이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신뢰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검증되어, 젊은 성인의 다양한 수준의 영양정보이해력을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도구는 지역사회 영양중재 프로그램 계획 시 그리고 만성질환의 예방관리를 위한 영양교육을 위해 대상자의 영양정보이해력을 파악하는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CS QC 프로그램을 통한 건진 센터 종양검사의 결과보고 개선 (Improvement of the Result Related to Tumor Marker Test Through the OCS QC Program)

  • 백송란;김성호;유소연;김년옥;문형호;유선희;조시만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85-188
    • /
    • 2009
  • 목적 : 건진센터 종양 검사가 정상범위 내에서 재검기준이 명확히 설정되어 있지 않아 검사자마다 각자의 재검기준에 따라 재검을 시행함에 따라 재검상의 편차가 크고 일괄적이지 못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상치이하값에서의 재검기준을 마련하고 정상치이하인 값에서 trend 결과를 관리할 수 있는 본원 OCS QC (order communication system quality contro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진 센터 종양 검사의 결과보고오류에 개선을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9년 2월부터 3월까지 본원 건진 센터에서 종양 검사(AFP, CEA, CA19-9, CA125, PSA)를 실시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각 검사의 정상범위에서 Inter assay CV%를 구하여 screening 기준 값을 설정하였다. OCS QC program에 진료과, 대상 검사종목, screening 기준 값을 입력하여 기준 값에 벗어난 결과는 색깔에 반전을 주었다. 1차로 5가지종양 검사를 전 결과대비 ${\pm}$ 30% 기준을 벗어난 screening 건수를 구하였고 2차로 각각의 종양 검사에 대해 전 결과 대비 AFP는 ${\pm}$ 60%, CEA와 CA19-9는 ${\pm}$50%, CA125와 PSA는 ${\pm}$40%로 기준 값을 상향조정하여 screening 건수를 구하였으며 정상치 이하에서의 재검기준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1차 screening 건수 백분율은 30~40%의 결과를 얻었고, 2차 screening 건수 백분율은 AFP 26.1%, CEA 18.9%, CA19-9 17.3%, CA-125 18.7%, PSA 21.0%로 평균 20%의 screening 백분율을 얻었다. 정상치 이하에서의 재검기준은 AFP 5.0이하$\leftrightarrow$10.0이상, CEA 1.0이하$\leftrightarrow$3.0이상, 2.0이하$\leftrightarrow$4.0이상, CA19-9와 CA-125 10.0이하$\leftrightarrow$30.0이상, PSA 1.0이하$\leftrightarrow$2.0이상으로 정하였으며 평균 20.4%의 screening 백분율에 재검기준을 적용시켜 실제 재검사 건수를 얻었다. 2달 동안 재검사 건수는 AFP 0건, CEA 15건, CA19-9 3건, CA-125 2건, PSA 5건이었다. 결론 : OCS Q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적인 재검기준을 마련함으로 검사자간 재검 실시 편차의 감소가 있었고 정상치 이하 값에서 결과보고오류에 대해 개선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서 Space Balance 3D와 Tinetti Mobility Test를 이용한 균형 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Balance Evaluation using Space Balance 3D and Tinetti Mobility Tes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최지민;이종훈;하현근;김양구;김연희;배영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64-273
    • /
    • 2012
  •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화된 시각적 되먹임 균형 훈련 및 평가 장비인 space balance 3D와 기능적 검사인 tinetti mobility test (TMT)의 신뢰도 및 버그균형척도와의 동시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아급성 뇌졸중 환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에게 space balance 3D, TMT, 버그균형척도를 이용해 균형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간 신뢰도에서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은 중등도의 신뢰도를 보인반면,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동시타당도에서 TMT의 세가지 점수, 버그균형척도,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간에 각각 중등도의 유의한 (p<.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의 후좌측, 전좌측 방향과는 각각 유의한 (p<.05)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나머지 방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space balance 3D와 TMT의 균형 능력 평가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 평가는 한계점이 있었다.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powerment Scale for Woman with Breast Cancer)

  • 신선화;박효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13-62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evaluate empowerment in woman with breast cancer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initial items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The identified items were evaluated for content validity by experts, resulting in 3 factors and 48 preliminary items. Participants were 319 women with breast cancer recruited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iterion related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30 items and 3 factors. Factors, including 'intrapersonal factor' (14 items), 'interactional factor' (8 items), and 'behavioral factor' (8 items), were drawn up aft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fit of the final research model was very appropriate as shown by ${\chi}^2/df=1.86$, TLI=.90, CFI=.92, SRMR=.06, and RMSEA=.05. Criterion validity was evaluated by total correlation with the Cancer Empowerment Questionnaire .78. Cronbach's alpha for total items was .93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69.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cale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empowerment of women having breast cancer.

화학요법을 받는 급성백혈병 환자 자가보고형 구강점막염 사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tient Self-reported Daily Questionnaire on Oral Mucositis in Acute Leukemic Patients under Chemotherapy)

  • 최소은;김희승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48-156
    • /
    • 2010
  • Purpose: Oral mucositis (OM) is a serious consequence of chemotherapy that cancer patients must underg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tients self-reported daily questionnaires on OM, and the impact OM makes on daily functions. Method: To test the reliability of oral mucositis daily questionnaire (OMDQ),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strument (Cronbach's ${\alpha}$ and correlation between items)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analyzed. Criterion validity and discriminative validity were evaluated using WHO, oral assessment guide, and Nicolatou assessment tool. Forty-eight acute leukemic patients under chemothera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indicated sufficient internal consistency. Correlations of Mouth and throat soreness (MTS) and MTSActivity Limitations (MTS-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TS and MTS-AL scores on consecutive days were highly correlated (days13,14=.84-.96; test-retest reliability). OMDQ scale had high criterion validity and discriminative validity. Patients with more severe WHO OM grades had higher MTS mean scores. Conclusion: Oral mucositis in acute leukemic patients under going chemotherapy can be easily quantified by patient self-administered OMDQ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K-WLEIS))

  • 정하림;최희정;박명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611-620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K-WLE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60 nursing students using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test construct validity. Convergence validity was identified by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competency. Item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analyzed. Reliability was evaluate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eigen values ranged from 1.34 to 5.86 and 73.2% of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dequate model fit indices (χ2/df 1.89, RMSEA .07, GFI .89, CFI .95, and TLI .93) and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48 to .87). The average extracted variances (.71 to .79) and composite reliability (.80 to .87) validated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items. Test-retest reliability of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90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88. Conclusion: The K-WLEIS is an appropriate scale for measur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Korea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K-WLEIS will be used for nursing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