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ical policy

검색결과 1,244건 처리시간 0.032초

융복합 시대에서 지속가능경영활동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orate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on Innovation in Convergence era)

  • 윤재창;이욱기;김동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5-1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시대에서 지속가능경영활동(사회적 활동, 경제적 활동, 환경적 활동)과 혁신성(관리혁신, 기술혁신)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시행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지속가능 경영활동과 혁신성간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구성하고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정은 기술적 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속가능경영활동의 세 가지 측면 모두 혁신성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지속가능경영활동의 각 활동들이 적절하게 수행된다면 혁신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행적인 측면에서 기업의 혁신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업 구성원들이 지속가능경영활동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나 실행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지속가능경영활동과 혁신성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수행해 나감에 따라 지속가능한 기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략환경평가의 제도화 동향과 국내 도입 방안 (The Study on the Institutional Trend and Introduction of SEA in Korea)

  • 김임순;김윤신;서용석;장성언;최원욱;한상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3호
    • /
    • pp.171-188
    • /
    • 2003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lA) in Korea has been used to improv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decision-making sinc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was introduced in 1981 with the promulgation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ct in 1977. which replaoed the Pollution Control Act legislated in 1%3. Together with a rapid growth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development activities, however, it has recently bring about a strong demand for a new assessment process related to the strategic level of policies, plan, programs. In order to overcome such a limit in ElA system,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PERS) was introduced for assessment of administrative plans mainly concerned with development projects in 1993. In 1999. the regulations for PERS have been established by an amendment of the Basic Environmental Policy Act.Therefore the foundation of EIA system to integrate environmental concerns in planning processes and project works has been refonned. However the results of the execution of PERS were somewhat insuffident due to the institutional and technical matters. As the world's attention turns to sustainability and the considerations of cumulative effects, the concept of strategic envirorunental assessment(SEA) has taken on more significance and urgency and increasing number of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now undertake some form of SEA. The term SEA, however, is variously defined and understood, generally it means a formal process of systematic analysis of the envirorunental effects of development policies, plans, programmes and other proposed strategic actions. This process extends the aims and principles of EIA upstream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yond the project level and when major alternatives are still open. In this paper, we are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SEA and its relevance to EIA and the international trend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EA. In conclusion we are discussing the comprehensive developing plan for SEA in Korea, then proposing a plan to make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its application.

지하수 분류도 작성에 의한 서울시 지하수 보전지구 선정\ulcorner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Conservation Area Using Groundwater Classification Map)

  • 김윤종;이석민;원종석;이성복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4호
    • /
    • pp.97-112
    • /
    • 2001
  • 지하수의 보전 보호를 위한 정책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지역적으로 지하수 보전구역을 지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며, 지하수 보전구역은 지하수법(제12조)에 의하여 지하수 보전지구와 개발제한지구로 분류되어 관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금번연구에서는 GIS(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수 분류도를 먼저 작성한 후 가장 수질이 양호한 1급 및 2급 지하수 대창지역(상류의 지하수 함양지역이나 유일 대수층지역 등)을 지하수 보전지구의 우선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지하수분류는 건설교통부(2000)에서 제시한 지하수의 현재 수질상태, 음용수원으로서의 현재 및 장래 이용성, 기초 수리지질특성, 각종 지하수오염유발행위.시설 소재여부 등에 따라 4등급 분류방법을 기본으로 하였다. 작성된 지하수 분류도에서 1차 선정된 서울시 지하수 보전지구 우선 대상지는 약 57,1$\textrm{km}^2$(서울시 전체면적의 약 9.4%)로 나타났으며, 보전지구의 최종 지정을 위해서는 대상지역에 대한 지하수 정밀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지하수 보전지구의 관리방안도 제주도(2000)와 건설교통부(2000)의 지하수 보전관리계획을 참조하여 서울시에 적합한 안이 마련되었다.

  • PDF

정부지원 R&D의 중소기업 기술 및 고용 성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m Performances Regarding Technology and Employment of Government-financed SME R&D)

  • 노용환;홍성철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2호
    • /
    • pp.57-89
    • /
    • 2016
  • 본 연구는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에 대한 효과를 개별 사업체 수준자료를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2010년도 정부 R&D 지원 사업에 참여한 업체의 기술성과, 민간 R&D 유인효과, 고용효과를 사업체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R&D 투자(규모 및 건수)는 국내 특허 등록 실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외 특허 등록 실적은 자산규모가 큰 사업체일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부투자 연구사업 주관업체의 기술성과는 공동 위탁 참여업체에 비해 오히려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정부의 R&D 정책은 민간 R&D 인센티브와 보완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정부 R&D 투자 1% 증가는 사업 종료 후 민간업체의 R&D 지출을 비탄력적으로(0.193~0.245%)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R&D 지원이 참여기업의 고용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R&D 지원의 고용에 대한 성과가 기업규모 및 기술수준별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정부의 R&D 정책에 있어 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 지원이 필요하다.

상수도 관망의 유수율 제고 기술의 적용 및 분석 (Technical Application and Analysis for Reduction of Water Los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 김주환;이두진;배철호;우형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60-266
    • /
    • 2009
  • 본 연구는 지방상수도 배급수 관망의 유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량관리를 위한 블록시스템 구축을 통한 구역화 계량, 누수의 정량화를 위한 야간최소유량 측정을 통한 누수평가지표 및 국제 누수지수ILI(Infrastructure Leakage Index)의 도입, 압력제어를 통한 누수저감 효과분석, 장기적인 계획수립을 위하여 노후수도관의 잔존수명 예측 등 누수를 평가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제안하였다. N시 야간최소유량 측정을 통하여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서 정량적인 누수평가지표로 관길이당, 급수전당의 허용기준누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는 관망정비가 완료된 주거, 상업지역을 각각 대상으로 UK water industry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측을 통한 야간최소유량을 분석함으로써 유수율을 대신할 수 있는 허용누수량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압력제어를 통한 누수저감효과는 감압변의 설치를 통하여 수행되는데, 사천시 우티 배수구역을 대상으로 압력관리 구역을 4개로 분할하고 감압밸브 3개소, 가압펌프 1개소를 설치하여 압력을 조절한 결과 약 $466\;m^3/day$의 누수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나 압력관리를 통하여 연간 113백만의 비용절감효과가 기대되었다. 노후 상수관로의 부식속도 및 잔존수명 예측 연구에서는 매설년도, 토양 또는 수질특성에 따른 관체의 부식속도를 평가함으로써 잔존두께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또한 부식으로 인한 공식특성에 따른 잔존강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비선형회귀 모형을 개발, 수도관의 잔존수명예측에 활용하여 장단기 노후관 개대체 계획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지방상수도의 유수율 제고 및 관망정비사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누수평가 및 관리기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politic plan research for furniture industrial activ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Province

  • Im, Kwang-Soon;Kim, Houn-Chul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15-524
    • /
    • 2010
  •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현재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지역의 몇몇 가구산업단지 를 중심으로 영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다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이를 가구산업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조명하여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경기도에서 경기북부지역에 폭넓게 기반을 두고 있는 가구산업을 방관하기보다는 먼저 구조적 측면이나 제도적인 측면에서 경기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가구산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경기북부에 연계된 다양한 산업과의 클러스터 화를 추진하며 적극적인 지원, 체계적인 정책마련 등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서 총체적으로 개발육성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북부 지역에 각 가구업체의 네트워크를 총괄할 수 있는 전담 기구로서 가구산업센타와 세계화에 맞추어 국제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첨단가구산업단지 신설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 협업을 이룰 수 있는 가구관련 공동브랜드사업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시들이 활성화되기 위하여 경기도는 물론이거니와 산업의 주체라 할 수 있는 가구업체와 지역 대학의 관련학과 전문가들의 네트워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 PDF

SUPPLY-DEMAND, COMMERCIAL DISTRIBUTION AND TRANSACTION OF THE CULTURED TUNA IN JAPAN - EMPHASIZING ON THE GLOBAL EXPANSION OF THE TUNA-FARMING BUSINESS -

  • Yamamoto, Naotoshi;Kameda, Kazuhiko;Nishida, Akari;Kitano, Shinichi
    • 수산경영론집
    • /
    • 제39권1호
    • /
    • pp.87-114
    • /
    • 2008
  • The cultured tuna production which has suddenly expanded at the short time and the demand for it attract attention. Farming mode, distribution transactions, change of the market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the price trend are reviewed from the Japan's position which is the biggest consuming country. This paper tries to describe the current status of the food system related to the cultured tuna. Japanese government began the development of the tuna culture technology in 1970. It was by the Fisheries Agency's project. Kinki University which is the large scale private university in Japan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fter that, 32 years have passed. Kinki University established the full farming of the bluefin tuna in August, 2002. On the other hand, in 1974, one Japanese private enterprise began its tuna farming business in Canada. Kinki University gave this company technical cooperation. Also, in the early stages of the 90s, as for the policy of the overseas fishery cooperation foundation, it supported the tuna farming business in Australia. It is very clear to understand that the long-term technological-development has supported the take-off scene of the tuna culture business not only in foreign countries but also in Japan. The total shipment scale of the cultured tuna expanded very much within about 10 recent years. However, the decrease of the wild tuna catch, the reinforcement of the fisheries regulation and the tuna body to dwarf are remarkable now. Under the condition as the mentioned above, Japan's tuna consumption, especially, in the market at the fatty meat of tuna of the cultured tuna is building up firm status. At present, the Mediterranean Sea coastal countries, Australia, Mexico and Japan have the tuna farming sites. Australia farms the southern bluefin tuna. The others do the bluefin tuna. About for 3 years, Japan farms the juvenile of the tuna. The global production areas are as follows. 8 coastal countries of the Mediterranean Sea; 18,000 tons (61 % of the cultured tuna quantity in foreign countries), Mexico; 4,500 ton (15%), Australia; 7,000 tons (24%). In 2003, Japan has 32 managements and 39 offices for tuna farming. In Japan, Kyushu and Okinawa district, the share shows itself as 80 % of the domestic production quantity. Especially, the share of Amami-oshima Island in Kagoshima Prefecture exceeds 60 %. Therefore, this island has the maximum production scale of Japan. The amount of supply of BT and SBT was 56,000 tons in 2004. In Abroad, the tuna farming business forms a fixed connection between the importer and the wholesaler which have their office in Japan. In the field of the capital composition, the payment in advance, transaction and the way of settlement, each maintains their fixed relation. The market conditions of the cultured tuna are supported by "the decline of price level" and "the expansion of the general public consumption segment". These lead a team merchandising, and it is supported by the fixed business connection of each. This makes the profit of each business which are on the cultured tuna distribution. However, they have competition on the power balance among them.

  • PDF

이원화된 계층적 개인정보 Life-Cycle 접근제어 방법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ccess Control Methodology for Dualised Hierarchical Personal Information Life-Cycle)

  • 서우석;김계순;전문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61-1170
    • /
    • 2013
  • 2013년 현재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사회적 합의결과로 도출되어진 관련법이 제정되고 수차례의 개정을 통해 IT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업무분야에 최종적인 정보보호를 위한 명확한 성문법적인 정책과 지침 등의 방향이 제시되어 졌다. 이러한 일련의 개인정보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기반으로 새로운 개인정보 접근 패러다임이 나타났고 정보보호라는 거시적인 접근 방법에서 전문적인 접근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졌다. 물론 현재까지 모든 개인정보 형태의 자료들을 특정한 정보의 범주에 모두 제한하고 경계를 두는 것은 다소 무리수 있어 보이나 IT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개인정보의 흐름을 확인하고 보안대상으로 선정하는 부분은 표준화되어 진 것은 사실이다. 다만 아직까지도 개인정보 Life-Cycle의 5가지 표준화된 흐름인 수집, 처리, 제공, 보관, 파기 등을 모든 기업과 기관이 보유한 정보들에 일상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원화된 계층적 개인정보 Life-Cycle 접근제어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써 표준화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정보 Life-Cycle에 최적의 접근제어 가능한 현실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수오니 처리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처리체계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an Improvement for Management System of Municipal Sewage Sludge through an investigation of MSS Treatment Facilities)

  • 김영구;배재근;류돈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2호
    • /
    • pp.121-12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05년도 기준 전국 23개소의 하수오니처리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효율적인 하수오니처리 체계 개선 방안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에 관하여 검토 하였다. 전국 23개 하수오니처리시설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6개 시설은 시설운영에 있어서 경제성확보가 어려워 정상가동에 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개 시설은 시설운영과 관련한 기술성의 부족으로 인해 적정 운영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당수 시설은 환경적 문제(악취, 폐수발생)로 인한 지역주민의 민원제기가 시설 운영에 있어서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폐기물처리에 있어서 효율적인 시설설치 및 운영을 위한 별도의 지침서(Guide Line)제공이 외국에 비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며, 초기 시설설치 시, 하수오니처리에 따른 환경적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사전 검토가 불충분하게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하수오니 처리체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오니처리와 관련한 종합적인 대책이 미흡한 현 시점에서 선진외국과 같이 유기성오니의 처리 및 관리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지침서(가이드라인) 마련이 요구되며, 정부 관계부처에서는 일시적이며, 단편적인 행정 대책 보다는 해당 부서 간의 원활한 조정 및 합의에 의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PDF

과학기술 비즈니스(S&T Business): 과학벨트(ISBB)의 역할 (Science & Technology Business: The Role of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in Korea)

  • 이원철;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39-148
    • /
    • 2016
  • 기술사업화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지만 높은 기술 우수성이 항상 성공적인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초연구 및 기술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는 기업 역시 항상 높은 이윤 창출을 장담할 수는 없다. 이는 연구개발 수준이 상용화되기 어려운 단계에 존재하는 경우인 기술적인 문제와 기술이 사업화되는 시장이 불완전하여 합리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시장측면의 문제 모두가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기초과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시장의 불완전성 아래 연구 및 사업화 주체가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파트너들과 제휴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자금이나 인력 등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술에 대한 접근방법에 따라 연구개발(R&D) 관점, 기술경영(Management of Technology) 관점, 기술혁신(Technology Innovation) 관점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기술사업화(Technology Commercialization) 관점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또는 실현 가능한 비즈니스를 살펴보고, 기술의 속성(암묵지, 기술가치의 객관화, 혁신 주체 간 정보의 비대칭 등)을 통해 시장의 불완전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기술이 사업화로 연결되지 않는 현상, 즉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을 탈피하는 것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으로써 기술사업화 협력요인을 포함하고 있는 과학기술 비즈니스의 성공요인과 함께 과학벨트(ISBB)의 역할을 중심으로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