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chnology Cooperation

검색결과 4,835건 처리시간 0.035초

한.인도 소프트웨어산업기술협력: 협력기술과제 및 협력방안의 탐색 (Korea-India Software Industry Technological Cooperation: Projects a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 서상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73-70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인도 양국 간의 SW분야 기술협력 과제의 도출과 협력 전략방안 모색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SW산업의 특징과 시장규모, 양국 내에서의 산업현황, 그리고 기술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이른바 4P라고 불리는 연구자평가, 특허평가, 논문평가 및 제품평가 결과 양국 간 SW산업 우선협력기술과제로서 21개의 연구프로젝트를 선정하였다. 양국 간 협력 접근적 모색을 위해 그간의 산업기술 협력경험과 상호수요에 입각하여 소프트웨어 산업 기술 분야 인력교류의 활성화, 지식재산권관리 강화 및 협력기금의 조성 등이 제안되었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Online Service System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 Noh, Younghee;Chang, Ros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71-90
    • /
    • 2020
  • Recently, as the pandemic COVID-19 has been spread worldwide,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has come to the fore to overcome the crisis and develop treatments. Currently, in Korea, with the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Information Center operates an online service system for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as a venue for sharing results among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researchers and invigorating such research. However, since Korea's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is still poor, actively pursuing measure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diversity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deemed necessary.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systems were identified, and meas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were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esign of the system quality factors,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information quality factors, and professionalism of the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systems. Accordingly, further strengthening the aspects of design, accuracy, consistency, and professionalism was proposed as a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systems.

Empirical Analysis of Starting Salaries of College Graduates based on Their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 Mun-Su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101-109
    • /
    • 2023
  • Fifte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Innovation Promotion Act, which promoted 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for universities. Therefore, the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s industrial cooperation activities and the college graduates' starting salaries and provides policy suggestions on improving the direction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he study used nine-year panel data from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and found that starting salaries of college graduates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if the university only participated in basic 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quality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was higher, such as job search support, the starting salary of college graduates was hig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must focus on qualitative performances rather than quantitative approaches.

자원기반이론을 적용한 기술협력 네트워크에서 보호 메커니즘, 관계학습, 관계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afeguarding Mechanism, Relationship Learning,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in Technology Cooperation Network by Applying Resource Based Theory)

  • 강석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2호
    • /
    • pp.45-66
    • /
    • 2016
  • 기업들은 기술협력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로운 고급기술과 지식을 내부화시키고 활용함으로써 규모 및 범위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고,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파트너 기업과 위험과 비용을 분담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시장우위를 선점하거나 시장에서의 자사의 위치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이점에 근거하여 현재까지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일반적으로 기술협력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협력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들은 단지 경영성과에 관한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역할을 조명하는데 그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간과된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중간과정을 보호 메커니즘, 관계학습, 관계성과로 분류하고, 이를 자원기반이론의 일반적 구조인 자원, 역량, 성과에 각각 적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계특유투자와 관계자본은 역량으로서의 관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교환, 공동의 정보이해, 관계특유 기억개발은 관계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정보교환이 효율성과 효과성에 미치는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관계특유투자는 관계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효율성과 효과성은 장기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대칭적인 기술의존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협력 네트워크 관계에서 자원기반이론에 입각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보호 메커니즘, 관계학습, 관계성과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보호 메커니즘과 관계학습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협력 파트너와의 관계에서 기업의 어떠한 행동변화를 유발함으로써 관계성과에 도달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보호 메커니즘은 기술협력 파트너와의 관계학습을 통해 관계성과에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 PDF

기술환경의 불확실성,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관계특성 및 관계결속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among Uncertainty of Technological Environ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 Technology Cooperation Network, and Relationship Tie -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Located in Daegu-Gyeongbuk Regions -)

  • 강석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125-140
    • /
    • 2018
  • 중소기업들은 기술협력을 형성하여 새롭고 진보된 기술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 기술협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기술협력은 중소기업들이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기업특유의 자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협력의 중요성에 기인하여 많은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기술협력의 긍정적 영향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불확실한 기술환경, 관계특성(기술협력의 강도와 영향전략), 관계결속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한 기술환경은 기술협력의 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협력의 강도는 해당회사와 상대 파트너기업의 비강압적인 영향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협력 강도와 해당회사의 비강압적 영향전략은 관계결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대 파트너기업의 비강압적인 영향전략은 관계결속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결속에 대한 해당회사의 비강압적 영향전략의 긍정적 결과는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관계결속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대응방안의 중요성을 의미하고 있다.

대구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 분석: 기술역량의 조절효과 (Analysis for Impact of Individual Cooperation Activity o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in Daegu :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apability)

  • 강석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04-413
    • /
    • 2021
  • 중소기업은 기술력과 다양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외부기업이나 기관 등과의 기술개발 관련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데, 자원기반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의 협력 네트워크 형성은 해당기업이 보유한 또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논문은 대구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유형이 혁신활동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역량이 개별 협력 유형과 혁신성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활동 중에서 공동연구개발만이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역량이 우수할수록 개별 협력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은 제약된 자원에서 야기되는 성장의 걸림돌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동의 연구개발과 같이 하나의 자원을 형성하여 외부기업 및 기타 조직과 협력을 해야 한다는 것과 내부적으로 기술역량을 함양하여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독일과 한국의 해외 청정수소 확보를 위한 양자협력 전략 비교 분석: 지정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ermany and Korea's Bilateral Cooperation Strategy to Secure Overseas Clean Hydrogen: Focusing on the Geopolitical Perspective)

  • 전은진;우아미;박미라;정현덕;신현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470-498
    • /
    • 2022
  • Recently, the world has been considering hydrogen energy as the primary energy transition mean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Korea is also promoting a clean hydrogen economy.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clean hydrogen from overseas so that the projected demand can not meet the domestically produced. For this study, we conducted the policy comparison approach between countries other than the generally considered technical and economic approaches. The finding proposes the direction of bilateral cooperation for a strategy of securing overseas clean hydrogen from a geopolitical perspective. Germany was a target country for the policy comparison since it has a high proportion of manufacturing, like Korea, and is taking the lead in the renewable-based energy transition policy. According to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policy establishment status and new projects of the two countries, Germany is promoting bilateral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hydrogen area with about 33 countries based on 7 types of activities. In comparison, Korea is involved in bilateral cooperation with about 12 countries on relatively few activities. Among the types of bilateral cooperation, R&D cooperation with advanced countries for hydrogen technology was a common activity type. Germany preemptively promotes cooperation for demonstration and commercialization, considering geopolitical means and strengthening manpower training and assistance on policy and regulation to preoccupy the market for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stablishing a network of an entire life cycle of supply and demand network that links the future market with securing clean hydrogen considering the geopolitical distribution. To this end, Korea also needs to expand bilateral cooperation countries by activity type, and it seems necessary to seek various geopolitical-based bilateral cooperation and support measures for developing countries to diversify the supply sources of hydrogen.

국제기술협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무기체계 핵심기술의 공동연구개발 중심으로 (What Drives International Technology Cooperation?: Joint R&D Cooperation in Defense Core Technology)

  • 이형진;정선양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2호
    • /
    • pp.355-373
    • /
    • 2013
  • 본 논문은 국방 분야 핵심기술 공동연구개발관점에서 국제기술협력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거래비용 이론, 지식기반관점과 기술성숙도 측면에서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국방기술품질원의 국제기술협력 대상기술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국방기술의 중요도가 클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기술협력의 필요성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방기술의 선진국대비 상대적 기술격차가 클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기술협력 필요성도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방기술의 기술성숙도가 높을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기술협력의 필요성은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핵심기술 공동연구개발 국제기술협력이 성숙된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협력하기 보다는 명확한 목표 없이 부족한 자원을 국제기술협력을 통해 확보하려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무기체계의 핵심기술 공동연구개발 추진함에 있어 무기체계별 국내 기술수준 및 기술성숙도를 고려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고, 선택과 집중의 중점 협력별 국내 기술수준 및 기술성숙도를 고려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고, 선택과 집중의 중점 협력 분야의 선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남북한 신재생에너지기술 협력방안 (Cooper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Techn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김상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8-173
    • /
    • 2004
  • From the present geographical environment of Korean peninsular the Republic of Korea is worser than the an island country of Japan In the point of Northeastern Asia energy network. Therefore the energy cooperation with South and North Korea is direct connect to the Northeast Asian Energy Network. It is most important that North Korea promotes the economics by themselves through the solving of their energy Problem with South Korea. Therefore, at the moment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rth Korea with the cooperation of energy technologies that could be useful to set up the Northeast Asia Energy Network and which is important to form the energy system of Korean peninsular. In this paper to importance of cooperation for energy technology and the present of economics and energy demand/supply in North Korea and energy technology of North Korea & the comparison energy technology level of the both countri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described.

  • PDF

Strategic Cooperation and Failure in Innovation Processe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Park, Ji-Hyun;Gwon, Seong-Hoon;Hong, Soon-K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2권1호
    • /
    • pp.63-72
    • /
    • 2013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impacts of R&D cooperation and obstacle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innovation failur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firms. Two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including interaction variables are employed for the analysis. Some interesting findings are: first, almost all the obstacle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ilure. Second, R&D cooperation positively or negatively moderates the impact of obstacle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innovation failure, although R&D cooperation itself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ailure.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cooperation and the obstacles influence the failure in various mann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manufacturing firms which are under unfavourable environments to formulate their cooperation strategies successfully based on what they learn from the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