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 Distribution

검색결과 1,138건 처리시간 0.031초

시공간 대표성을 고려한 토양수분 모니터링 System의 구축 및 운영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Soil Moisture Monitoring System Considering Temporal and Spatial Features of Representation)

  • 김기훈;김상현;김형섭;김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73-82
    • /
    • 2005
  • 국내산지사면의 토양수분 시공간적 분포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토양수분 측정법을 개발하였다. 대상유역을 정밀 측량하여 수치고도모형을 구성한 다음 흐름분배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역측랑을 통한 대상 유역의 흐름분배 알고리즘의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이를 통한 공간적 변화의 대표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장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토양수분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이용하였다. 측정은 설마천 유역의 범륜사 우측사면에서 수행되었다. 강우사상에 의한 시공간적 토양수분의 변화 자료를 성공적으로 획득하였다. 획득된 토양수분자료는 측정시스템의 효용성과 사면유출의 과정에 대한 물리적인 과정을 나타낸다. 불연속적인 토양수분의 연직분포 양상은 사면 수문과정에서 선행흐름이나 대공극 흐름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GIS를 이용한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 Using GIS)

  • 조홍래;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23-234
    • /
    • 2006
  •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1997년부터 2004년 사이에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측정된 수질자료(chlorophyll-a, pH, DO, COD, S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ssolved inorganic phosphorous, salinity, temperature)에 대해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질자료는 공간상 모든 위치에 그 값이 존재하나, 실제 간의 수집은 고정관측 위치에서만 수행된다. 따라서 공간적으로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연안수질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관측 지점의 값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분석 기법인 IDW를 연안수질 측정자료에 적용하였으며, IDW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IDW 공간보간을 적용한 후, 전국 연안을 46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의 수질특성을 GIS 시각화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공간보간 및 GIS 기법이 다년간 광범위한 범위에서 수집된 수질 자료로부터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팬형분무의 주변조건에 따른 입자분포 변화 (The Droplet Size Distribution of Fan Spray at Different Surrounding Conditions)

  • 문석수;최재준;배충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7호
    • /
    • pp.611-619
    • /
    • 2007
  • In this study, the droplet size distribution of a slit injector at different surrounding conditions, such as air flow and fuel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Phase Doppler anemometry (PDA)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initial droplet size distribution and the effect of fuel temperature and air flow on droplet size distribution. The entrained air motion was also evaluated by the temporal velocity profile of droplets. When the air flow velocity increased, the small droplets were more entrained to the upper and central parts of the spray and this tendency was confirmed by plotting the temporal velocity profile of droplets. This entrainment of small droplets at high airflow velocities caused relatively small mean droplet size at upper and central parts of the spray and the large mean droplet size at downstream and edge of the spray, compared to that of low airflow velocities. The total mean droplet size, obtained by averaging the size of all droplets measured at all test locations, decreased when the high airflow velocities were applied. The increased fuel temperature, with an airflow velocity of 10m/s, caused reduced droplet size at all test locations. However, the decreased value of mean droplet size at high fuel temperatures was relatively higher at upper parts of the spray, compared to downstream, as a result of enhanced entrainment of small droplets to upper parts of the spray.

Analysis on the evolution of water resources situation in Qiandao Lake Basin from 1960 to 2020

  • DU Junkai;Qiu Yaqi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27
    • /
    • 2023
  • To analyze the evolution of water resources in Qiandao Lake Basin under the condition of climate change, a WEP-L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was established to simulate the water cycle process in the basin during 1960-2020. The Mann-Kendall non-parametric test method and Hurst index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inter-annual variation and annu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total water resources in the basin. The multi-scal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and evolution trend of water resources in Qiandao Lake Basin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1) The WEP-L model has good simulation results in the Qiandao Lake basin, and the Nash coefficient rate is above 0.83 in the periodic period and above 0.85 in the verification period. (2) The water yield coefficient of the whole basin ranges from 0.436 to 0.630. The annual average total water resource is 12.25 billion m3, equivalent to 1176.4mm of water depth. The annual distribution process shows a unimodal structure, and the water depth of each sub-basin ranges from 742 mm to 1266 mm,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is higher in the west and lower in the east. (3) The annual water resources series in the basin showed an insignificant upward trend, and the Hurst index was 0.86, indicating a continuous upward trend. From the perspective of monthly water resources, January and February increased significantly, the other months were not significant changes.

  • PDF

한국인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른 영어 리듬의 시간적 안정성 구현 (Relative Temporal Stability in English Speech Rhythm by Korean learners with low and high English Proficiency.)

  • 김희성;장영수;신지영;김기호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13-21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Korean learners with low (KL) and high (KH) English proficiency manifest English rhythm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temporal stability or temporal constraint of syllable. In this study, speech cycling task, repeating a short phrase with the series of beeps of same interval, was used to examine temporal distribution of stressed beats.

  • PDF

단시간강우의 수문학적 특성에 따른 시간분포 분석 (An Analysis of the Temporal Pattern according to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Short-Duration Rainfall)

  • 이정식;신창동;장진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57-6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수문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단시간강우의 시간분포를 분석하고, Huff의 무차원 누가곡선을 제시하였으며, 강우의 수문학적 특성은 지속기간, 강우의 발생원인(장마, 태풍, 집중호우, 전선형강우), 구간변화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도시지역의 단시간 강우의 최대강우강도는 전방위구간에서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강우발생원인별 분류에서도 전반적으로 전방위구간에서 최대강우강도가 발생하였으나 태풍의 경우에는 후방위구간에서 최대강우강도가 발생하였다. 셋째, Huff의 6구간 분석에서는 동일한 위치에 해당되는 제2구간에서 우세하였다. 넷째, 전기간 강우자료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의 무차원 누가곡선 및 특성변수와의 비교를 실시하여,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무차원 누가곡선의 위치 및 특성변수의 값에서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등록오차 분포특성을 이용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간 정밀 등록 (Fine Registration between Very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Using Registration Noise Distribution)

  • 한유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25-132
    • /
    • 2017
  • IKONOS, QuickBird, Kompsat-2 등 서로 다른 고해상도 광학 센서로 취득된 다중시기 영상은, 취득 당시의 센서 자세나 환경의 차이에 의해 영상 등록(image registration)을 수행한 이후에도 여전히 지역적인 지형 불일치가 존재한다. 등록오차(registration noise)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지형 불일치는 고해상도 다중시기 영상을 이용하여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다양한 활용분야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방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등록오차를 추출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면 결과적으로는 다중시기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공간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배적인 등록오차는 주로 영상 내 객체의 경계를 따라서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경계강도 영상을 이용하여 등록오차를 추출한다. 추출된 등록오차의 지역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고해상도 영상 간 지형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정밀 등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고해상도 다중시기 광학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지역을 구성한다. 등록오차 기반의 정밀 등록 기법 적용 결과와 수동으로 수행한 등록 결과와의 정량적/정성적 비교평가를 통해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꼭지점 좌표 벡터 크기값의 시간축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3차원 메쉬 시퀀스의 블라인드 워터마킹 (A Blind Watermarking for 3-D Mesh Sequence Using Temporal Wavelet Transform of Vertex Norms)

  • 김민수;조재원;;정호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3C호
    • /
    • pp.256-26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메쉬 시퀀스의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연결성 정보가 일정한 동형 메쉬 시퀀스의 각 꼭지점 좌표 벡터 크기 값을 시간축 웨이블릿 변환하고, 삽입하고자 하는 워터마크에 따라 고주파수(혹은 중간 주파수) 대역의 웨이블릿 계수의 확률 분포를 수정한다. 이 때, 저주파수 대역의 계수값을 참조하여 고주파수(혹은 중간 주파수 대역의 계수값을 복수개의 그룹(bin)으로 분할하고, 각 bin의 2차 모멘트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한 비트의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동형 메쉬 시퀀스의 경우 한 그룹에 속한 꼭지점 좌표 크기의 웨이블릿 계수값 또한 같은 그룹에 할당되며, 워터마크는 이 웨이블릿 계수에 삽입된다. 제안된 방법은 신호의 확률 분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호처리 변형에 강인할 뿐만 아니라, 워터마크 검출 시 원본이 없이도 삽입된 워터마크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신호처리 공격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제주지역 지표 오존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in Jeju Island)

  • 이기호;김대준;허철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7-387
    • /
    • 2004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over Jeju Island, one of the cleanest areas in Korea with low emissions of air pollutants. Ozone data are monitored at four sites in Jeju Island. These monitoring sites are located at two urban area(referred to Ido and Donghong), coastal area(Gosan site) and forest site(Chuna site). Ozone data has been routinely collected at these sites for the late four years. The patterns of seasonal cycle of ozone concentrations at all stations show the bimodal with the peaks on spring and autumn and a significant summer minimum. However, the patterns of diurnal variations at rural station, i.e., Gosan and Chuna sites are considerably different to those at urban stations such as Ido and Donghong sites. The patterns of $\DeltaO_3$ variations a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monthly mean ozone concentrations and $\DeltaO_3$ values are exceeded 30 ppb, at urban stations. This may be that urban stations are more influenced by local photochemical reactions rather than rural stations. In order to assess the potential role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ozone formation, the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radiation, temperature, and wind are monitored together with ozone concentrations at all stations. The relationship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to the corresponding ozone concentration are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Jeju Island. However, at Gosan and Donghong stations, when the sea breeze blew toward the station, the ozone concentration is considerably increased.

제주도 서쪽 연안에서 음향자원 조사를 이용한 저층 어군의 시.공간 분포 (Hydroacoustic Survey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Near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 강돈혁;임양재;이창원;유준택;명정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81-191
    • /
    • 2008
  • This study aims at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near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using hydroacoustic survey. A 200 kHz split beam transducer attached to a small towed body was used for all acoustic investigations. The received acoustic data were in situ acoustic target strength (TS, dB) for all pings and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NASC, $m^2/mile^2$) for 0.1 mile along 12 acoustic transects. Demersal fish aggregations are distributed around the coastal slope having 20 to 30 m depth throughout all seasons. The concentration is higher during the summer season. With regard spatial distribution, higher demersal fish aggregations have been detected near the West coast of Shinchang and especially near Chagwi-do. Pelagic fish aggregations were higher to the south of Chagwi-do during the spring season. Additionally, standing stock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from the NASC data, TS function, and length-weight function of dominant species was estimated as follows: 3.2 ton (CV 21.8%) in December 2006, 17.9 ton (CV 21.6%) in April 2007, 30.8 ton (CV 17.8%) in June 2007, and 22.5 ton (CV 24.2%) in October 2007. The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methods offers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spatiotemporal structure and estimate the biomass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in the coastal area. And the results can be made up limitations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net and diving for fisheries resources survey in coast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