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estrial insec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홍천강 상류에 서식하는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의 식성 (Feeding Habit of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 from the Hongcheon River, Korea)

  • 최재석;이광열;장영수;박정호;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2006
  •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생곡리에서 2002년 4월부터 2003년 3월까지 하천의 상류수역에 서식하는 한국 특산종인 R. kumgangensis의 식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R. kumgangensis는 주로 Ephemeroptera, Diptera, Terrestrial insects와 Trichoptera를 섭식하는 식충성 어류로 밝혀졌다. 주요한 먹이생물은 깔다구류(Chironomus sp.)였다. 크기가 작은 개체군에서는 Diptera와 같은 작은 크기의 먹이를 섭식하고, 성장함에 따라 Ephemeroptera와 Terrestrial insects같은 크기가 큰 먹이로의 먹이 전환이 일어난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라 먹이항목의 상대적 비율이 변화한다.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육상곤충상 (Terrestrial Insect Fauna of Persimmon Plantation in Sangju Dried Persimmon Agricultural Area,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 차두원;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6-71
    • /
    • 2022
  • 본 연구는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육상곤충상을 파악하여 향후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수행되었다. 전체 출현한 육상곤충 종수는 7목 77과 177종 1,925개체이며 지역별 출현 종수는 내서면 서만2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 내서면 서만1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 외남면 소은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순으로 확인되었다. 경작지 특성상 노린재목, 딱정벌레목이 대상지 전역에 우세하였다. 특이종은 한국고유종 13종, 국가적색목록 취약종 2종·관심대상종 22종·미평가 42종, 생태계교란야생생물 2종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분석 결과 우점종은 큰검정뛰어장님노린재, 아우점종은 유채좁쌀바구미로 확인되었다. 종다양도는 1.1636-1.6022, 균등도는 0.6748-0.7611, 우점도는 0.2389-0.3252의 범위로 나타났다.

동물사료로서의 곤충의 잠재적 가치 (Insect, potential source of animal feed)

  • 박관호;김용순;구본우;김은선;박지영;지상윤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5권2호
    • /
    • pp.176-187
    • /
    • 2022
  • Because of human population growth, longer lifespans, and climate change, there is growing concern around world to produce enough food and feed. Insects are regarded as an alternative with high potential because the production of insects demands limited amounts of water and land, and they can add value to low-value by-products. Insects have high levels of crude protein, lipids and minerals. The relative amount of protein can vary substantially, with crude protein content ranging from 23% to 76%, depending on insect species.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is good and protein digestibility is high. Insect to be a significant sustainable source as a replacement of ingredients such as soya or fishmeal in the feeds of terrestrial livestock or fish.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nutritional value of insect in animal feed and challenges required to develop a sustainable, safe, and affordable insect farming industry.

모래하천에서 식생 침입에 대한 육상곤충 군집의 반응 (Response of Terrestrial Insect Community to the Vegetation Invasion at a Sand-Bed Stream)

  • 조건호;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1호
    • /
    • pp.44-53
    • /
    • 2017
  • 대표적 모래하천인 내성천의 사주에서 식생 정착에 대한 지면 서식 육상곤충의 생물상과 생물군집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나지 사주와 식생 사주에서 함정법으로 곤충을 채집하여 종조성, 종다양성, 기능특성군 및 생물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내성천에서 육상곤충은 나지사주에 식생이 정착함에 따라서 서식 곤충의 종다양성은 증가하였으나 서식 밀도는 감소하였다. 특히 나지 사주에서는 강변길앞잡이, 동양알락방울벌레 등의 사주 지표성 곤충이 서식하였다. 사주의 곤충군집은 사주 식생의 피도에 따라서 나지사주와 식생사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모래하천의 나지 사주의 먹이망은 쇄설물 - 쇄설물 섭식자와 청소자 - 주로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포식자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식생 사주 먹이망은 식물 - 흡즙 초식자와 저작 초식자 - 포식기생자와 포식자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모래하천에서 나지 사주에 식생에 정착함에 따라서 종다양성은 증가하고 초식 먹이사슬로 변화하고, 나지 사주에 특이적인 곤충상과 쇄설물 기반 먹이사슬이 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주남습지 지역의 육상 곤충상 (Terrestrial Insect Fauna of the Junam Wetlands Area in Korea)

  • 안수정;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1-129
    • /
    • 2012
  • 경남의 대표적 습지인 주남습지를 구성하는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와 인근의 인공 연꽃단지에서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육상 곤충상을 조사하고 군집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곳에서 총 12목 85과 268종, 5,730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종 수는 딱정벌레목 63종, 나비목 60종, 노린재목 37종 순이었다. 총 조사된 곤충 수에 대한 목별 개체수의 비율은 딱정벌레목 25.9%, 잠자리목 22.3%, 나비목과 메뚜기목이 각각 15.4%와 12.7% 이었다. 조사 저수지별로는 주남저수지에서 175종, 동판저수지에서 197종, 산남저수지에서 154종이 조사되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인공 연꽃단지에서는 86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4곳의 곤충상을 요약하면 딱정벌레목에서는 일본잎벌레, 잠자리목에서는 고추잠자리, 나비목에서는 네발나비가 우점종이었다. 조사 전(全) 기간에 대한 종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우점도 지수는 인공 연꽃단지가 0.25로 가장 높았고 주남저수지가 0.08로 가장 낮았다. 다양도 지수는 주남저수지가 4.48, 동판저수지가 4.44, 산남저수지가 4.28, 인공 연꽃단지가 3.87로 모두 높은 편이었다. 각 습지의 곤충상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의 유사도가 0.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 곳 저수지와 인공 연꽃단지의 유사도는 0.45~0.53으로 낮은 편이었다.

Comparison of terrestrial insect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 crabgrass (Digitaria ciliaris) community, Korea

  • Jeong Ho Hwang;Jong-Hak Y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4호
    • /
    • pp.250-260
    • /
    • 2023
  • Background: Crabgrass (Digitaria ciliaris, Poaceae) is a globally distributed weed, including in Afro-Eurasia, America, and Australia. As a highly gregarious plant, crabgrass is an important habitat for a diverse array of insects, and a potential habitat for agricultural pests. To compare the insect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 crabgrass community, insects were sampled using sweep sampling (100 sweeps per sample) at five sites, including Daejeon (Daejeon and Gap rivers), Anseong, Namhae, and Inje, with a focus on the Daejeon River. Results: A total of 5,888 individual insects belonging to eight orders, 42 families, and 115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five sites.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Hemiptera were the highest at all of the sites. In the present study, 73% of the insect population fed on D. ciliaris as a host plant. The dominant species in the D. ciliaris community was Laodelphax striatellus (Delphacidae), being ubiquitous at all the sites which showed a high abundance of rice pests in the communities and the suitability of D. ciliaris as an alternative host plant for them. The Shannon-Wiener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Inje on 17 September (2.88), and the Chao1-bc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the Gap River on 5 September (80). The sampling efficiency of 100 sweep samples (sample coverage) was calculated to be as high as 90%. The results of the samples taken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the Daejeon River show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decreased gradually over time, and the number of dominant species decreased sharply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Similarity analysis indicated that sampling dates that were closer together yielded sampled assemblages with higher faunal similarity. In addition, in each sampling, the difference in the minimum temperature during the two-week period prior to sampling and faunal similar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that could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insect diversity in D. ciliaris. The data can facilitate ecologic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grasslands generally, as well as identification of potential pests that may disperse from D. ciliaris communities to nearby farmland.

동강 일대의 육상 곤충 다양성에 관한 연구 (Terrestrial Insect Diversity of the Donggang River in Korea)

  • 박진영;박성준;차진열;박종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7-346
    • /
    • 2014
  • 본 년도 동강 유역 주간 육상곤충 2013 조사 결과 총 16목 117과 455종 3,001개체가 조사되었다. 분류군별 출현한 종수는 딱정벌레목 166종(36.48%), 노린재목 11종(24.0%), 나비목 68종(14.95%), 파리목 40종(8.79%), 벌목 28종(6.15%), 메뚜기목 18종(3.96%), 잠자리목 7종(1.54%), 기타 3.74%, 개체수는 딱정벌레목 996개체(33.2%), 노린재목 951개체(31.7%), 나비목 662개체(20.7%), 메뚜기목 155개체(5.2%), 파리목 100개체(3.3%), 벌목 87개체(2.9%), 잠자리목 30개체(1.0%), 기타 (2.0%). 그 중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 1종, 한국 적색목록 위급종(CR) 1종, 취약종(VU) 7종, 준위협종(NT) 2종이 조사되었다. 문헌에 비해 총 4목 33과 266종이 새로이 추가되어 동강의 주간 육상곤충은 총 17목 183과 1,737종을 보고한다.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의 곤충류 생물다양성 (Survey on the Insect Biodiversity in Nature Sabbatical Area of Unmunsan)

  • 이종욱;권현정;김창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6-332
    • /
    • 2009
  •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과 경남 밀양시 산내면 경계에 있는 운문산의 육상곤충류의 생태 조사의 결과 총 14목 151과 610속 756종이 채집되었다. U1에서 U4에 이르는 조사 지점에서 출현 분류군별 점유율은 나비목, 딱정벌레목, 벌목의 순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나비목이 252종으로 33.3%의 점유율을 보여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딱정벌레목이 182종으로 24.1%의 점유율을 보여 아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곤충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쌍꼬리부전나비(Spindasis takanonis (Matsumura))와 희귀종인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 Motschulsky)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Fine structure of the silk spinning system in the caddisworm, Hydatophylax nigrovittatus (Trichoptera: Limnephilidae)

  • Hyo-Jeong Kim;Yan Sun;Myung-Jin Moon
    • Applied Microscopy
    • /
    • 제50권
    • /
    • pp.16.1-16.11
    • /
    • 2020
  • Silk is produced by a variety of insects, but only silk made by terrestrial arthropods has been examined in detail. To fill the gap,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silk spinning system of aquatic insect. The larvae of caddis flies, Hydatophylax nigrovittatus produce silk through a pair of labial silk glands and use raw silk to protect themselves in the aquatic enviro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although silk fibers are made under aquatic conditions, the cellular silk production system is quite similar to that of terrestrial arthropods. Typically, silk production in caddisworm has been achieved by two independent processes in the silk glands. This includes the synthesis of silk fibroin in the posterior region, the production of adhesive glycoproteins in the anterior region, which are ultimately accumulated into functional silk dope and converted to a silk ribbon coated with gluey substances. At the cellular level, each substance of fibroin and glycoprotein is specifically synthesiz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then transported from the rough ER to the Golgi apparatus as transport vesicles, respectively. Thereafter, the secretory vesicles gradually increase in size by vesicular fusion, forming larger secretory granules containing specific proteins. It was found that these granules eventually migrate to the apical membrane and are exocytosed into the lumen by a mechanism of merocrine secretion.

DNA Barcoding of Aegista chejuensis and Plectotropis quelpartensis (Gastropoda: Stylommatophora: Camaenidae)

  • Kang-San Kim;Jun-Sang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9권4호
    • /
    • pp.295-299
    • /
    • 2023
  • Two land snails, Aegista chejuensis (Pilsbry and Hirase, 1908) and Plectotropis quelpartensis (Pilsbry and Hirase, 1908), are endemic to Korea and were collected from Hataedo and Jodo Islands in the Yellow Sea of South Korea, respectively. Many terrestrial snail habitats have been confirmed in Korea; however, their genetic sequences have rarely been reported. This study describes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COI) sequences of two specie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these two species and their congeners. As a result, there was no intra-species variation in both species A. chejuensis or P. quelpartensis. However, the inter-species variation was clear (10.3-31.5%). We provide photographs and a brief diagnosis for morphological ver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