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Engineering

검색결과 92,641건 처리시간 0.117초

창업가정신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업 멘토링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의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An Empirical Study on Moderating Effects of Corporate Mentoring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Satisfaction)

  • 정상철;김영진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9-136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기업 멘토링 기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연구를 통해 국내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만족도와의 직접적인 영향관계와 기업 멘토링을 조절효과로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에서는 부산, 경남지역의 선도대학 창업아이템사업화 수혜기업과 대학 창업동아리, 대학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일반 창업자 대상으로 설문지를 메일 또는 직접 방문으로 배포하여 250부 자료 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성, 타당성 분석을 하고 다중회귀 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업가정신에서 혁신성과 자율성만이 창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접적인 효과로는 창업가정신에서 자율성만이 창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때 기업 멘토링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자와 조직원이 모두 기업 문화가 경직되지 않는 환경에서 자유롭고 자율적으로 일을 계획하고 수행할 때만이 멘토의 멘토링을 잘 받아 들여서 창업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창업선도대학의 창업지원단과 같은 창업지원기관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STEAM 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using STEAM-based Smart Apps that support Children's Free play)

  • 문명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20-130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융합인재교육(STEAM)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문헌 및 자료수집, 현장조사를 통하여 유아의 자유놀이에 STEAM기반 스마트 앱을 활용하기 위한 내용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에 개발된 'Free Play' 앱을 설치하고 자유놀이 시작, 중간, 종료 단계에서 유아의 놀이에 대해 교사와 유아가 상호작용하는 교수전략이다. 이러한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핵심인 자유놀이 시간에 교사와 유아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전략이자 공학과 교육이 융합된 발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추후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앱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는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Volumetric analysis of mucous retention cysts in the maxillary sinu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Hung, Kuofeng;Hui, Liuling;Yeung, Andy Wai Kan;Wu, Yiqun;Hsung, Richard Tai-Chiu;Bornstein, Michael 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2호
    • /
    • pp.117-127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mucous retention cysts(MRCs) in the maxillary sinus and to analyze potential associations of MRCs with dentoalveolar pathologies. Materials and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exhibiting bilateral maxillary sinuses that were acquired from January 2016 to February 2019 were initially screened. A total of 227 scans(454 sinuses) that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The presence, location, and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diagnosed MRCs were evaluated on CBCT images using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The presence of MRCs was correlated with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age, sex, and dentoalveolar pathology.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factors with a potential impact on the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analyzed. Results: An MRC was present in 130 (28.6%) of the 454 sinuses. Most MRCs were located on the sinus walls and floor. The mean MRC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551.21±1368.04 mm3, 228.09±437.56 mm2, and 9.63±5.40 mm, respectively. Significantly more sinuses with associated endodontically treated teeth/periapical lesions were diagnosed with an MRC located on the sinus floor.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endodontic status exhibi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creased volume, surface, and diameter. Conclusion: Periapical lesions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and volume of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was found to be a useful tool for clinicians to analyze the size of MRCs before surgical interventions such as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음성 인식을 위한 개선된 평균 예측 LMS 필터를 이용한 DNN 기반의 강인한 음성 특징 추출 및 신호 잡음 제거 기법 (DNN based Robust Speech Feature Extraction and Signal Noise Removal Method Using Improved Average Prediction LMS Filter for Speech Recognition)

  • 오상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6
    • /
    • 2021
  • 음성 인식 분야에서 DNN이 적용됨에 따라 음성 인식의 이용이 증대되고 있으나 기존의 GMM 보다 병렬 훈련에 대한 계산의 양이 많아야 되며, 데이터의 양이 적으면 오버피팅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의 양이 작은 경우에도 강인한 음성 특징 추출과 음성 신호 잡음 제거에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음성 특징 추출은 음성에 대한 프레임 에너지의 차이와 음성 신호에 영향을 받는 영 교차율과 레벨 교차율을 적용하여 음성 에너지의 효율적 추출을 한다. 또한, 잡음 제거를 위해 음성 신호에 대한 검출에서 음성의 고유 특성을 유지하면서 음성 정보 손상이 적은 평균 예측 LMS 필터를 개선하여 음성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여 데이터양이 적은 경우의 문제를 해결한다. 개선된 LMS 필터는 입력 신호에 대한 활성 파라미터 임계치를 조정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에 대한 잡음을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프레임 에너지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한 결과 음성의 시작점의 오차율은 7%, 끝나는 점 오차율에서 11% 향상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지점부 상부슬래브에 PS강선 긴장된 강 박스거더교의 구조적 특성 분석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teel Box Girder Bridge being stressed the PS Steel Wires at the Upper Slab of the Intermediate Support)

  • 차태권;장일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7
    • /
    • 2021
  • 강 박스거더 교량의 연속지점부 바닥판은 상부플랜지와 합성되는 구조이며 장경간 교량에서는 지점부 바닥판에 인장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서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장경간 적용시 고정하중 및 활하중의 영향으로 슬래브의 교축방향 인장응력이 설계인장강도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이에 지점부 슬래브에 교축방향 철근을 추가하여 인장균열을 제어하고 추가의 압축응력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연속지점부 상부슬래브의 인장응력 구간에 PS강선 긴장으로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강 박스거더교의 구조계를 제안하였고, 이에 따른 구조적 성능을 유한요소해석과 실물시험체의 강선긴장 실험을 통해서 비교 검증하였다. PS강선 긴장을 통해 부모멘트부에 발생하는 슬래브의 인장응력 및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압축응력을 도입하면 기존 강 박스거더교에 비해 구조안전성 개선 및 내구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고정식 부력을 이용한 염도 및 수위 측정 방식에 대한 연구 (Salinity and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using fixed type buoyancy)

  • 양승영;변경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2020
  • 염전의 자동화 시스템 구성을 위해서는 증발지의 염도 및 수위 측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개의 고정된 부력체의 부력을 측정하여 함수의 염도 및 수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측정방식은 측정 장치가 함수에 잠기게 될 때 주부력체와 비교부력체의 부력을 측정하고, 두 부력의 합과 차를 통해 염도와 수위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다. 부력의 측정에 기계적인 움직임이 없어서 뻘이 포함된 염전의 환경에서 측정 오류와 유지보수가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염전의 증발지에서 원격으로 염도 및 수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는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여러 수준의 염도를 갖는 기준함수를 사용한 측정 실험을 통하여 염도 오차 0%, 수위 오차 2mm의 결과를 얻고, 제안된 염도 및 수위 측정 장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염도 및 수위 측정 장치를 활용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노동력 절감 및 작업 환경 개선과 생산성 증진이 기대된다.

가변성을 고려하는 VENTOS 기반 군집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VENTOS-Based Platoon Driving Simulations Considering Variability)

  • 김영재;홍장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2호
    • /
    • pp.45-56
    • /
    • 2021
  • 군집주행은 여러 대의 자율 주행 차량이 통신을 사용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하나의 군집을 이루어 주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군집주행 기술은 더 좁은 차량 간 간격을 유지하며 주행함으로써 도로의 통행량 증대, 에너지 소비 및 오염물질 배출 감소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군집주행의 좁은 차량 간 간격은 긴급한 사고 발생 시 대처를 더 어렵게 만들며, 이에 따라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군집주행의 안전성을 보장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특히 주행 중 나타날 수 있는 가변성은 군집주행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성은 발생 예측이 어렵고, 재현이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가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방지하는 안전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주행 중에 생겨날 수 있는 가변성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가변성을 고려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가변성을 핸들링할 수 있는 안전 대책을 고안, 적용하였으며, 또한 오픈소스 군집주행 시뮬레이터인 VENTOS를 확장하여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변성으로 인한 군집주행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전한 군집주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시하는 가변성 대응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은 군집주행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LID-DS 데이터 세트를 사용한 기계학습 알고리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Using LID-DS DataSet)

  • 박대경;류경준;신동일;신동규;박정찬;김진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3호
    • /
    • pp.91-98
    • /
    • 2021
  •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IT 인프라에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졌고 동시에 지능형 지속 공격(Advanced Persistent Threat)처럼 고도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점점 더 고도화되는 사이버 공격을 조기에 방어하거나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NIDS(Network-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관련 데이터 분석만으로는 빠르게 변형하는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HIDS(Host-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위와 같은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는데 침입 탐지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데이터 세트에서 결여된 스레드 정보, 메타 데이터 및 버퍼 데이터를 포함한 LID-DS(Leipzig Intrusion Detection-Data Set)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사용한 알고리즘은 Decision Tree, Naive Bayes, MLP(Multi-Layer Perceptron), Logistic Regression, LSTM(Long Short-Term Memory model),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사용했다. 평가를 위해 Accuracy, Precision, Recall, F1-Score 지표와 오류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LSTM 알고리즘의 정확성이 가장 높았다.

IFC를 이용한 IndoorGML 데이터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 Primal Space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ndoorGML Automatic Generation using IFC - Focus on Primal Space -)

  • 남상관;장한메;강혜영;최현상;이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23-633
    • /
    • 2020
  • 사람들이 실내공간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내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되어 있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데이터로부터 실내공간정보 국제표준 데이터인 IndoorGML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대표적인 BIM 데이터 자료인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 데이터를 IndoorGML로 변환하기 위하여 IFC 객체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IndoorGML로 변환이 필요한 객체들을 선별하였으며 실내공간의 표현과 내부통행에 제약을 주는 객체로 구분하였다. 또한 개발된 변환도구를 이용하여 빔서버(BIMserver) 깃헙(github)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셋 일부와 서울시립대학교 21세기관 IFC모델을 IndoorGML의 PrimalSpaceFeatures 데이터로 구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IFC 데이터를 IndoorGML로 변환한 결과 기하정보를 손실 없이 IndoorGML문서가 생성되었으며, IndoorGML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NavigableBoundary가 정확하게 생성되는 결과를 보였다. 추후, 다양한 형태의 IfcStair 객체를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프라이멀 스페이스(PrimalSpace) 데이터를 이용하여 듀얼 스페이스(DualSpace) 데이터인 MultiLayeredGraph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 후 증후군 변증진단 도구의 변증분류 조정과 진단의 간의 진단일치도 연구 (A Study on Aadjustment of the Patter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gnostic Tool for Climacteric and Postmenopausal Syndrome Pattern Identification (CaPSP) and Korean Medicine Doctors' Diagnosis)

  • 이인선;김종원;전수형;지규용;강창완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s: We studied for the adjustment of the patterns of 'The Diagnostic Tool for Climacteric and Postmenopausal Syndrome Pattern Identification (hereinafter CaPSPI)' (studyI)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aPSPI and Korean medicine doctors' diagnosis which was carried out without knowing the results of CaPSPI (studyII). Methods: The studyI followed the previous study method in 2018 (2018-3). The studyII was conducted from June 1, 2019 to July 10, 2020 with ◯◯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IRB's approval (2019-4). Doctors' diagnosis was conducted face-to-face with the subjects. Doctors' diagno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Kupperman's questionnaire,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hereinafter DSOM)' and four examinations (四診) records. The diagnosis was marked with 0 for 'no', 1 for 'somewhat', 2 for 'yes' and 3 for 'very yes'. The correlation between CaPSPI and the mean of doctors diagnostic scores were investigated statistically. Results: The studyI showed that heart-heat (心火) pattern was added. The Factor loading coefficient for heart-heat was 0.551 to 0.789, and the Cronbach's coefficient was 0.896. The studyII showed that the diagnosis (Kappa statistic) of two do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ordance (all eight patterns), with correlation of them were 0.3 or highe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PSPI score and the mean of doctors' diagnostic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ver qi depression (肝鬱) being the highest at 0.552 and dual deficiency of the heart-spleen (心脾兩虛) being the lowest at 0.301. Conclusions: Since the diagnosis results of CaPSPI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iagnosi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experts, it was believed that the CaPSPI results can be trusted and used for clinical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