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estial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7초

디지털 위성방송 지상 리피터용 고 이득 채널 증폭기 설계 (The Design of High Cain Channel Amplifier for Terrestial Repeater of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 이강훈;이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85-49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위성방송 지상 리피터에 적용하고자 고 이득 저 잡음특성을 갖는 소형 채널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채널증폭기를 설계함에 있어서 각각의 증폭 단에서의 잡음지수와 이득 및 안정도를 서로 절충하여 최적화 시켰다. 채널증폭기는 첫째 단에서 저 잡음특성을 나타내도록 임피던스를 정합시켰으며 둘째 단 이상에서는 균일한 이득과 고 안정 동작상태를 유지하고 최종 출력 단에서 고 이득특성을 나타내었다. 설계된 6단의 고 이득 저잡음특성을 나타내는 채널증폭기에 대하여 디지털 위성방송 지상주파수 11.7GHz∼12.7GHz의 대역에서 실험한 결과 68dB의 증폭이득과 2.4dB의 잡음지수를 나타내었으며 63dB의 동작범위를 나타내어 위성방송 지상리피터용 채널증폭기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상파 DMB 채널 재배치 방안에 따른 송수신환경 변화 분석 (Analysis of Receiving Environment Changes According to Channel Reallocation Method of Terrestrial DMB)

  • 김주석;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95-202
    • /
    • 2013
  • 무선 통신과 방송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해 다양한 통신, 방송 매체들이 등장하였고 이를 서비스하기 위한 주파수 자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DMB는 SFN 방송망을 구성하여 권역별로 하나의 통합 채널을 통해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어 주파수 사용효율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국내 DMB는 기존 아날로그 TV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TV와의 간섭문제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됨에 따라 간섭문제가 해결되었고, 이에 따라 주파수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지상파 DMB의 채널 재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DMB의 채널 재배치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송수신환경 변화를 모의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사진해석을 이용한 건물 및 도로시설물 정보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Information System for Building and Road Facility Using Photogrammetric Analysis)

  • 손덕재;이승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7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상사진, 항공사진 등 영상자료에 다양한 사진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수치지도를 생성하고 공간 및 속성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건물 및 도로시설물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사진 영상에 도해법을 적용하여 대상지역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취득하였으며, 다중사진촬영에 의하여 대상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였다. 또한, 소축척 항공사진을 이용한 대상물의 위치와 형태 등 공간정보의 추출이 가능하였으며, 건물 및 도로시설물 정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오대산 일대에 서식하는 열목어와 산천어의 식성 (Stomach Contents of the Manchurian Trout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River Salmon (Oncorhynchus masou masou) in the Odae Mountain)

  • 윤희남;김기동;전용락;이중효;박영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0-105
    • /
    • 2013
  • 강원도 오대산 일대에 서식하는 열목어와 산천어의 식성을 분석하기 위해 계방천과 양양남대천에서 2012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봄, 여름, 가을로 나누어 채집조사를 수행하였다. 열목어와 산천어의 소화관 내용물을 실내에서 분석한 결과, 열목어의 먹이생물 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5목 23과 39종과 육상곤충류 11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645개체(열목어 1개체 당 먹이생물 평균 36개체)로 나타났고, 먹이생물의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는 육 상곤충류 37.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인 날도래목(Trichoptera) 36.4%,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0.0%, 파리목(Diptera) 3.9%, 강도래목(Plecoptera) 2.7%, 연가시목(Gordea) 0.1%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산천어의 먹이생물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목 20과 33종과 거미류를 포함한 육상곤충류 6분류군으로 총 1,186개체(산천어 1개체당 먹이생물 평균 66개체)였으며, 먹이생물의 IRI (%)는 거미류를 포함한 육상곤충류 2.7%, 하루살이목 52.9%, 날도래목 27.9%, 파리목 9.4%, 강도래목 7.0%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열목어와 산천어 모두 육상곤충류와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을 두루 섭식하는 강한 육식성어류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유사한 서식환경을 선호하는 열목어와 산천어는 같은 시기에 같은 목의 먹이를 중요먹이로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먹이원 구성 종에 있어서는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상파 3D HDTV 전송을 위한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연구 (A Frame Structure of Modified ATSC Transmission Systems for Terrestial 3D HDTV Broadcasting)

  • 오종규;김준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803-8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정된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전송 시스템 [2]을 위한 시변다중경로채널에 강인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고 성능을 측정하였다.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 [2]은 기존 ATSC 전송 시스템[1]의 채널 부호화부를 수정하고, 변조 성상도를 증가 시키면서 적정한 수준의 TOV (Threshold of Visibility)에서의 전송 용량 증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증가된 전송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순수 데이터 전송률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시변다중경로채널에서 효율적으로 채널을 추정하고 복구하기 위해, ISI (Inter Symbol Interference)를 방지하기 위한 프레임 헤더의 보호구간에 알려진 PN (Pseudorandom Noise) 심벌을 삽입하였다. PN 심벌을 보호 구간에 이용할 경우 시간 영역에서 채널 임펄스 응답 (CIR: Channel Impulse Response)을 추정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보상을 가능케 하여 정확한 채널 추정 및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의 속도에 따른 다양한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존재하는 채널에 강인한 프레임 구조들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에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TU (Typical Urban)-6 채널에서의 SER (Symbol Error Rate) 성능을 측정하였다.

방송프로그램 보호신호에 기반한 지상파 방송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Terrestrial DTV Broadcasting Program Protection System based on Program Protection Information)

  • 추현곤;이주영;남제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92-204
    • /
    • 2010
  • 지상파DTV 방송프로그램의 온라인 상의 불법적인 배포가 활발하게 일어남에 따라, 지상파DTV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프로그램 보호신호(Program Protection Information: PPI)에 기반한 지상파 방송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방송프로그램에 포함된 PPI 정보의 재배포 조건에 따라, 방송프로그램을 암호화하여 녹화한 후, 암호화된 방송프로그램과 키 정보 및 프로그램보호신호를 하나의 패키징 파일로 구성하여 저장한다. 녹화된 방송프로그램의 사적복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도메인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도메인 등록 절차를 통해 복사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구현 결과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이 방송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사적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홈도메인 기반의 제한적인 배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지상파 3D HDTV 전송을 위한 확장된 ATSC 전송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xtended ATSC system for terrestial 3D HDTV broadcasting)

  • 오종규;신성수;전영곤;김준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79-181
    • /
    • 2010
  •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3D TV에 대한 연구가 영상 획득, 영상 압축, 그리고 영상 디스플레이 분야에 걸쳐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를 중심으로 표준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전송 기술을 사용하고 어떻게 채널을 할당하여 3D HDTV 지상파 방송을 가능토록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단일 지상파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기존 ATSC 전송 시스템 [1]을 확장하고 수정하여 전송 용량 증대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대한 기존 전송 표준의 요소기술을 유지하고자 하나 최대한의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하여 완벽한 역호환성은 유럽의 DVB-T2 시스템처럼 고려하지 않았다.

  • PDF

지상파 3D HDTV 전송을 위한 DVB-T2 시스템의 채널 부호의 연구 및 연판정 복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EC and Soft Decision Decoding of DVB-T2 Transmission System for Terrestial 3D HDTV Broadcasting)

  • 권경훈;임현호;허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8-27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유럽형 HDTV 방송 서비스인 DVB-T2 전송 시스템의 채널 부호군을 연구하고, 이 시스템의 외부 부호(Outer Code)로 쓰이는 BCH 부호의 경판정(Hard Decision)을 통한 복호를 연판정(Soft Decision)을 통한 복호로 수정함으로써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DVB-T2 전송시스템의 성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외부 부호(Outer Code)인 BCH 부호와 내부 부호(Inner Code)인 LDPC 부호의 조합을 연판정이 가능하고 복호하는 블록(Block)의 길이가 더 짧아진 BTC(Block Turbo Code)부호와 LDPC 부호와의 조합으로 바꿈으로써 기존의 DVB-T2 전송 시스템보다 블록 오류율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 PDF

도해법을 이용한 건물 및 도로시설물 정보추출 (Extraction of Building and Road Facility Information System Using Graphic Solution)

  • 손덕재;이승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5-5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건물 및 도로 등 각종 시설물에서 상세정보가 누락되거나 수정 및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치지도의 체계적인 구축이 요구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상사진영상에 도해법을 적용하여 대상지역의 현황도를 작성하고, 대상지역 시설물에 대한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빠른 시간에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어류피부의 조직학적 구조와 병변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he pathologic lesions of teleost skin)

  • 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9-164
    • /
    • 1992
  • 어류의 피부는 각종 환경성 저해인자에 대한 최외측 방어장벽으로써, 어체내의 생리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피부의 상태는 각종 질병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어류는 형태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수중의 환경에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 포유동물과는 또다른 다수의 어류 특이의 조직학적 소견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피부에서 일어나는 병리조직학적인 소견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가하기 위하여는 이러한 조직학적 특성을 잘 이해해 둘 필요성이 있다. 정상 환경하의 어류피부는 육상 고등동물에 비하여 한계적 장벽으로써 그 생리학적 요구에 보다 미묘히 적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의 적응상은 오히려 인공적인 사육시설이나, 수질의 오염등에 의하여 더욱 피부의 항상성은 쉽게 파괴될 수 있다. 피부색조의 변화, 궤양등과 같은 소견은 임상적으로 빈번히 접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가시적 병변이 유도되기 까지는 다양한 생리학적 또는 병리학적 반응이, 피부의 각층에서 일어날 수 있다. 지금까지, 경골어류의 피부에 대한 조직학적 정보를 기술한 참고서는 그 수에 있어 빈약할 뿐 아니라, 정보의 체력적 정리가 부족하다. 게다가, 병리조직학적 기술도 체계적인 실험적 연구에 의하기 보다는 임상 병리학적인 소견에 근거 기술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새로운 조직학적 정보를 기술하기 보다는, 지금까지 정설화된 피부에 대한 조직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의 일반을 모아 정리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