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m Cohes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신제품개발팀에서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기술혁신 성과간의 관계 :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ocial․Task Cohes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Team: Moderating Role of Climate for Creativity Support to Team)

  • 김학수;이준호;한준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7-724
    • /
    • 2014
  • 팀 응집성은 양날의 검처럼 정적 부적 효과가 있다는 논쟁에도 불구하고, 실증 연구들은 팀 응집성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하였다. 본 연구는 팀 응집성을 관계를 강조하는 사회적 응집성과 과업을 강조하는 과업 응집성으로 구분하고, 창의적 긴장에 의해 창출되는 기술혁신 성과를 결과변수로 본다면, 팀 응집성의 정적 부적 효과에 대한 논쟁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응집성은 동질성을 강조하므로, 다양한 사고를 촉진시키는 팀 창의성 지원 풍토는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효과를 완화시키고, 과업 응집성의 정적 효과를 강화시킬 것으로 보았다. 205개의 신제품개발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기술혁신 성과에 대해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영향(${\beta}$=-.19, p<.01), 과업 응집성의 정적 영향(${\beta}$=.18, p<.05), 사회적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beta}$=.14, p<.10) 및 과업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beta}$=.16,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응집력이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 :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Team Cohesion and Knowledge Hiding : Moderating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 강소라;한수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3호
    • /
    • pp.31-48
    • /
    • 2021
  • Knowledge is a key resource for organizations to gain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motivate employees to share knowledg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chieve optimal performance of knowledge resources. Despite the efforts of organizations to share knowledge, knowledge hiding is still prevalent among employees. In this paper, we want to analyze the factors that may cause more general and pervasive knowledge-hiding behavior in organiz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ohesion and knowledge hiding has been verif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ub-behavior of knowledge hiding : playing dumb, evasive hiding, and rationalized hiding. Team cohesion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laying dumb and evasive hiding.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that team cohe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rationalized hiding.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eam cohesion and relationships with playing dumb and evasive hiding.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thical leadership, the strong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m cohesion and knowledge hiding.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pape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개인과 집단의 특성이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Team Characteristics on Knowledge Creation : An Analysis by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 강소라;김민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7권4호
    • /
    • pp.19-38
    • /
    • 2010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stress on knowledge creation. The goal stress of resource inadequacy and job stress had negative influences on knowledge creation. However, the cohesion and mastery climate of team had positive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Therefore this paper verifies the moderate role of the cohesion and mastery climate of tea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knowledge creation. The model developed was tes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knowledge based industry with 375 members in 69 teams in 12 different firm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generated from the model. Results show that job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as we expected but the goal stress didn't. The mastery climate of team affected knowledge creation positively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al stress and knowledge creation. Furthermore, the team cohe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The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that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the stress when they design jobs for team members and suggest them the way to manage their job stress when they work.

  • PDF

병원 간호사의 팀 공유정신,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m Sharing Spirit Model, Team Effectiveness, Team Cohesion, Team Reliability, and Turnover Intension among Hospital Nurses)

  • 이지은;공정현;이해랑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1-13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eam sharing spirit, team effectiveness, team cohesion, team reli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Methods :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0 nurses from four general hospitals of less than 500 beds located in J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Factors influencing nurse turnover intentions included satisfaction with nursing position (β=.274), team reliability (β=-.250),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β=-.178), and career (β=.149) in order, and these influence factors accounted for 32.1 % of nurses' turnover intention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by devising strategies to increase the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positions, team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by making good use of the resources of the medical institution. It is suggested to conduct repeated studies of nurses working in various clinical sites and further studies applying various outcome variables in the future.

중국 대학교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응집력과 팀성과의 영향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ohesion and team performance of the transformative leadership of Taekwondo leaders at Chinese universities)

  • 우한;곽한병;손한빈;이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253-26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와 팀응집력 및 팀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혁적리더십이 팀응집력 및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팀응집력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나아가 변혁적리더십과 팀성과의 관계에서 팀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대학의 태권도 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총 350명을 표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항목 5개 문항,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총 19개 문항, 팀응집력에 대한 10개 문항, 팀성과 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신뢰도는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α=0.755-0.799, 팀응집력의 경우 α=0.848, 팀성과의 경우 α=0.740으로 나타났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WIN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은 팀응집력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은 팀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팀응집력은 팀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은 팀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팀응집력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도자의 변력적리더십을 통해 중국 태권도 선수들이 최고 경기를 위한 팀응집력과 팀성과에 영향을 줌으로써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축구팀 주장의 임파워먼트가 역할지각 및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Soccer Team Captain's Empowerment on Role Perception and Team Cohesion)

  • 김새얼;조건상;양동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19-327
    • /
    • 2021
  • 본 연구는 축구팀 주장의 임파워먼트가 역할지각 및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소재 초·중등학교 축구팀 및 축구클럽 주장학생을 대상으로 154명의 자료를 수집 후 SPSS statistic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산출 및 상관관계분석,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후 가설검증을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팀 주장의 임파워먼트는 역할지각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팀 주장의 임파워먼트는 팀 응집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구팀 주장의 역할지각은 팀 응집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축구팀 주장의 임파워먼트를 통해 팀 내 맡은 역할과 팀 응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R&D조직의 창의적 팀 특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풍토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eam Characteristics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in R&D Organizations :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Climate)

  • 장은영;김병근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5-93
    • /
    • 2016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haracterist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climate on the team characterist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is also measured. Based upon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creative characteristics, team diversity, team cohesion, task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as antecedents of team characteristic. Creative climate affects the creative behavior and innovative performance. Creative climate is measured as the Team Climate Inventory (TCI) proposed by Anderson & West (1998) including goal, participative-autonomy and innovative-sup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186 survey responses (54 Teams) out of total 462 (69 teams) from the R&D department of a major ICT firm in Korea. Empirical results show the diversity, cohesion, job characteristic, individual creative characteristic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climate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participative-autonomy climate factor appears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haracteristic (diversity, cohesion, job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goals and innovative-support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zation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team innovation performance by facilitating a autonomy and participative climate as well as fostering the team characteristic.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팀응집력과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lodic Percussion Playing Group Program on Team Cohesion and Team Efficacy of Youth Soccer Players)

  • 김희진;문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558-566
    • /
    • 2019
  • 본 연구는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팀응집력과 팀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중학교 소속 축구선수 57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n=28)은 주 4회, 45분씩, 총 8회기의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n=29)은 별도의 중재 없이 휴식을 취하였다. 효과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팀응집력 척도와 팀효능감 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t검정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팀응집력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도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집단 간 팀효능감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도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팀응집력과 팀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 도구임을 시사한다.

Cohesiveness of Internet Based Virtual Teams in the e-business: Roles of Various Types of Leadership

  • 함상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23-131
    • /
    • 2018
  • A virtual team consists of various members with a range of professional skills. An IT virtual team can confer such advantages as improving creativity and solving problems in e-business. However, virtual teams are less cohesive than off-line based teams, at least partly because they do not meet face-to-face to solve problems. If the cohesion of the members in a team is weak, overall performance can decreas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specific types of leadership needed to increase the cohesiveness of the members in a virtual team. Leadership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 virtual team. Leaders engage members with goals, and motivate them by creating positive relationships. This study describes the idealized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which a leader directly engages members in a goal, and the role of participative goal setting in which members set their own goals. In addition,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benefits of a positive attitude of a leader towards their team members and the influence of leader-member exchanges. If the cohesion of virtual teams is improved through specific leadership, the team members will be more committed to their teams and work, and the team's performance will improve. Furthermo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virtual team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mpanies in e-business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where creativity is important.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팀의 창의성 제고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부서장과 구성원 관점의 비교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R&D Team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s of Leaders and Members)

  • 노풍두;한인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92-1020
    • /
    • 2018
  •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팀 창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집단창의성에 대한 기존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팀의 특성, 팀 효능 감의 팀 창의성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둘째, 팀 특성과 팀 창의성간에 있어 팀 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실증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102개 연구개발팀을 대상으로 하였다. 팀 창의성 측정에 있어서는 부서장에 의한 평가와 구성원 자체 평가를 병행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는 평가의 정확성을 높임과 동시에 두 주체의 관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이다. 분석결과 팀 특성 중 응집성이 팀 창의성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고, 팀 효능감은 팀 다양성, 팀 자율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여 논의 하였다.