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mporary Space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1초

일시적 거주개념을 적용한 1인용 소형주택의 공간구축유형 및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Construction in Temporary Small-sized Housing for Single-person Household)

  • 김미경;송애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15-1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construction in temporary small-sized housing for single-person household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flexible lifestyle. A document research method and case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and classifi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dwelling spaces since 2000.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order to conform the concept of temporary dwelling for small-sized housing uni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construction we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1) 'Transporting' by wheel, rotation and vehicles, (2) 'Transforming' by adap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and folding unfolding, (3) 'Wearing Carrying' by inflatable and tented type.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wo types of space construction in temporary small-sized housing. The first was 'formal aspect' which was focused on the simplicity of shape, ease of deformation and lightweight of materials. And the second was 'functional aspect' which was focused on the complex space composition, the rapidity of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ease of movement and transport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bination of two types of the temporality will be more ideal in temporary small-sized housing planning rather than relying on just one type.

도시재생 전략으로서 일시적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orary Space Use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y)

  • 이도경;김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247-255
    • /
    • 2020
  • 현재 도시재생은 대부분 영구적이고 고정적인 계획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종합계획 특성상 주민들의 의견을 즉각적으로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시적 활용의 전략을 기반으로 유휴공간의 활용요소를 도출하여 주민 인식조사 및 선호도 조사와 전문가 중요도 분석을 비교하여 일시적 활용 기법을 적용한 유휴공간 활용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민은 대상지 특성상 노후화된 물리적 환경을 먼저 개선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전문가는 빠르게 도시의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일시적 활용의 특성을 담고 있는 활용방안을 중요도에 반영하여 그 순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일시적 활용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두 집단의 우선순위 차이를 세분화하여 한시적으로 테스트(Test)를 진행함으로써 최적의 활용방안을 도출하여 종합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일시적 활용 전략을 시행하고자 할 때 대상지 특성과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해 면밀한 사전조사와 이를 반영한 공간 활용 계획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임시공간의 사인 시스템 가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COVID-19 백신 접종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Availability of Sign System in Temporary Space -Focused on COVID-19 Vaccination Spaces-)

  • 이혁한;장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23-32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강원 춘천시 봄내체육관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접종 센터를 예방접종을 위한 임시공간 사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행사장을 위해 설계된 사인 시스템 이용자를 평가하였다. 임시공간의 간판체계는 일반 공간과 달리 공간이 한정된 일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공간정보와 간판디자인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적절히 배열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종이 사용설명서, 벽면 전광판, 바닥 면 경로 테이프 등이 백신 접종장 이용자를 위한 간판 시스템으로 제공 및 배치된다. 사용자 평가 결과 60세 이상 특정 사용자의 경우 공간과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문서(정보식별시스템)가 백신 접종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향후 임시공간에 사인 시스템을 구축할 때 설치 방법 및 제작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스페이스(Mobile Space)의 공간 구성 및 용법에 의한 일시적 거주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 노마드적 인식에 의한 이동, 접이, 모듈, 확장, 진화의 방법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of the Temporary dwelling space by the composition and use of the mobile Space - FA way of moving, folding, module, extension, evolution by aware of nomad -)

  • 김진숙;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06-11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welling space by attaching or inserting the mobile space unit to the fixed building by providing the temporary dwelling space for those suffering from flood disaster, natural disaster or solitary old people or the space and program that the completed building in the city can not provide such as temporary events in the bridge, passage space, walking space for the handicapped, stores located between street blocks, and plaza.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emporary dwelling space through the composition of space and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through the methods of movement, folding, module, expansion and evolution of mobile space. An attempt was made to apply the concept of ‘mobile space’ to the dwelling space not only with a focus on the freedom of variable and changeable physical movement but also with a focus on the existence of the nomad and the way of thinking that bleaks away from a given value system and code, creates a new value and continues to move to a new domai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mobile space’ has been developed in what form and method they have been applied and interpret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attempted to resolve the concepts of movement and mo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so that they might apply to the space of contemporary city. This study attempted to experiment this possibility using the mobile space unit and apply it.

재난재해에 대응 가능한 보급형 실내 임시주거시설의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Suppliable Indoor Temporary Housing Facility that is Possible for Disaster)

  • Ju, Jaeseong;Park, Mij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19-528
    • /
    • 2017
  • 국내에서도 홍수, 지진, 산사태, 화재 등의 다양한 재난재해로 인하여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대다수가 이재민 임시주거시설로 대피하고 있다. 그러나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내에서 개인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실내 임시주거시설의 배치와 성능에 관한 계획은 미비하다. 이에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내 거주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민안전처에서 지정한 1인당 최소 수용면적 $3.3m^2$로 실내 임시주거시설의 모듈을 구축, 모듈의 배치계획을 진행하였으며, 실내 임시주거시설의 형태, 재료, 성능에 대한 평가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하철역의 조립식 임시주거 시공 매뉴얼 개발 연구 (A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Manual for the Prefabricated Temporary Housing in Subway Stations)

  • 김은영;장순각;황은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5-52
    • /
    • 2015
  • Following natural disast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mporary housing through the rapid installation of mass-produced prefabricated housing. This study has developed a model construction manual for prefabricated temporary housing installable in underground spaces. First, the temporary housing prototype was drawn based on opinion poll results from earlier studies. $4.32m^2$ was calculated as the basic unit of the temporary housing living space for one person. Units included panel type, box type and mixed-type, for a variety of field conditions and scales. In order to enable space expansion and movement desirable to the user, the prototype was combination of panel and box types. The drawn prototype was utilized as the basic design template for producing prototypes and for the manual. Seco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subway stations as temporary housing was verified through the production of the prototype,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was summarized in the manual. The manual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a checklist to provide a guideline for users to build with prefab materials.

영향요소 분석에 의한 고층건축공사의 가설계획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emporary Facility Planning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 장명훈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64-173
    • /
    • 2002
  • 도심지 고층건축공사는 인접 건물과 도로에 의해 둘러 쌓여 있어 여유공간이 부족하고, 소음과 분진 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철저한 공사계획을 통해 여유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공사 지원시설을 적절히 사용하는 가설계획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층건축공사의 가설계획의 영향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가설계획의 대안 평가와 선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가설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대안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현장 관리자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대안 평가 및 선정 방법과 구현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BIM-BASED PLANNING OF TEMPORARY FACILITIES FOR CONCRETE CONSTRUCTION

  • Kyungki Kim;Jochen Teizer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6
    • /
    • 2013
  • Concrete construction requires utilization of many temporary facilities such as formwork, shoring, and scaffolding. Appropriate use of these temporary facilities greatly impacts the quality, cost, schedule, and safety of concrete construction. The current practice in design and planning of temporary facilities is often manual, error-prone, and re-active based on construction site layout, status, and progress in the field. Early design and planning of temporary facilities for concrete construction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echnology offers a potential solution. Although some commercially-available software exists that assists in the generation of temporary facility designs, the construction industry lacks tools that support detailed planning and design of many other temporary facilities. This research presents our early work in automating the design and planning of temporary facilities utilizing BIM. Algorithms were developed to automatically assess geometric conditions of work space to detect required temporary facilities and design them.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implemented in a test model. By automatically incorporating temporary facilities into BIM, more realistic construction models can be created with less effort and errors. Temporary facilities-loaded models can finally be used for communication, bill of materials, scheduling, etc. and as a benchmark for field installation of temporary formwork, shoring, and scaffolding systems.

  • PDF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재난 임시대피소의 특성 연구 -쓰촨성(四川省) 원촨(汶川)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Temporary Sheltering in Terms of Sustainable Design -Focused on the Case of the Wenchuan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 티엔휘;윤지영;왕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77-888
    • /
    • 2021
  • 본 연구는 2008년 원촨(汶川) 지진 이후 중국 정부가 이재민들을 위해 제공한 임시 집중 안치소와 텐트와 이동식 판자가옥 등 3가지의 임시대피소를 대상으로 그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소 중 12개 평가항목을 선정해 임시대피소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각각의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임시 집중 안치소와 텐트는 기반시설이 미비하고 위생상태가 나쁘며, 주거공간이 협소하고 개인 공간이 없어 기본 생활조차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동식 판자가옥은 건축비가 비싸고 건축자재가 친환경적이지 않고 농경지를 차지하며 자재가 재활용률이 낮으며 폐기물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3가지 임시대피소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우선 정부가 대피소 건설과 배치를 주도하고 이재민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는 바람에 임시 커뮤니티의 건설과 관리에 대한 참여 의욕이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다음으로 3가지 임시대피소가 모두 설계상 이재민들의 심리적 수요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으며, 특히 안전하고 위생적인 개인 공간에 대한 기본 요구를 전혀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3가지 임시 대피소의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임시 커뮤니티의 건설 및 관리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일시적 거주개념을 적용한 1인용 소형주거공간의 유형 및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Small-Sized Housing Unit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김미경;송애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1-23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small-sized housing unit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 document research method and case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and classifi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temporary dwelling spaces since 2000.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emporary and simplified dwelling spaces were developed by the concept of impermanenc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modern society. In order to conform the concept of temporary dwelling for small-sized housing uni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Transporting' by wheel and rotation and vehicles, 'Transforming' by adap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and folding unfolding, and 'Wearing Carrying' by inflatable and tented types. It attempted to resolve the concept of temporarity through the experiment so that they might apply to the space of contemporary 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