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r meniscu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8초

Reference values for selected dry eye tests in normal Beagle dogs: a pilot study

  • Kim, Youngsam;Kang, Seonmi;Kim, Sunhyo;Shim, Jaeho;Go, Seokmin;Seo, Kangmoo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0.1-10.12
    • /
    • 2022
  • Background: Dry eye disease (DED) cannot be diagnosed by a single test because it is a multifactorial disorder of the ocular surface. Although studies on various dry eye tests (DETs) in dogs have been reported, standard criteria have not been established except for the Schirmer tear test 1 (STT-1). Objectives: To establish reference values for DETs in dogs with normal STT-1 values (≥ 15 mm/min)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ETs. Methods: The STT-1 was performed in 10 healthy Beagle dogs (20 eyes). After 20 min, interferometry (IF) for estimating the lipid layer thickness (LLT) of the tear film, tear meniscus height (TMH),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 and meibomian gland loss rate of the upper eyelid (MGLRU) and lower eyelid (MGLRL), were measured using an ocular surface analyzer. Results: Mean values for STT-1, TMH, and NIBUT were as follows: 21.7 ± 3.4 mm/min, 0.41 ± 0.21 mm, and 19.1 ± 9.5 sec,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LLT range, measured by IF, was 30-80 nm (11 eyes), followed by 80 nm (5 eyes) and 80-140 nm (4 eyes). MGLRU ≤ 25% was measured in 11 eyes and 26%-50% in 9 eyes; MGLRL ≤ 25% in 8 eyes and 26%-50% in 12 eyes. Beside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MH and NIBUT (P = 0.038),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DETs. Conclusions: Data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d normative references that could be useful for diagnosing DED and for further research into correlation between DETs in dogs with DED.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 봉합 후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유용성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efulness after Medial Meniscus Posterior Root Tear Repair)

  • 전재균;김준범;이봉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0
    • /
    • 2013
  • 목적: 슬관절 내측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봉합 수술을 시행한 후 유합 유무를 평가하기 위한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유용성에 대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봉합한 환자 중 술후 MRI와 관절경검사를 모두 시행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검사와 MRI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술전 Lysholm knee score는 평균 56.4에서 평균 79.0으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는 8점에서 3점으로 호전되었다. 2차적 관절경 검사상 17예 모두 섬유화 재생 후 안정화된 소견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MRI 검사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시사하는 수직 직선 결함(cleft sign)은 술전후 모두 관찰되었고, 음영 손실(ghost sign)은 술전 10예에서 술후 9예, 방사선 직선 결함(radial linear defect) 소견은 술전 17예에서 술후는 15예에서 확인되었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비해부학적 위치에 봉합한 경우 술후 추시 MRI 검사는 유합 여부 판단에 유용하지 않았다. 유합 여부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절경적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쪽 슬관절에서 내측 및 외측에 동시에 발생한 원판형 연골 - 1예 보고 - (Simultaneous Medial and Lateral Discoid Meniscus in one Knee joint)

  • 조영호;안혁수;장세앙;남승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5-98
    • /
    • 2006
  • 원판형 연골은 주로 슬관절의 외측에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며 드물게 내측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내측 및 외측에 동시에 발생한 원판형 연골은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15세 남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 및 관절경을 이용하여 한쪽 슬관절에서 내측 및 외측에 동시에 발생한 원판형 연골을 진단하고 양측 모두에 대해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슬관절 내측 원판형 연골 - 1례 보고 - (Discoid Medial Meniscus in the Knee - A case report -)

  • 경희수;김경훈;오창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8-62
    • /
    • 2009
  • 슬관절의 내측 원판형 연골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저자들은 최근 내측 원판형 연골로 진단된 환자를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남자 20세로서 특별한 외상력 없이 수년간의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내측 원판형 연골로 잠정 진단되었다. 관절경 검사상 완전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수평파열이 동반되어 있었다. 이에 관절경하 연골판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증상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다.

  • PDF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 -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의 비교 - (Management of Displaced Bucket-Handle tear - Differences Between Medial & Lateral Menisci -)

  • 정선욱;한성호;양보규;이승림;하정현;김민석;여용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3-159
    • /
    • 2003
  • 목적 : 내측 및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양상과 동반손상에 따른 치료원칙과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군)로 진단받은 52명 52예와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I군)로 진단받은 31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I군 25세($16\~66$세), II군 29세($18\~63$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I군 18개월 ($12\~50$개월), II군 13개월($6\~46$개월)이었다. 술중 관절경 검사를 통하여 연골 파열의 부위, 동반손상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외측의 경우 추가적으로 원판형 연골인 경우를 조사하였다 술 후 최종 추시 시 이학적 검사와 임상양상에 따라 치료 판정을 하였으며, 두 군 전체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되었던 경우 추시 관절경을 19례$(23\%)$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된 경우는 I군 38예$(73\%)$, II군 5예$(16\%)$였으며, 원판형 연골이었던 경우는 II군에서 19예$(59\%)$였다. 최종 추시 시 봉합술을 시행한 예에서 I군의 경우 26예 중 22예$(85\%)$는 성공 판정을 받았으며, II군의 경우 3예 중 2예$(67\%)$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고,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I군의 경우 26예 중 전예에서 II군의 경우 28예 중 26예$(93\%)$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다. 이중 I군에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봉합술을 시행한 2예에서 있었고, 재수술 당시 1예에서는 봉합부위의 재파열과 다른 1예에서는 새로운 부위의 파열을 발견하였다. II군에서는 원판형 연골의 모양을 보였던 19예 중 2예에서 절제술 후 남아있는 연골에서 새로운 파열이 발견되었다. 결론 : 내측과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있어 동반 손상이 현저히 다르며, 그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 원칙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연골 낭종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Meniscal Cyst)

  • 민병현;이원익;최승준;강신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1-146
    • /
    • 1998
  • Recent studies suggest that most meniscal cysts can be treated surgically by arthroscopic management of the meniscal tear and arthroscopic cyst evacuation. But arthroscopic cyst decompression may sacrifice a substantial amount of meniscal tissue that is not torn in order to expose the "stalk" of the cyst. Nowadays, the trend is changing as preserving the involved meniscus to prevent from inevitable degenerative changes after meniscectomy.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a new surgical technique that minimizes loss of meniscal tissue in hopes of maximizing residual meniscal function. We experienced 10 patients with meniscal cysts that were consisted of four lateral cysts and six medial cysts. Menisci were torn in all cases.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decompression of cysts were performed in 9 cases, and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open cystectomy in 1 case. The procedures were consisted of injection of the methylene blue into the cyst, partial meniscectomy of the meniscal tear until the dye was seen in orifice of the cyst, and decompression of cyst through cystic opening. This article serv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orn menisci and cysts, to re-evaluate the occurrence ratio of the meniscal cyst on the medial to lateral meniscus, and to assess the efficacy of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decompression of cyst as a potentially meniscal sparing procedure.

  • PDF

외상성으로 발생한 양측성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에 대한 도침치료로 호전된 치험 1례 (Miniscalpel Acupuncture Therapy for a Patient with Traumatic Tears of both Meniscuses: A Case Report)

  • 이정희;박무섭;오세정;이윤규;이현종;김재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53-159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Miniscalpel acupuncture therapy on a patient with traumatic tears of both meniscuses. Methods : We treated a patient with tears in both meniscuses stemming from a traffic injury. The clinical effects of this treatment are measured by Visual Analog Scale (VAS), European Quality of Life - 5 Dimensions (EQ-5D), and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WOMAC). Results : After Miniscalpel acupuncture therapy, the VAS score of the left knee changed from 7 to 3, while the VAS score of the right knee changed from 7 to 2~3. WOMAC of both knees changed from 70 to 8. Night pain and day-to-day pain have disappeared, with only a slightly heavy feeling remaining.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iscalpel acupuncture therapy may be effective for treating traumatic meniscus tear.

반월상 연골 후각부 파열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of the Tear of the Posterior Horn of Meniscus)

  • 하동준;김창완;서승석;조일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4
    • /
    • 2009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 파열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파열로 진단받고, 관절경적 시술을 받은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 대퇴경골각, 골주사 검사 결과, 수술 방법 및 파열 양상에 따른 술후 임상적 결과를 Lysholm 및 Tegner 활동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수술 결과에 영향이 없으며, 술전 외반 4도 이상의 대퇴경골각을 가지거나, 술전 방사성 동위 원소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었다. 수술 방법의 차이, 즉 반월상 연골판 제거술 혹은 봉합술 여부에 따른 치료 결과의 통계적 차이는 없으며, 파열 양상에 따른 결과 차이 또한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치료에 있어 만족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술전 시행한 골주사 검사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부 및 그 주변 골, 연골의 상태를 반영하여 술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평가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외측 반월상 연골 변연부 파열 봉합 후 초음파 추적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Ultrasonographic Follow Up Study After Repair of Peripheral Lateral Meniscal Tear)

  • 김정만;임동선;김태형;신은수;문영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19
    • /
    • 2011
  • 목적: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봉합 후 추적 검사 방법으로서의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중 변연부 파열이 있어 봉합술을 시행했던 경우 중 1년 이상(1~2.5년) 추시가 가능하였던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10예, 여성 4예 이었으며, 평균나이는 36.1세(19~53세)이었다. 수술 후 6주, 3개월, 6개월, 1년에 외래에 방문하여 수술한 슬관절에 대한 신체 검사와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와 임상적 치유 상태가 일치하는 정도를 보았다. 결과: 3예에서 추시 기간 중 초기인 6주, 3개월에 신체 검사 상 관절선 압통이나 부종 등이 있었으나 이후 추시에서는 사라졌고, 모든 추시 기간 실시한 초음파 검사에서는 전례에서 봉합부위가 치유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외측 반월상 연골 변연부 파열 봉합술 후 초음파 검사는 치유 상태를 판단함에 있어 비용과 편의성에 있어 유용한 검사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