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r meniscu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2초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의 특징 및 관절경 소견 (Clinical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Insertion Tear)

  • 이준영;김동휘;하상호;이상홍;강정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38
    • /
    • 2009
  • 목적: 중년 이후에서 흔히 일어나는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부착 부에 발생하는 방사상 파열의 임상적 특성과 관절경적 소견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슬관절 내시경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관절경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부착 부 파열이 관찰되었던 환자 40명, 40례에 대해 의무 기록을 통한 후향적인 검사를 시행하였다. 남자 7명, 여자 33명이고, 평균 연령61(47~80)세이며, 외상 병력의 유무, 동반된 관절염의 등급 및 통증 발생 후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유병기간), 자기공명영상 소견, 임상 증상 및 파열단의 모양과 치료법 등을 검토하였다. 결과: 외상 병력이 있었던 경우가 6례며, 34례는 외상 병력이 없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상 Kellgren-Lawrence 분류는 0-II형이 31례, III형은 9례 였으며, 관절경상 대퇴골 내과의 관절 연골 상태는 Outerbridge grade IV 형이 17례, III 형이 4례, II 형이 9례, I 형이 9례이었다. 유병기간은 평균 5.3개월이었으며, MRI 소견으로는 전례에서 축상면 또는 관상면에서 틈(cleft)나 시상면에서 유령 징후(ghost sign) 중 1개 이상이 관찰되었다. 파열단의 모양은 18례가 뭉툭한 형태, 12례가 수평 파열, 10례가 퇴행성 파열이었으며 수술법으로는 연골판 아전 절제술을 16례, 부분 절제술을 10례, 봉합술을 14례에서 시행하였다. 결론: 중년 이후의 연령에서 반월상 연골판 후각 부착부 파열은 외상 병력이 드물게 발생하며 심한 기계적 증상을 호소하며, 관절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로 절제술 뿐만 아니라 봉합술을 시도해 볼만한 파열이 있었으며, 추후 그 치료 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퇴행성 반월상 연골판 파열 환자의 한의학적 치료 효과와 Kellgren-Lawrence-grade, Body Mass Index의 상관성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Medical Treatment on Degenerative Meniscus Tear and Kellgren-Lawrence-grade, Body Mass Index)

  • 이기언;이건영;한시훈;김국범;김효준;장재원;장영우;조재흥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1-79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 applied to the patients with degenerative meniscal tear and the correlation among clinical effectiveness, body mass index (BMI) and Kellgren-Lawrence grade (KL-grade).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egenerative meniscal tear.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BMI, KL-grade and treated with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pharmacopunctur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Numeric Rating Scale (NRS),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Arthritis Index (WOMAC Index) and EuroQol-5 Dimension Index (EQ-5D Index). Results Both NRS and WOMAC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reatment (p<0.001). The EQ-5D for assessing quality of life showed further improvement (p<0.0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BMI and NRS, EQ-5D. KL-grade was correlated with WOMAC.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 to the patient with degenerative meniscal tear may be effective as a conservative therap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Evaluation of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Obtained Using an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in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tients

  • Lee, Sang Min;Chung, Sok Joong;Lew, Helen
    •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 /
    • 제32권6호
    • /
    • pp.445-450
    • /
    • 2018
  • Purpose: To compare the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between patients with incomplete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and normal controls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tear film LLT and blinking pattern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in NLDO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8 eyes in 52 incomplete NLDO patients who underwent silicone tube intubation from January 2017 to July 2017. The LLT, blinking pattern, and Meibomian gland image were measured with the LipiView II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The Meibomian gland drop-out ratio was measured using the polygon selection tool in the Image J program. Tear meniscus height, which is the other lacrimal indicator, was assessed with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Tear meniscus h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p < 0.01). Preoperative minimum, maximum, and average LLT values were $62.4{\pm}24.0$, $86.7{\pm}17.9$, and $71.7{\pm}23.3nm$, respective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minimum, maximum, and average LLT ($74.8{\pm}23.6$, $98.8{\pm}11.0$, and $91.6{\pm}16.1nm$, respectively) were observ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p < 0.001, p = 0.001, and p < 0.001). The partial blinking/total blinking ratio in 20 seconds and the Meibomian gland drop-out ratio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Conclusions: Overall, the LLT was increas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Silicone tube intubation may be helpful in maintaining LLT with a normalized of amount of tears.

외측 원판형 연골 전각부의 전방십자인대 전방부로의 부착변형에 관한 증례보고 (Anomalous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the Discoid Lateral Meniscus into the Anterior ACL - A Case Report -)

  • 이상훈;이승림;노정호;류호광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69
    • /
    • 2009
  • 외측 연골은 형태적으로 내측 연골보다 더 다양하다. 외측 연골의 변이형태는 크기, 형태, 안정성 관점에서 다양하다. 다양한 형태는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형태는 외측 원판형 연골이다. 저자들은 최근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가 전방십자인대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변형이 동반된 외측 원판형 연골을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45세 여자 환자로 특별한 외상력없이 3~4년간 슬관절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외측 원판형 연골로 진단되었다. 관절경 검사상에서는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가 전방십자인대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변형이 동반된 완전형 외측 원판형 연골로 복합파열이 동반되어 있어 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 PDF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서 슬와건을 한시적 지주로 시행한 구제적 성격의 관절경 봉합술의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Salvage Repair including Popliteus Tendon as a Post for Complex Lateral Meniscus Tear)

  • 박상은;김상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10
  • 이 연구는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서 슬와건을 바탕으로 시행한 구제적 성격의 관절경 봉합술의 임상 결과와 기술적인 방면에 대한 고찰을 위해 시행하였다. 2004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32 사례의 젊고 증상이 있는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환자들을 all inside 방법으로 봉합하였다. 연구는 전향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29.2세(범위, 17~42)이었으며 평균 관찰기간은 42.8개월(범위, 24~50)이었다. 임상 결과는 라이슬럼 스코어(lysholm knee score)와 2차적으로 시행한 관절경 혹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추적관찰은 약 80%에서 시행할 수 있었다. 추적 관찰된 환자들 대부분이 제한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었으며 평균 42.8개월의 추적관찰 동안에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평균 라이슬럼 스코어는 수술 전 65.4(범위는 55에서 75)에서 수술후 최종 추적관찰에서 평균 93.9(79에서 100사이)으로 증가되었다(p<.001). 80%에서 관절경으로 혹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치유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슬와건을 바탕으로 시행한 관절경적 외측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은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가지고 있는 젊은 환자에서 구제적 성격의 시술로서는 효과적이었다.

  • PDF

경골 고평부 골절의 반월상 연골 파열 양상 (Characteristics of Meniscus Tear in Tibial Plateau Fractures)

  • 이동훈;김병국;김재화;정주환;이인성;이준구;이순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12
  •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은 슬관절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관절경하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경골 고평부 골절을 진단 받은 39명의 환자 중 33명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고정 시내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Schatzker 분류에 따르면 1명의 I형(3.3%), 19명의 II형(53.3%), 4명의 III형(13.3%), 2명의 IV형(6.6%), 2명의 V형(6.6%), 5명의 VI형(20%) 소견을 보였다. 결과: 25명의 환자(75.8%)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Schatzker II형 환자 19명 중 18명의 환자(94.7%)가, Schatzker III형 환자 4명 중 3명의 환자(75%)가, Schatzker VI형 환자 5명 중 4명의 환자(80%)가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반월상 연골 중 가장 많이 손상된 부분은 외측 연골의 전각부분이다(22/25). 25명의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변연부 수직 종파열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도할 수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 있어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파악 및 치료에 유용하며, 경골 고평부 골절환자에서 관절경을 권한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진단 -1례 보고-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extrusion of medial meniscus of the knee -A Case Report-)

  • 김정만;송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17
    • /
    • 2008
  • 반월상 연골 탈출은 슬관절 반월상 연골이 관상면상 3 mm 이상의 전위를 보이는 경우로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 파열, 관절 부종, 골극, 골 관절염 등과 관련이 있다. 초음파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바로 그 자리에서 실시간으로 동적 검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슬관절 전내측에 존재하는 종괴 1례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로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변형된Inside-Out 술식을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 (Modified Inside-Out Suture Technique for Meniscus Repair)

  • 안진환;왕준호;유재철;김형건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8-123
    • /
    • 2002
  • 목적: 저자들은반월상연골후내각부에사용되던기존의inside-out 의수술수기를변형하여수직봉합이가능하면서충분한고정력을얻을수있는수술수기를보고하는바이다. 수술수기: 관절경을전외측도달법으로위치시키고봉합용갈고리를전내측도달법으로위치시켜봉합용갈고리를돌려서내측반월상연골후내각부에파열된부분의내측의대퇴골쪽표면에서경골쪽표면으로통과시킨다. 갈고리내로PDS $\#0$을통과시킨후봉합용갈고리를빼내고전내측도달법입구로PDS$\#0$의양끝을뽑아낸다. 전내측도달법입구에관절경을위치시킨후전외측도달법입구로Zone specific cannula를통과시켜반월상연골파열면의경골면에위치시키고저자가고안한Looped Needle을통과시킨 후 경골면의PDS $\#0$을Looped Needle의loop 사이를통과시킨후관절밖으로빼낸다.대퇴골면의PDS $\#0$도같은방법으로관절밖으로빼낸다. 2개의PDS 봉합사가나온입구근처에약1cm가량의incision 을넣고PDS 봉합사사이에연부조직이끼지않음을확인하고결찰을시행한다. 고찰: 변형된inside-out 봉합술은기존의inside-out 봉합술에비해수술시간의지연이있을수있으나, 수직봉합을할수있고견고한고정력을얻을수있으며해부학적인정복으로파열부위의접촉면을증가시켜후내각반월상연골의파열을봉합하는우수한방법으로판단되어보고하는바이다.

  • PDF

반월상 연골판 파열 양상의 자기공명영상 진단 (MRI Diagnosis of the Tear Pattern of Menisci)

  • 안진환;하철원;안중모;김상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1-154
    • /
    • 1998
  • In the diagnosis of the meniscal tear of the knee, the high accuracy of the MRI diagnosis is well-known, but the accuracy of the MRI in the diagnosis of the very pattern of the tear of menisci is not well-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some informations to consider in the diagnosis and therapeutic planning of torn menisci. The authors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the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141 knees which had undergone arthroscopic surgery from Mar. 1997 to Mar. 1998.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diagnosis of tear of the menisci, MRI had sensitivity of 91%, specificity of 96%, accuracy of 95%. The mismatch of the tear patterns of the menisci between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was identified in 59%, especially high in flap tear(100%), complex tear(84%), peripheral tear(55%). In conclusion, MRI is very accurate in the diagnosis of the tear of menisci, but the tear patterns of the menisci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by MRI. In the cases of flap tears, complex tears and peripheral tears, it is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tear patterns of the menisci by MRI. False-negative rate of MRI was especially high(44%) in the peripheral tear type. So, other clinical correlations should be made in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f the tear in the diagnosis of peripheral tear of the menisc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