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nal of China·Northern Europe and the Pan-Korea Grand Waterway Development

중국·북유럽 운하와 한반도 대운하 건설

  • PARK, Heuidoo (Dep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 박희두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02.28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canals of China·Northern Europ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in the phases of the times and physical environment as follows. As the coefficient of river regime is high and the slopes of river is high in our country, the sediments are much deposited on the floor and river channels are meandered and the depth of water are low. So we should dredge the river floor and should construct the dams and lock gates. These will cause streams to be late and to be flooded. The rising and falling of groundwater tables may be fatal to the buildings. The ecosystem will be ruined by water pollution and rising of water levels. We are concerned about the economy of the canals, the low velocity of the canals, reduction of the transportation cost, transshipment cost and terminal cost, tourism·leisure-typed waterway and extreme cost of waterway development. It is proper for us to put in good order and control waterway simply by means of annual schedule, not to construct canal.

중국과 북유럽의 운하는 건설당시 시대상과 자연환경이 우리나라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매우 다르다. 우리나라 하천은 하상계수가 크고 중상류 하천들은 구배가 커서 주변지역으로부터 역과 토사가 하상에 유입·퇴적되어 유로를 변경하거나 수심을 낮게 한다. 이는 지속적인 준설작업을 필요로 하며 보와 갑문의 설치는 홍수 때 유수의 흐름을 지체시켜 범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지하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기존도시의 시설에 치명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 악화와 홍수시 수위상승을 유발하여 홍수 유발의 원인이 된다. 준설작업은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고 운하의 경제성 여부와 육상교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 문제, 운송비 절감과 이적(移積)비용과 종착지 비용 문제, 관광·레저 산업의 활성화와 과도한 개발비용 등의 문제가 있다. 운하가 아닌 단순한 관리와 정비 사업은 순차적으로 계획을 세워 추진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