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ical Cooperation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42초

배치 단위 밸브 부품 생산용 플런지 연삭의 최적 연삭 제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al Control of the Plunge Grinding for Valve Parts in Batch Production)

  • 최정주;최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726-473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배치 단위로 이루어지는 플런지연삭의 최적 연삭 조건 선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연삭공정을 나타내는 상태변수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태 변수를 바탕으로 각 사이클에서 이루어지는 최적의 연삭 조건을 GA(Genetic Algorithm)를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배치 단위의 최적 연삭조건은 DP(Dynamic Programming)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NATO's Factor in Ensuring the National Security of Modern Ukraine

  • Biloshytskyi, Volodymyr;Hanhal, Artur;Mokliak, Sergii;Pysmennyi, Oleksii;Smolianiuk, Volodymy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689-695
    • /
    • 2021
  • The study is based on the elaborated normative and legal documentation regulating the national security of modern Ukraine and the normative and legal documents adopted by NATO in the responding policy to the challenges that arose after 2014. The main advantages of cooperation with NATO are ensuring military security, developing army standards, improving the country's investment climate, and reducing expenditures on the army. The disadvantages of cooperation with NATO in hostilities with Russia are not highlighted. Still, defined obstacles show that Ukraine is not ready to realize entry into NATO in the short term. Such factors include weak information support, corruption, and unclear diplomatic decisions.

푸시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 (A Mobile Customization Technique using Push Service)

  • 정창훈;예준호;김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498-4506
    • /
    • 2013
  • 스마트 워크로 인해 모바일 환경에서 다양한 업무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업무 서비스의 제공 및 업무 서비스의 즉각적인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변경하기 위한 모바일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모바일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은 구글의 GCM 푸시서비스와 안드로이드의 인텐트 기술을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제이션 아키텍쳐 및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N-스크린서비스 환경에서 웹콘텐츠 이동/결합/분리를 고려한 보안 기술 분석 및 협업 서비스 프레임워크 개발 (Research on Technical Requirements of Security for Migration,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Web-Contents and Development of Cooperation Service Framework in N-Screen Services)

  • 이호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9-176
    • /
    • 2014
  • 스마트 디바이스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스크린들 간의 협업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는 N-스크린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들에게 기술적 풍요를 제공하는 동시에 새로운 보안상의 약점을 유발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기존의 다양한 웹 공격유형에 대하여 분석하고, 미래 N-스크린서비스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웹콘텐츠의 이동/결합/분리를 위한 새로운 보안 요구사항을 제안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해 본다. 또한, N스크린 환경에서 웹콘텐츠의 이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공공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로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적용된 N스크린 협업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살펴본다.

북한산림복구용 용기묘 식재기 개발 (Development of Pottery Planting Equipment for the Restoration of North Korean Forest)

  • 최종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1-68
    • /
    • 2023
  • In North Korea, the production of courage tombs continues, and it is known that the activity rate is higher than that of old tombs. However, pot seedling are planted using hoes and shovels used for planting old tombs with exposed roots and low activity rates. This is believed to result in excessive force when stepping on the container grave with a hoe in the planting process,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the container grave or the waste of labor due to the creation of unnecessary planting holes. Therefore, when planting courage graves at North Korean afforestation sit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of making planting holes using general hoes in a way that improves labor productivity in a more efficient manner. As part of inter-Korean technical cooperation to improve the North Korean afforestation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efficient container seedlings and using them for North Korean forest restoration projects. It is believed that developing planting equipment exclusively for container graves for forest restoration in North Korea in South Korea and providing equipment and production technology to North Korea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rest restoration technology in North Korea. If the Yonggeomyo Development Planting Equipment is provided to North Korea, it will be a realistic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project to avoid international sanctions by recognizing the excellence of the development products by directly using its own materials through technical cooperation.

자연재해 증가 지역의 국제협력 지원 방안을 위한 방글라데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Bangladesh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the Vulnerable Region of Natural Hazard)

  • 이자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0-351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기후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및 자연재해 저감에 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해 자연재해가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재해에 취약하게 노출되어 있는 방글라데시를 사례지역으로 재해의 유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재해저감 기술과 방재관련 기법 등을 응용하여 국제원조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방글라데시는 국토의 1/3이 해수면보다 낮기 때문에 배수가 어려우며, 조수 파동과 해수 침투, 사이클론의 위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지리적인 특성을 지니고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피해가 집중되는 해안지역은 해수면상승의 위협과 3년 주기로 심각한 사이클론의 피해가 일어나며, 상대적으로 빈곤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인명피해가 크게 일어나는 지역으로써, 재난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국제적 원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기술과 자연재해저감 기법을 지원함으로써 개도국의 자연재난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를 하는 것은 국제사회에서 협력 구도를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적정 '기술'에서 적정한 '사회기술 시스템'으로: 에너지 관련 기술 분야의 국제개발협력과 사회적 혁신 (From appropriate "technology" to appropriate "socio-technical system" :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ocial innovation in energy field)

  • 한재각;조보영;이진우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5
    • /
    • 2013
  • 이 글은 한국에서의 적정기술에 대한 논의와 실천이 기술중심적이고 기술개발(제공)자 중심적인 접근에 국한된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성찰 위에서, 기술을 둘러싼 사회적, 제도적인 측면과 기술 수용자의 측면을 강조하는 사회-기술 시스템적인 시각에서 적정기술을 통한 국제개발협력 활동을 논의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적정기술을 기술사회 시스템 논의에 비춰 볼 때 검토해 볼 몇 가지 쟁점-적정기술은 수준 낮은 수준인가? 적정기술 실천은 단위 기술 혹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인가? 적정기술은 개발도상국 사람들의 기본적인 필요만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어 개발도상국-라오스, 태국, 방글라데시-에서 이루어지는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현지 단체들의 적정기술 실천을 앞서 정리한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사회기술적 시스템적 접근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논의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의 적정기술 담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민간 국제개발협력 활동 중 재생에너지 관련 사례-몽골의 G-Saver, 네팔과 라오스의 태양광 발전기-를 통해 적정기술 실천의 현황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사례를 종합하면서, 한국 국제개발협력 활동에서 적정기술 접근을 수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 몇가지 제안하고, 추후 연구과제를 정리하였다.

  • PDF

The Current Status of BCG Vaccination in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 Lee, Hye-Jon;Dockrell, Hazel M.;Kim, Deok-Ryun;Floyd, Sian;Oh, Sue-Yeon;Lee, Jin-Bum;Kim, Hee-J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4호
    • /
    • pp.374-380
    • /
    • 2012
  • Background: Delivery of Bacille Calmette-Gur$\acute{e}$in (BCG) Tokyo vaccine, with the multipuncture device, has been much preferred over BCG Pasteur, with the intradermal method, possibly due to the easier manner of administration, a desire to avoid any trouble with scars, as well as side effects and higher profits to providers in South Korea. Methods: To determine BCG scar status in 0~6 year old children vaccinated with two BCG vaccines (Pasteur BCG vaccine with intradermal method and BCG Tokyo vaccine with percutaneous method), the data from the national BCG scar survey in 2006 was analyzed. Results: Based on the national survey, the high proportion that were vaccinated with BCG Tokyo vaccines with the multipuncture method (64.5%) was noted in 0~6 year old Korean children. From inspection of scar formation, as an indicator of vaccination, the median number of the visible pin scars from the percutaneous method was 16 (interquartile range, 12~18) in the Korean children, and pin scars decreased as the age of the children increased (p<0.001).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survey clearly showed a growing preference of parents for the BCG Tokyo vaccines by the multipuncture method in South Korea.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 중점 협력국 유형화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군집분석 (Investigating the Classification and Ordering of Global Partnership Countries for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Cluster Analysis)

  • 이영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7-12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의 주된 대상이 되는 중점 협력국들을 유형화하여 분류하고, 직업능력개발 지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국 및 지역을 선정하고, 대상국과 지역의 개발 목표에 맞게 집중적인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수원국의 요구를 적절히 반영하고, 정부의 한정된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 중점 협력국을 선정하고 유형화 분류를 통해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지원해야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제개발협력위원회가 제시한 24개 중점 협력국을 대상으로, 경제발전 변인, 노동시장 변인, 교육 변인 3가지 주요 변인을 바탕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점 협력국의 유형을 4가지 유형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고, 각 유형별로 해당하는 국가들을 재배치하였다. 향후에는, 고용노동분야를 고려하고, 미지정 협력국을 더 발굴하여, 유형화하며, 이를 바탕으로 직업능력개발 국제협력을 활성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