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addic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3초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을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 for detecting game user's addiction)

  • 오성균;윤태복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3-30
    • /
    • 2018
  • ICT기술의 발달과 함께 게임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의 과도한 플레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 과몰입에 대한 진단과 대응 방안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게임 이용자의 게임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게임 과몰입을 진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과몰입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과몰입 및 선용 이용자를 분류하고, 실제 게임 환경에서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모델링하였다.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 및 선용군 모델은 새로운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지식으로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진단 결과에 따라 문자서비스, 리포팅 등의 서비스 방안도 제시하였다.

방사선 전공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elf-control by University Students of Radiology Major)

  • 황율흔;최지훈;정홍량;박해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4호
    • /
    • pp.345-349
    • /
    • 2018
  • The study analyzed questionnaires of 431 radiologists in the field of radiology for identifying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elf-control for college students using smartphon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ndard of living for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er for middle-income brackets, and that for girls, it was high for gender. Male students showed high self-control among men and women, while those who are not addicted to smartphones showed high levels of self-control among non-addicted peop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re gender and smartphone addiction (r=.221, p<.001)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nd self-control (r=-.371, p<.001)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niversity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rogram development and self-control ability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vention education.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Anger Coping Strategi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

  • Kim, Youn-Hw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83-91
    • /
    • 2018
  • In this paper, we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tion and anger coping strategies, focusing on 299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e found that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students' resilience and the resilience affects their anger-out and anger-in. It is also found that resilience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anger coping strategies. As for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s, their smartphone addi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anger-out and anger-in while that of student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ffects their resilience, and the resilience affect their anger-out and anger-in. The results suggest that a high-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ends to reduce resilience, which lowers anger moderation, and stress the need of intervention by school type.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based on its results and importance of further studies.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정도에 따른 주의력 조절, 대인관계 지지에 미치는 비교영향 분석 (Comparative Impact Analysis of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3-192
    • /
    • 2021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addiction on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Methods : 184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The smartphone self-diagnosis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 (ACQ)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In addition, th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Results : In comparison of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major, and grad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daily use time of smartphones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high risk, potential risk, general user group) (p <.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Conclusion :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users who used it for a long time per day were more addicted. It also showed that attention control was further reduced in highly addictive users.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성별 차이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관련 주요 요인 분석 (Analysis of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김해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5-14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Methods : 720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Smartphone addiction was measured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hort Version (SAS-SV),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xiety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anxiety scale (SAS),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depression scale (SDS). In addition, the age of each individual and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p<.05), while male students mainly played games and female students mainly used multimedia (video/music) viewing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p<.05). In addition, male students showed a high associ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in the group where games were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anxiety symptoms (p<.05), but for female students, multimedia (video/music) Or, the group in which social networking service is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p<.05).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customized solu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addicts.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적 배제감의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The mediation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 이성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1-30
    • /
    • 2023
  • 본 논문은 사회적 배제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조절곤란이 매개변인으로 기능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298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반적 사회적 배제감은 정서조절곤란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배제감의 하위 차원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후 정서조절곤란을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았다. 무시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부분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거절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배제감을 설정할 때 전반적인 요인으로 설정하는 것뿐 아니라 개별적인 요인으로 나누어서 접근하는 것도 의미가 있음을 말해준다.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Smartphone Addition on Stress and Resilience in University Students)

  • 김혜자;심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41-5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소재 4년제 대학생 241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6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r=.37,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r=.-25,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중 당면과제(r=.40, p<.001)와 대인관계(r=.25,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r=-.32, p<.001)과 대인관계능력(r=-.21,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업문제(${\beta}=.15$, p=.047)와 자기조절능력(${\beta}=-.21$, p=.007)으로 총 설명력($R^2$)은 22.1%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과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모로부터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인터넷 과의존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 최지현;정미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71-478
    • /
    • 2023
  •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인터넷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로부터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인터넷 과의존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년도 한국복지패널(KWPS)의 16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총 32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7.0과 Hayes(2013)의 Macro Process(model 4)를 활용하여 관련 변인 간의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부모로부터의 학대 및 방임은 청소년의 인터넷 과의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로부터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인터넷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행복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대학 신입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Freshman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 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87-295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신입생의 우울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신입생 21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와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은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기 효능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우울검사를 실시하여 우울 정도가 높은 학생들에게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낮은 전문 대학 신입생들은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개입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장애인 정보화교육에 따른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of Internet Addiction related to Disabled Person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 이성대;홍정아;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63-69
    • /
    • 2012
  •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장애인정보화 교육 대상자를 중심으로 인터넷 중독정도와, 사용시간에 따른 중독집단과 비중독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방문교육을 받고 있는 3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 사용자군에 해당하는 31점 미만인 경우가 4명으로 나타났고, 잠재적 위험 사용자I군에 해당하는 31~54점 사이인 경우가 25명, 잠재적 위험 사용자 II군에 해당하는 54~67점 사이인 경우는 1명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게임중독에 해당하는 67점 이상인 경우는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2.7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9명의 고위험군 집단과 그 이하에 해당되는 21명의 일반사용자 집단 간 충동성, 공격성을 알아 본 결과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장애인의 경우 이용시간의 증가가 곧 중독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볼 수도 있고, 기존의 비장애인의 삶의 형태에 맞춰진 게임중독 척도가 장애인의 중독검사에는 맞지 않아 나타난 결과일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