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ical Competency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시니어의 성장·고정 마인드셋과 창업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Seniors' Growth·Fixed Mindset and Entrepreneurial Abilit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fficasy)

  • 이재열;하태관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89-104
    • /
    • 2022
  • 산업 현장에서 축적된 기술과 전문성을 갖고 있는 시니어의 창업은 사회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기에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일자리 사회구조와 최근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금리 및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으로 불안 요인과 불확실성이 증폭된 경제 상황 속에서 시니어의 주요한 창업역량 변수들이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창업자 개인 심리적 특성인 마인드셋의 관점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이 시니어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을 마인드셋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창업분야에 적용하려고 시도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인드셋의 구성 요인인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창업역량의 기술적 역량, 네트워크 역량, 자금조달 역량이 시니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성장 마인드셋과 기술적 역량은 창업의도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성장 마인드셋과 기술적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고 시니어 창업에 있어 성장 마인드셋과 기술적 역량이 중요한 변수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의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 시니어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창업자 교육 시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인 성장 마인드셋 특성에 부합한 맞춤형 창업교육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시니어 창업에 대해서는 저금리의 정책금융 확대 등 정부지원 확대로 기술창업의 저변확대가 요구된다. 셋째 시니어에게 축적되어있는 전문성과 기술력을 퇴직 후에도 창업에 연계될 수 있도록 퇴직 전부터 창업 프로그램의 제공 등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의 지원이 필요하다.

한국기업의 기술학습과정 유형의 도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통합적 관점의 조직학습이론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axonomy of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es in Korean Firms: Focused on the Integrativ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 봉선학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9-174
    • /
    • 2006
  • 기술학습에 대한 개념 연구 및 실증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구체적인 기술학습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구체적인 기술 지식 학습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통합적 관점의 기술학습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이 수행한 13개 기술개발과제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를 통해 기업의 기술학습과정을 조사하였다. 13개 기술개발과제의 기술학습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결과, 두 가지 기술학습과정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기술학습과정 유형은 인지학습과 행동학습의 순서에 따라 네 가지 기술학습과정으로 나누어졌다. 이 기술학습과정 유형은 기술능력 수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었다. 두 번째 기술학습과정 유형은 인지학습과 행동학습의 상대적 난이도에 따라 두 가지 기술학습과정으로 나누어졌다. 이 기술학습과정 유형은 기술의 특성에 따라 구분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술학습을 위한 경영적 함의와 결론,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 PDF

중소기업의 기술기획 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ME's Technology Planning Competency on the Success of Commercialization)

  • 이종민;노민선;정선양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1호
    • /
    • pp.253-278
    • /
    • 2013
  •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기술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증대시켜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의 기술수준 및 사업화 역량은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소기업들은 연구개발 프로세스에 있어 기술기획과 사전조사에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들의 기술수준 답보상태를 낮은 기술기획 역량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기술기획 역량과 기술사업화 간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술사업화 성공을 위한 다양한 요인 가운데 협력파트너십과 시장지향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기획 수립에 있어 내 외부 협력을 증대시키고 시장지향성이 강화될수록 기술사업화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의 방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 PDF

요인분석에 의한 기술지식지표의 통합 및 구조화

  • 박광만;신준석;박용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5-145
    • /
    • 2003
  •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the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is undoubtedly the core competency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firms and to raise the innovation capability of social and economic systems. Thus far, however, only single or fragmentary indicators, such as R&D expenditure, R&D stock,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 number of R&D employees have been adopted to measure the amount of technological knowledge. In this research, we suggest an approach for aggregating and structuring respective indicators. Applying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nine conventional proxy measures for technological knowledge and present a new approach for gauging an aggregated measure.

  • PDF

네트워크분석과정(ANP)을 이용한 기술개발 성공 예측 : MRAM 기술을 중심으로 (An Analytic Network Process(ANP) Approach to Forecasting of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 The Case of MRAM Technology)

  • 전정환;조현명;이학연
    • 산업공학
    • /
    • 제25권3호
    • /
    • pp.309-318
    • /
    • 2012
  • Forecasting probability or likelihood of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has been a crucial factor for critical decisions in technology management such as R&D project selection and go or no-go decision of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jects. This paper proposes an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approach to forecasting of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Reviewing literature on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has constructed the ANP model composed of four criteria clusters : R&D characteristics, R&D competency,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An alternative cluster comprised of two elements, success and failure is also included in the model. The working of the proposed approach is provided with the help of a case study example of 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technology.

테크노파크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충남 TP성과분석을 중심으로 (Exploratory Analysis Of Performance On ChungNam TechnoPark)

  • 이상백;김현구;한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5-25
    • /
    • 2016
  • A technopark is an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complex where personal, material and technological resources, scattered to businesses, academic institutions, research facilities and governments are gathered into a single place. Technopark's role is face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new policy services for firms by utilizing the exploratory methodology for Chungnam Technopark's performance for three year (2011 ~2013). Through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support for firm's growth in Chung Nam Region have been effective and fruitful in terms of total sale and increase of employees. But, technological performance measured by patents has not enough to catch the innovation. Chungnam Technopark should be more focused on technological policy supports including R&D as well as commercialization. Ultimately in order to have sustainabilities for own firm's growth, firms should keep going on ceaseless create the new technological performance. In that sense, for regional specific industry Technopark's role has been critical for not only firm's current growth but firm's innovation competency.

  • PDF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혁신저항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Fir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formance)

  • 박주경;이설빈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89-99
    • /
    • 2017
  • 본 연구는 그동안 기술혁신 활동이 자체 기업 또는 조직, 인적 구성원의 역량과 활동 방법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의 실행에 대한 혁신저항을 적극 고려하지 않았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활동이 조직 내 혁신저항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국내 IT, BT기업 293개사를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가설1의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이 기술혁신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2의 기술혁신 활동은 기술혁신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셋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넷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혁신 성과 사이에 매개 효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다섯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활동과 기술혁신 성과 사이에 매개효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전체적으로 기술혁신 역량이 높을수록 기술혁신 저항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관성을 갖고 기술혁신 저항 또한 저항 정도에 따라 기술혁신 역량과 성과를 증진 또는 저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 PDF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교육자는 어떠한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 TPACK 모델을 적용한 역량 개념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What are Core Competenci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Conceptualization of Competency Within TPACK and Analysis of Education Needs)

  • 윤성혜;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79-87
    • /
    • 2022
  • 최근 중등교육에서 기업가정신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현장에서 이를 실천할 교육자의 역량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실천할 교육자의 역량을 탐색하고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교육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테크놀로지내용교수지식) 모델에 기반하여 기업가정신 교육 역량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기업가정신 교육에 관심이 있는 중등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t검정으로 분석하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처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TPACK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하여 중요도의 평균이 실행도의 평균보다 높아 교육적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결과, 교육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요인은 CK(내용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자의 기업가정신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NCS based Leveled Micro-Degree Certification Model for Training Practical Cyber Security Experts

  • Kim, Jeong-Sham;Lee, Kyu-Chang;Choi, Sang-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23-13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NCS에서 정의된 직무를 기반으로 직무의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마이크로디그리 직무능력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4차 산업혁명 등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환경을 따라가지 못하는 대학교육의 문제로 인해 인력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 디그리 체계를 사이버보안 인력의 직무능력 인증에 활용한다. NCS의 세분류 분야별 직무를 마이크로 디그리, 능력단위별 세부직무를 나노디그리로 정의하고, 수준별로 구분된 능력단위의 수준을 마이크로 디그리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그리고 이를 학위기반의 대학 학력에 상응하는 직무능력을 인증하는 체계이다. 이러한 체계를 영남이공대학교 사이버보안스쿨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NCS직무 기반으로 나노디그리 과정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최근 들어 많은 대학들이 도입하고 있는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디그리의 직무역량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하다.

기술경영활동수준, 기술혁신역량이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창업성장기술개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by the Level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Focused on Government Funded R&D Project for Start-up SMEs)

  • 조기영;백낙기;장영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3-352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R&D) and especially studies the effect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on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can be composed of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analysis of market, R&D method, and appropriateness for commercialization plan. Also, the technology innovation can be divided into patent, R&D manpower, R&D investment ratio,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l the components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are positively related with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case of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however, only production and marketing capabilities have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marketing capability controls the effect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Consequently, technology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activity for SMEs to succeed commercialization and SMEs should collaborate with production and marketing departments from the early stage of 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