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 velocity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1초

중국·북유럽 운하와 한반도 대운하 건설 (The Canal of China·Northern Europe and the Pan-Korea Grand Waterway Development)

  • 박희두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7
    • /
    • 2011
  • 중국과 북유럽의 운하는 건설당시 시대상과 자연환경이 우리나라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매우 다르다. 우리나라 하천은 하상계수가 크고 중상류 하천들은 구배가 커서 주변지역으로부터 역과 토사가 하상에 유입·퇴적되어 유로를 변경하거나 수심을 낮게 한다. 이는 지속적인 준설작업을 필요로 하며 보와 갑문의 설치는 홍수 때 유수의 흐름을 지체시켜 범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지하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기존도시의 시설에 치명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 악화와 홍수시 수위상승을 유발하여 홍수 유발의 원인이 된다. 준설작업은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고 운하의 경제성 여부와 육상교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 문제, 운송비 절감과 이적(移積)비용과 종착지 비용 문제, 관광·레저 산업의 활성화와 과도한 개발비용 등의 문제가 있다. 운하가 아닌 단순한 관리와 정비 사업은 순차적으로 계획을 세워 추진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잡곡 선별을 위한 물성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for Miscellaneous Cereal Crops Sorting)

  • 김훈;이효재;한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54-360
    • /
    • 2020
  • 본 연구는 잡곡(조, 기장, 수수)의 물리적 특징 중 기하학적 특성, 산물밀도 및 종말속도를 함수율별로 분석하여 미곡가공시설의 선별 장치를 이용하여 잡곡의 선별의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 기장 및 수수의 초기함수율은 16.3, 19.8, 16.5 %(w.b.)로 나타났다. 잡곡은 5수준으로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잡곡의 기하학적 특성 중 원형율을 제외하고 단축, 장축 및 면적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식 실험모델로 모두 표현이 가능하였다. 산물밀도는 조 및 기장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수의 경우는 함수율과 무관하였다. 종말속도는 함수율이 높을수록 종말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식 실험모델로 표현이 가능하였다. 잡곡별 측정한 물리적 특성은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1차식 실험모델로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기존 미곡선별장치를 이용할 경우 종말속도를 이용하는 장치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기하하적 특성 및 산물밀도를 이용하는 공정은 잡곡에 따라 전용 공정의 설계가 별도로 필요하였다.

위치인식 이동정보서비스를 위한 프리패칭 방법론 (A Prefetching Scheme for Location-Aware Mobile Information Services)

  • 김문자;차우석;조인준;조기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6호
    • /
    • pp.831-838
    • /
    • 2001
  • 이동정보서비스는 휴대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생활현장에서 정보를 처리할 때 유용성을 제공코자 하는 서비스 패러다임을 말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이동성, 현장성으로 인하여 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현재 상황(context)에 적응적인 서비스 방법론은 매우 중요한 기술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동정보서비스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황 중에서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상황인식요소인 위치인식 이동정보서비스를 위한 프리패칭 방법론을 다룬다. 먼저 단말 혹은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상황인식에 활용하기 위하여 속도기반 이동모델을 채택한다.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근거로 하여 프리패칭의 대상정보를 선정하는 프리패칭 영역을 정의함으로써, 프리패칭되는 대상 정보의 수를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반면에 현재 상황에 최적인 정보서비스를 적응적으로 처리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제안된 프리패칭 방법론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효용성 관점에서 분석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론은 다른 이동정보서비스 상황인 서비스 요구시간, 단말 입출력장치, 네트워크 전송률 등의 활용에 개념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강우입자의 물리적 특성평가: 경기도 안성시 지역을 사례로 (Evaluat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aindrop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 김진관;양동윤;김민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9-57
    • /
    • 2010
  • 한반도 중부에서의 강우사상 동안의 강우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강우강도와 강우에너지와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09년 사이에 3회에 걸쳐 경기도 안성시 고삼저수지 인근에서 laser-optical disdrometer를 이용하여 강우입자의 크기와 종말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강우입자의 크기분포와 강우입자의 종말속도를 이용하여 강우강도와 강우운동에너지 함유량(KE, Jm-2mm-1)과의 관계와 강우강도와 운동에너지 소비율(KER, Jm-2h-1)의 관계를 각각 제안하였다. 그리고 tipping-bucket 강우계로 측정한 강우강도를 disdrometer 의 강우강도로 보정해주는 관계도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강우강도와 강우의 운동에너지와의 관계는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5분 강우강도가 최대 40mmh-1 아래인 경우에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강우의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고자 할 때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진입 비행체의 TAEM 구간 최적궤적 설계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제어 (Trajectory Optimization and the Control of a Re-entry Vehicle during TAEM Phas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김종훈;이대우;조겸래;민찬오;조성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0-358
    • /
    • 2009
  • 본 논문은 재진입 비행체의 TAEM 구간 유도와 제어에 관하여 기술 하였다. TAEM 구간은 공기의 밀도와 비행체의 속도의 범위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조건하에 TAEM 구간의 유도를 위한 궤적과 비행체의 상태값을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상태값은 7가지의 상태이며, 상태값은 Down-range, Cross-range, 비행체의 고도, 속도, 경로각, 방위각, 그리고 비행 거리이다. 최적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DID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재진입 비행체의 제어를 위하여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되먹임 선형화 제어법을 사용하였다. 비행체의 동역학 모델은 역전파 모델을 통하여 근사화 되고, 근사화된 동역학 모델과 지연된 제어 입력, 플랜트 출력으로부터 새로운 제어 입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앞서 최적화된 7가지의 상태값을 추종하는 결과를 보였다.

열처리 및 가열방식에 따른 Zr-2.5Nb 압력관의 수소지연균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layed Hydride Cracking in Zr-2.5Nb Pressure Tube with the Heating-up and Heat-treatment)

  • 나은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3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layed hydride cracking (DHC) of Zr-2.5Nb alloy. The DHC model has some defects: first, it cannot explain why the DHC velocity (DHCV) becomes constant regardless of an applied stress intensity factor, even though the stress gradient is affected by the applied stress intensity factor at the notch tip. Second, it cannot explain why the DHCV has a strong dependence on the method of approaching the test temperature by a cool-down or a heating-up, even under the same stress gradient, and third, it cannot predict any hydride size effect on the DHC velocity. The DHC tests were conducted on Zr-2.5Nb compact tension specimens with the test temperatures reached by a heating-up method and a cool-down method. Crack velocities were measured in hydrided specimens, which were cooled from solution-treatment temperatures at different rates by being furnace-cooled, water-quenched, and liquid nitrogen-quenched. The resulting hydride size, morphology, and distributions were examined by optical metallography. It was found that fast cooling rates, which produce very finely dispersed hydrides, result in higher crack growth rates. This different DHC behavior of the Zr-2.5Nb tube with the cooling rate after a homogenization treatment is due to the precipitation of the $\gamma$-hydrides only in the water-quenched Zr-2.5Nb tube. This experiment will provide supporting evidence that the terminal solid solubility of a dissolution (TSSD) of $\gamma$-hydrides is higher than that of $\delta$-hydrides.

균질 반도체의 과잉 잡음에 관한 해석적 식 (Analytical Formula of the Excess Noise in Homogeneous Semiconductors)

  • 박찬형;홍성민;민홍식;박영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9호
    • /
    • pp.8-13
    • /
    • 2008
  • 균일하게 도핑된 반도체에서, 분포된 확산 잡음원에 의해서 발생하는 단자잡음전류의 전력주파수밀도를 계산하였다. 고정된 전압에서 반도체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라, 또는 주어진 반도체에서 전류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AC 단락잡음전류는 열잡음 뿐만 아니라 과잉잡음을 보인다. 이 과잉잡음은 채널길이가 외인성 Debye 길이에 비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산탄잡음의 스펙트럼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유한한 주파수에서 속도요동 잡음원에 의한 외인성 반도체에서 발생하는 과잉잡음을 최초로 유도하였다. 유도된 과잉잡음 공식은 반도체 채널의 통과 시간, 유전 이완 시간, 속도 이완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라 단자잡음 전류와 캐리어 농도 요동이 결정됨을 명시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유도된 해석적 식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반도체 샘플 길이와 바이어스, 주파수에 따른 잡음 스펙트럼의 변화도를 계산하였다. 유도된 공식은 quasi-ballistic 수송현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노스케일 MOSFET의 잡음 발생 기제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Verification of the Theoretical Model for Analyzing Dynamic Behavior of the PIG from Actual Pigging

  • Kim, Dong-Kyu;Cho, Sung-Ho;Park, Seoung-Soo;Park, Yong-Woo;Yoo, Hui-Ryong;Nguyen, Tan-Tien;Kim, Sang-Bong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9호
    • /
    • pp.1349-1357
    • /
    • 2003
  • This paper deals with verification of the theoretical model for dynamic behavior of Pipeline Inspection Gauge (PIG) traveling through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 The dynamic behavior of the PIG depends on the differential pressure across its body. This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by injected gas flow behind the tail of the PIG and expelled gas flow in front of its nose. To analyze the dynamic behavior characteristics such as gas flow in pipeline, and the PIG position and velocity, not only the mathematical models are derived, but also the theoretical models must be certified by actual pigging experiment. But there is not any found results of research on the experimental certification for dynamic behavior of the PIG. The reason is why the fabrication of the PIG as well as, a field application are very difficult. In this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ed solution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MOC) was certified through field application. In-line inspection tool, 30" geometry PIG, was fabricated and actual pigging was carried out at the pipeline segment in Korea Gas Corporation (KOGAS) high pressure system, Incheon LT (LNG Terminal) -Namdong GS (Governor Station) line. Pigging is fulfilled successfully.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wit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erived mathematical models and the proposed computational schemes are effective for predicting the position and velocity of the PIG with a given operational conditions of pipeline.

곡물(穀物)의 공기선별(空氣選別)에 관(關)한 공기동력학적(空氣動力學的) 연구(硏究)(I) -수직풍동(垂直風胴)의 설계(設計)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erodynamic Study on Pneumatic Separation of Grains(I)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ertical Wind Tunnel-)

  • 이종호;조용진;김만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4권4호
    • /
    • pp.272-281
    • /
    • 1989
  • It is desirable for the vertical wind tunnel which can build uniform air flow across the vertical duct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grai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air velocity profile in the vertical duct is influenced by the various alternations of the elements of the wind tunnel, and to prepare design guidance of the vertical wind tunnel which can be used for investigating aerodynamic properties of grains. In addition, several tests were conducted to locate the test section which can be applicable for determining the terminal velocity of gr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1. The size and the location of the outlet of the plenum chamber should be determined such that the outlet air flow is less affected by the air flow and the back pressure by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2. The honeycomb was not helpful for attaining uniform air flow in case that the air flow profile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duct is serverely different from the ideal one. 3. Even though considerable pressure drop was resulted from the screens installed within the vertical duct, the screens were helpful for attaining uniform air flow in the duct. 4. It is desirable for the test section to be located at the position that not only the air flow of the duct is not disturbed by the distorted back pressure in the plenum chamber, but also less boundary layer is developed.

  • PDF

수근관증후군 진단을 위한 전기생리학적 척도들의 민감도 비교 (The Comparison of Sensitivities of Electrophysiological Parameters for the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 이규택;박수경;유창성;김종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2-215
    • /
    • 2005
  • Carpal tunnel syndrome (CTS) is the most common entrapment neuropathy in clinical practice, with a 0.1% life time risk in the general population. Conventional neurophysiological studies have been useful in the diagnosis of this condition, as have a number of more specialized procedures. Therefore, we evaluated the diagnostic sensitivities of several parameters in nerve conduction technique for CTS patients. We analyzed 100 patients (159 hands) who were diagnosed with CTS clinically and electrophysiolosically. Median motor and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ies (MCV and SCV) with wrist, palm, and finger stimulation were performed in traditional methods. Sensitivities of each test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o normal control data. The sensitivities of existing nerve conduction method were noted in terminal latency on median nerve, 2nd finger-wrist segment, 3rd finger-wrist segment, palm-wrist segment and distoproximal ratio, as 72.96%, 92.45%, 94.34%, 94.97%, and 97.48%, respectively. In the early course of CTS, sensory nerve conductions in the median nerve are more valuable than motor nerve conduction. Sensory nerve conductions are usually affected before motor nerve conductions in CTS. In this study, we detected that slowing of median SCV was the most frequent in the distoproximal rati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